[농사를 짓습니다] 성찰

2022-10-17     윤남진
<영혼의 순례길> 스틸컷

순례의 이런저런 마음

수년 전의 일이었습니다. 어느 TV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 출연한 적이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티베트의 메리설산(梅里雪山 6,740m)을 순례하는 과정을 찍는 것이었습니다. 티베트인들이 꼭 한 번은 순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성지입니다. 당시 대안학교를 다니고 있던 딸아이와 함께 순례하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정말로 길고도 험한 순례길이었습니다. 순례길 곳곳마다 불교 상징물들이 있었고, 오가는 길마다 티베트 순례객들과 마주쳤습니다. 우리 순례길을 안내한 분도 그렇고 대부분의 티베트 순례자들은 걸을 때 입에서 ‘옴마니반메훔’을 멈추지 않고 염송했습니다. 대여섯 살 어린아이에서 칠팔십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입에 밴 듯했습니다.

우리 일행은 촬영 장비를 비롯해 많은 보조장비가 함께 움직여야 했기에 중간중간 말을 타고 가기도 했지만, 티베트인들은 대부분 모든 순례 물품을 짊어지고 오직 두 발로 걸어서 다녔습니다. 가족 단위로 다니는 경우가 많았는데 갓난아이를 업고 순례하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대부분 힘든 기색 없이 즐겁게 걷는 그런 모습을 볼 때면, 무엇이 저들에게 순례의 힘이 솟게 하는가 하는 생각을 절로 하게 됩니다. 순례길에 대한 진정한 믿음이 더 크지 않나 생각했습니다. 

순례길에 만나는 그 깊고 높은 산중의 마을들을 볼 때면 이런 의문도 생깁니다. 이런 마을은 처음에 어떤 사연이 있는 사람들이 와서 살게 됐을까? 세파를 피해서 들어왔는지 아니면 어떤 믿음을 다지며 살기 위해서인지.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가도 마을에 들어가서 거기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정말 진실하게 사는구나’ 하는 마음이 절로 생깁니다. 

 

자신의 참모습을 보고 아는 것

순례길은 하염없이 걷는 그 길에서 마주하는 사람과 문화와 자연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참모습을 바라보게 합니다. 자기 자신의 참모습을 절실히 보고 아는 것, 그것을 성찰이라고 합니다. 좋고 훌륭한 것, 나쁘고 모자란 것, 이 양면 모두를 있는 그대로 보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와 온전히 마주해야 합니다. 우선 자신의 뒷모습, 과거를 정직하게 마주할 용기가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현재의 자기 자신과 세상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지켜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미래로 향하는 ‘중심 잡기’를 지금 여기에서 꾸준히 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과거와 정직하게 마주하는 용기는 자신의 허물에 대한 지적을 받아들일 수 있는 용기입니다. 우리가 하는 모든 행위는 행위 이후 곧바로 우리의 과거가 됩니다. 현재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보는 것은 현재의 자기 자신과 세상의 모습을 잘 지켜보되, 그것을 바라보기만 하는 게 아닙니다. 그것에 나를 섞어서, 즉 관계를 형성해 변화를 이루어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래는 결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유동적입니다. 그래서 어느 한 곳으로 편벽되지 않는, 닥친 현실에 유연하게 반응하면서도 정도에서 벗어나지 않는 그런 ‘중심 잡기’ 역량이 필요합니다.

성찰의 결과는 현실과 나 자신을 재구성하고, 새롭게 형성된 나로 다시 태어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성찰을 통해 우리는 ‘진정성 있는 사람’으로 변해갈 것입니다. 메리설산을 천진하고 행복하게 순례하는 티베트 순례객들처럼, 그 깊고 높은 산중 마을에서 진실하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과 같은 진정성 있는 사람의 마음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몸에 딱 붙을 때까지

훈민정음 창제 후 한글 산문 작품으로 부처님의 일대기를 정리해 보급한 『석보상절』이 있습니다. 『석보상절』은 한문본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라고 합니다. 한문을 한글로 어떻게 번역했는지 알고 보면 참 흥미롭습니다. 

우리가 많이 쓰는 말 중에 ‘귀의’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도 삼귀의를 할 때 ‘귀의’를 한글로 번역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석보상절』에 보면 ‘귀’는 ‘나아갈씨라’, ‘의’는 ‘브틀씨라’라고 번역해 놓았습니다. 

붓다와 진리와 승가에 ‘나아가서’ 딱 ‘붙는다’고 할까요? 마치 옷이 사람 몸에 붙어 있듯이 그와 같이 언제나 딱 붙어 있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아기가 엄마 등에 딱 붙어 있듯이 말입니다. 

메리설산을 순례하면서 만난 티베트 순례자들의 입에 ‘옴마니반메훔’이 딱 붙어있었습니다. 그 첩첩산중의 마을에서 사는 사람들의 진실함을 보았습니다. 이런 진정성이 그리워집니다. 

우리나라가 세계 10대 강국 반열에 들었다고 합니다. 여러 분야에서 선진국 수준으로 성장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아직도 사람들의 삶은 평화롭지 못하고 오히려 갈등과 경쟁만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부자와 빈자, 수도권과 지방 삶의 격차도 더 커지기만 합니다.

이런 때일수록 진리에서 멀어지지 않으려는 노력, 진실해지려는 노력, 그것과 하나가 되려는 진정성 있는 노력을 마다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몸에 딱 붙을 때까지 쉬지 않고 정진하고 성찰해야 합니다.  

 

윤남진
동국대를 나와 1994년 종단개혁 바로 전 불교사회단체로 사회 첫발을 디뎠다. 개혁종단 순항 시기 조계종 종무원으로 일했고, 불교시민사회단체 창립 멤버로 10년간 몸담았다. 이후 산골로 내려와 조용히 소요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