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를 짓습니다] 불탄 사진첩, 과거와 대화하기

2022-02-14     윤남진

호남지역 산골짜기로 이사해 정착한 지 4년이 됐다. 산기슭에 남향으로 살림채가 있고, 앞으로는 마당을 가로질러 계곡이 흐른다. 살림채 위쪽으로 ‘대원정사’라는 현판을 단 법당이, 좀 떨어진 언덕 위엔 산신각이 세워져 있다. 작은 수행도량을 겸하고 있는 살림집이라고 보면 된다. 

이곳은 처갓집이다. 충청도가 고향이지만 서울에서 더 멀고 낯선 처갓집으로 낙향한 이유는, 부모님이 연로해 더 쇠하기 전에 모셔야 한다는 아내의 뜻 때문이었다. 

낯설고 불편한 타향살이에 그럭저럭 익숙해지던 어느 날, 장인어른과 아내가 창고 정리를 시작했다. 창고는 다용도 공간이다. 안쪽으로 작은 방이 하나 더 있었는데 농에 들여놓지 못한 옷가지가 있었다. 거실로 쓰는 공간에는 장인어른이 소장하고 있는 책과 갖가지 작품, 소품이 있었다. 한 이틀에 걸쳐 짐을 대강 정리하고 방에 있던 짐 중에서 당장 소용치 않는 것은 창고로 옮겼다. 청소까지 마치고 손을 털었다. 

문제는 다음 날 일어났다. 각자 자기가 할 일을 찾아 도량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는데 갑자기 “불이야!” 하는 아내의 다급한 목소리가 들렸다. 달려가 보니 불길은 하우스 창고 한 가운데쯤에서 활활 타오르고 있었다. 불이 산으로 번지지 않을까 걱정하던 찰나, 바람이 불어 산으로 향하는 언덕에 불길이 붙어버렸다. 황급히 초롱에 물을 떠 언덕에 올라가 뿌렸다. 다행히 풀이 자라나 있고 마른 검불들이 무성하지 않아 불길이 일어나지는 않았다. 아내가 먼저 소방서에 신고했는지 소방차가 오고 뒤따라 의용소방대원들까지 동원됐다. 다행스럽게도 소방차가 물을 뿌리자 바로 불길이 잡히고 진화됐다.

불에 탄 것 중에는 채 풀지도 않고 내버려 뒀던 여러 장의 사진 액자들, 그중에서도 영정사진으로 썼던 부모님의 생전 모습, 어머님 생신에 3대가 모두 모여 찍은 가족사진이 있었다. 그동안 집안 잔치나 제사 때에 배경으로 늘 함께 서 있던, 『금강경』을 한글로 쓴 10폭 병풍도 완전히 불탔다. 덩달아 창고 바로 옆, 낙향한 첫 작품으로 목조로 지은 ‘생태 뒷간’에 불이 옮겨붙어 전소됐다. 남은 것이라곤 타다가 물에 젖어 쓰레기 신세가 된 책뿐이었다.

 

과거를 정면으로 응시할 수 있는 용기

다음날 타고 남은 쓰레기를 쓸어 담으려 100ℓ용 쓰레기봉투를 갖고 창고에 가보니, 아내가 잿더미 속에서 뭔가를 찾아내 한 장씩 털어 모으고 있었다. 

“뭔데?”

“이거 앨범인데 속에는 다 타지 않은 사진이 꽤 있네요.”

아내는 사진을 골라 가위로 검게 불탄 부분을 오려냈다. 또다시 잿더미를 헤집고 뭔가를 찾아내 ‘이거는 언제 무슨 일이고, 저거는 어디서 찍은 거고’ 하면서, 채집의 귀재인 여성의 본능으로 꿀벌처럼 사진을 오려내 모았다. 기왕 쓰레기를 잘 모아 치워야 하니 겸사겸사 잿더미 쓰레기를 치워가며 지난날 사진이 없는지 아내를 거들었다. 결국 우리의 거창한 결혼 앨범, 제주도 신혼여행 앨범까지 어찌어찌 건져 냈다.

그러고 보니 나는 사진이 별로 없다. 아내는 초등학교 때 사진까지 간직하고 모았다. 나는 고등학생 시절 불교학생회에 다니며, 어느 땐가 뭔가 거창한 결심이라도 한 듯 그동안 모아 두었던 사진을 모두 아궁이에 불살라버린 기억이 난다. 그 이후로는 사진을 찍어도 모아 두지 않았다. 아내는 저렇게 사진들 속에서 지난 추억들을 불러내어 서로 속삭이는데, 그것이 지우고 싶은 무엇이 아니라 가끔 불러내 대화하는 소소한 행복이 될 줄 왜 생각하지 못했을까? 지금 내 모습에 견주어 보게 된다. 

중년이 돼 삶의 전투 현장을 넘어 낙향한 사람의 마음으로 되돌아본다. 사진 속에서 불려 나온 추억만이 아니리라. 그렇게 기념할 만한 사진에는 찍혀 있지 않고 드러나지 않는, 좋고 나쁜 자신의 모든 과거를 대하는 현재의 마음가짐 같은 것을 생각해 본다. 과거를 정면으로 응시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할 것이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들추어내고 싶지 않은 것들은 어떻게든 기억에서 멀어지게 하고, 또 어떤 허물들에 대해서는 이런저런 변명으로 어두운 골목으로 몰아내고 마는 그런 소심한 여우 같은 마음을 잘 다스려야 할 것이다. 

 

“도인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어느 땐가 이런 이야기를 들은 듯하다. 부처님께서 길을 걷다 가시에 찔려 피가 났다. 그때 제자 하나가 물었다. “부처님 몸에서도 피가 나는 일이 있습니까?”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내가 과거 생에 우연히 손을 뒤집었을 때, 마침 모기 한 마리가 손에 밟혀 죽었기로 그 과보를 지금 받는 것이다”라고 말씀했다. ‘과거 삶에 대한 정직함을 비유로써 가르쳐주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세상은 우리에게 불에 타지 않는, 사라지지 않는 사진첩을 줬다. 스마트폰과 SNS가 그렇다. 사진뿐 아니라 우리가 하는 대화, 우리가 쓴 편지, 남들 흉보는 뒷방공사(?), 우리의 생각과 의지를 드러내는 의견들. 말 그대로 자신이 한 ‘안이비설신의 색성향미촉법’의 행위가 모두 기록될 수 있다. 당연히 자신은 그렇게 기록된 과거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고, ‘과거의 오늘, 당신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확인해보세요’라고 친절한 안내까지 해준다.

태어날 때 스마트폰을 쥐고 나온 디지털 원주민 세대들은 말할 것 없고, 나이가 지긋한 세대들도 이런 기기와 서비스를 즐겨 이용하는 것이 요즘 세태다. 그런데 다른 사람, 특히 유명인의 가십거리 수준의 과거사들에 이리저리 몰려가 소란을 떠는 모습은 보기에 좀 마뜩하지 않다. 이러다간 이제 각자의 기록물에 대해서도 탄소 발자국처럼 과거사 기록 발자국 같은 측정 방법이 나와 ‘얼마나 소비했는지’, ‘유익한 것은 얼마고 길바닥에 버려진 것은 얼마나 되는지’ 경보를 보낼 수 있겠다.

“도인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다. ‘머물다 갔다’라는, 그런 흔적을 남기지 않고 모든 것을 처음 왔던 본래 상태로 되돌리고 떠난다는 뜻이다. 우리의 삶도 이처럼 흔적을 남기지 않을 수 있을까? 사진을 불태운다고 흔적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듯 우리 마음에서 과거를 정직하게 마주할 수 있을 때, 그것이 현재 그리고 미래의 삶과 한데 어울릴 수 있다. 그러면 비로소 과거는 흔적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아무런 자취 없이 우리의 현실, 우리의 온전한 현재로 들어올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불탄 사진들은 새로운 사진첩을 보금자리로 해서 어떤 새로운 추억을 만들어갈까? 

 

윤남진
동국대를 나와 1994년 종단개혁 바로 전 불교사회단체로 사회 첫발을 디뎠다. 개혁 종단이 순항하는 시기, 3년간 조계종 종무원으로 일했고, 불교시민사회단체 창립 멤버로 참여해 10년간 몸담았다. 이후 불교계 재야 활동을 지속하다 산골로 내려와 조용히 소요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