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장애

생활한방

2007-09-17     관리자

한 아주머니께서 한의원에 찾아오셨다. 마치 말 못할 사정이라도 있는 듯이 머뭇기리셨다.
어디가 불편하시냐고 물으니 그냥 이유없이 남편이 밉고 자식들이 다 귀찮다고 하며 순간적 으로 상기되었다.
환자를 보고 웃으면서 "이제 생리가 끝나셨나 보죠?" 라고 하니 그렇다고 고개를 끄덕이신 다. 이분은 갱년기 증상의 초기를 맞는 환자였다.
여성은 월경이라는 생리적 현상으로 인하여 폐경이라고 하는 또 다른 생리현상을 갖게 되는 데, 이 폐경 현상은 노화로 인한 내분비 특히 성 호르몬의 심한 변동(감소)에 의한 것이다.
이 때 여러 가지 신체적.정신적인 증상이 발생하여 노화현상의 특유한 양상을 제시하므로 여성에게는 갱년기가 틀이한 생리현상으로 규정되고, 이때 발생되는 여러 가지 증후군을 갱 년기장애라고 한다. 그런데 개인 차이가 심하여 자각증상이 개개인에 따라 달리 나타나며, 사춘기와 비교하면 유사하다.
갱년기는 여성의 성성숙기의 끝무렵부터 노년기가 시작될 때까지의 이행기로서, 폐경기와 그 주변기에 해당된다. 폐경 전기는선행 5`6년을, 후기는 폐경 후 7`8년간으로 정하고 있다.
한마디로 말하면 여성의 생식력이 소실 되어 가는 시기이다. 종족에 따라 폐경 연령의 차이 가 있는데, 통계적으로 45세에서 55세로 나타난다. 우리 나라의 여성들은 1985년도를 기준으 로 볼 때에 평균 폐경 나이는 47.6세이며, 나이별 분포도는 다음과 같다.
40세 이전--5%
45세까지---25%
50세까지---80%
55세까지---98.4%
미임부(未姙婦)나 발육부전인 여성은 비교적 빨리 폐경을 맞이하고, 다산부(多産婦)나 초경 을 일찍 맞은 여성은 폐경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남자는 노화로 인한 성호르몬의 감소가 여자와 같이 발생될 것이 추측되나 성선기능을 주기 적으로 표시하는 월경과 같은 생리적 현상이 없고, 노화에 의한 성선기능이 서서히 지속적 으로 감퇴되므로 여성과 같은 명확한 갱년기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남성도 정력 감퇴, 피로감, 권태감등 노화현상으로 추측되는 상식적인 증상이 노화기에 발생될 수 있어 남성의 갱년기가 고려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2 X 7=14세에 초경이 발하여 7X7=49세에 신기가 고갈되어서 월경이 끝난다 고 하였다. 이는 뇌하수체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되고, 이로 인하여 내성기의 위축을 초래하여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의 분비감소로 자궁 및 젖샘의 퇴축이 일어난다.
이렇게 되면 월경주기가 문란해지고 이로 인하여 배란이 중지된다. 간혹 월경이 다시 시작 되어도 이것은 퇴거성 출혈이 되고 기능성 출혈도 증가된다.
자. 그러면 갱년기에 나타나는 증상과 이에 따른 치료방법을 살펴보자.
증상
1) 전신증상
혈관운동 신경증상; 이증상이 가장 많다. 열성홍조, 발한, 심계항진, 냉증, 역상감 등
정서혼란증;초조, 화를 잘낸다. 우울, 무가치감, 건망증, 불면, 어지러움증, 두통, 이명, 가슴이 답답함 등
신진대사이상; 비만, 쇠약
피부계이상; 입마름, 가려움증, 색소 침착
지각기계; 마비감, 벌레가 기는듯한 가려움증, 감각이 준해짐

2)국소증상
내분비계; 부정자궁출혈, 월경문란증, 대하, 외음부소양증, 성교동통
운동계; 요통, 오십견증상, 전신권태감, 그밖의 관절통
소화기계; 구토, 식욕부진, 복부팽만
비뇨기계; 빈뇨, 잔뇨, 배뇨통

치료법
1)한약; 다음 용량은 1회량이며, 1일 2첩을 표준으로 한다.
사륙탕(四六湯);신체가 마르고, 빈혈이 있으며 불감증 및 요통을 수반할 때(유산이 잦은 경 우가 많다)
(숙지황 16g. 산약.산수유 8g, 목단피.백복령.택사 6g, 당귀.천궁.백작약 5g)

온경탕(溫經湯); 평소 손발이 차며, 생리가 갑자기 중단될 때
(맥문동 8g, 당귀 6g, 인산.반하.백작약.천궁.목단피 4g, 아교주.밀자감초 3g, 오수유.육계 2g, 생강 3쪽)

온담귀비탕(溫膽歸脾湯); 동계, 불면, 불안초조, 자궁출혈, 건망증, 신경쇠약, 손발저림 등의 증상
(반하.진피.백복령.지실.당귀.용안육.초산조인.원지.인삼.황기.백출.백복신 4g, 죽여.목향 2g, 감 초 1.5g, 대추2알, 생강 3쪽)

온청음(溫淸飮);피부의 상태가 거칠며, 정시불안 및 흥분을 잘하는 경우 (당귀.천궁.숙지황.백 작약 6g, 황금 4g, 황백.치자.황련 3g)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평소 위장의 기능이 약하며, 스트레스를 잘 받고 항시 목에 무엇인 가 막힌 듯한 느낌이 드는 경우 (반하 12g, 백복령 8g, 후박 6g, 소엽 4g, 생강 7쪽)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히스테리, 우울증, 노이로제일 경우 (감초 6g, 소맥 28g, 대추 5g)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부인냉증으로 손발이 차고 저리며, 생리통, 생리불순, 냉.대하, 어깨 결림과 얼굴이 잘 붓고 빈혈로 어지러움이 심하며 기미가 생기는 경우
(당귀.천궁 4g, 백출.백작약.백복령.택사 6g)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평소 손발이 화끈거리며 가슴이 답답하며, 생리불순과 신경질적이며 생리통이 시만 경우. 성관계가 없는 독신녀들에게 많다.
(향부자,맥문동 6g, 시호.당귀.백작약.백출.백복령 4g, 박하엽.감초 2g,상강3쪽)

시모탕(柴牡湯); 가슴이 답답하고 잘 놀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몸이 무거우며 간혹 잘 붓기도 한다. 히스테리하며 신경성 고혈압이 있다. (시호.반하 8g, 용골.모려.인삼.계지.황 금.싱강.대추.백복령.대황 4g)

2) 민간요법
갈근(칡뿌리), 소엽(차조기잎)을 각각 10g을 물에 달여서 1일 2회 식후 30분에 복용한다.-열 감, 어지러움증, 두통에 뚜렷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도인(복숭아씨), 잣을 각각 5g씩 갈아서 쌀죽을 쑤어서 복용한다.-신체의 어혈을 풀어주며 변비도 치유된다.
형개를 약간 볶아서 분말고 하여 1회 6g 1일 2회 온수 복용한다.-손발이 저리고 아프며 어 지러움증이 치유된다.
산도인(산대추씨)을 검게 볶아서 20g을 물에 달여서 1일 2회 복용한다,-불면증과 동계증을 치료한다.

3)정신요법
갱년기에는 심리상태가 불안정한만큼 마음을 달빛 수면과 같이 하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 반야심경(般若心經)'을 수시로 읽고 암송하며, 머리를 맑게하고 마음을 풍요롭게 하도록 정 진하는 게 여러 가지 처방보다 낫다. '색불이공 공불이색, 식즉시공, 공즉시색(色不異空,空不異色,色卽是空,空卽是(시)色)'은 갱년기증상을 잘 극복할 수 있는 훌륭한 묘약(妙藥)이다.

*최갑순 님은 '85년 성균관대 약대 졸업, '91년 한의대를 졸업하였으며 '94년 한의학 석사 를 취득했다. 현재 상지대 한의대 강사, 최갑순 한의원 원장으로 있다.

☞ 본 기사는 불광 사경불사에 동참하신 김생호 불자님께서 입력해 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