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개국과 불교] 압록강 넘는 스님들

조선의 스님, 국경 넘어 피신하다

2021-10-27     박현규
산등선에서 바라본 반야선사수탑.

중국 북경은 한국불교와 인연이 매우 깊다. 북경 남성(南城)의 흥복사(興福寺), 창의문(彰義門) 바깥의 대보은광교사(大報恩光敎寺), 담로방(湛露坊)의 고려대성경선사(髙麗大聖慶禅寺), 금성방(金城坊)의 법왕사(法王寺), 완평(宛平) 지수촌(池水村)의 금손미타사(金孫彌陀寺), 통주(通州) 장가만(張家灣)의 고려사(高麗寺) 등은 고려인이 세운 사찰이다. 

대천원연성사(大天源延聖寺)는 고려 스님 순암의선(順菴義旋), 대숭은복원사(大崇恩福元寺)는 해원(海圓), 광제사(廣濟寺)는 나옹혜근(懶翁慧勤)이 각각 주석했고, 영녕사(永寧寺)는 태고보우(太古普愚)가 설법했으며, 석불사(石佛寺)는 고려 충선왕이 머리를 깎은 곳이다. 방산(房山) 석경산(石經山) 화엄동(華嚴洞)은 혜월(慧月)이 불교 경판을 보각했던 곳이다. 

북경의 서쪽 외각에 위치한 곡적산(穀積山)은 중국불교협회에서 꼽은 불교 성지다. 당나라 때 사찰이 처음 들어섰고, 이후에도 여러 사찰이 세워졌으며 많은 스님이 들어와 수행했다. 요나라 때 곡적선원에 『거란대장경』을 안치하고 독송대회를 열기도 했다. 오늘날 곡적산을 돌아다녀 보면 한국불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엄선사(靈巖禪寺, 현 영취선사), 반야선사수탑(般若禪寺壽塔)을 찾아볼 수 있다. 

영암선사는 요나라 때 곡적선원을 처음 세웠고, 원말 대도(현 북경) 궁궐에서 활동하던 고려인들이 대대적으로 중건 작업에 나섰다. 사찰 뒤편에는 고려인의 불사 활동을 말해주는 ‘대원칙사상만곡적산령암선사비(大元勅賜上萬穀積山靈巖禪寺碑)’가 세워져 있다. 1346년(충목왕 2)에 중귀인 장씨(中貴人 張氏)가 현몽에 따라 곡적산을 찾아가 보니 사찰이 크게 훼손돼 있다며 안타깝게 여기자, 고려 출신 자정원사 고용보(資政院使 高龍普)가 대단월로 자칭하고 중건에 나서 이듬해에 마쳤다. 원 지정제는 ‘영암선사’라는 사액을 내리고, 고려 천담(天湛)에게 ‘묘덕장로(妙德長老)’라는 존호를 주며 고려 승려들을 이끌어가게 했다.

1354년(공민왕 3)에 무학자초(無學自初)가 여기에 머물던 나옹혜근을 찾아가기도 했다. 영암선사 동쪽 봉우리에는 고려 출신 내관 박쇄로올대(朴瑣魯兀大)가 세운 석탑이 있었다. 

영암선사는 원명교체기 이후에 건물이 낡고 헤졌다. 1436년(정통 1)에 진공(眞空)이 단월 류보허(劉普虛), 백각지(白覺志), 왕덕정(王德正)의 도움을 받아 중건에 나서 1439년(정통 4)에 마쳤다. 명 조정으로부터 현재의 사찰명인 ‘영취선사(靈鷲禪寺)’라는 사액을 받았다. 최근 북경시 문물 당국은 영취선사에 대대적으로 보수 작업을 행했다. 

영취선사, 옛 영암선사.
고려인 중건사적을 기술한 대원칙사비.

 

스님들, 국경을 넘다

역성혁명으로 고려를 쓰러뜨린 조선은 새 왕조를 이끌어 갈 이념으로 성리학을 내세웠지만, 태조 이성계의 불심과 무학자초의 천도 도움 등으로 불교와도 여전히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태종 때 들어와 왕권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새로운 사상체계를 적극 활용했다. 전국 242개를 제외한 나머지 사찰을 혁파하고, 사찰과 승려에게 주어진 각종 혜택을 철폐하는 등 기존의 불교 정책을 크게 바꿨다. 이에 일부 승려들은 불교가 조선에서 발붙이기 어렵다고 여겨 명나라로 월경하는 극단적인 행동을 감행했다. 1417년(태종 17)에 한 무리의 조선 승려들이 몰래 월경해 요동으로 들어갔다. 같은 해 운공만공(雲公滿空) 선사와 일행 스님들은 몰래 바다를 건너 명나라로 들어가는 일도 발생했다. 조선 조정은 명 조정에 승려들을 본국으로 환송해달라고 요청했으나, 태생부터 깊은 불교 인연을 맺고 있던 영락제는 오히려 조선 승려들을 돌보며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줬다.

이러한 배경에는 영락제의 깊은 사연이 있다. 아버지 주원장은 승려 출신으로 명나라 창업자이고, 어머니는 고려 출신의 공비(貢妃)였다. 영락제는 조선 출신 태감 황엄(黃儼), 기원(奇原) 등을 조선 조정으로 보내 제주도 법화사(法華寺)의 삼존불상을 수도 남경으로 가져와, 주원장과 공비를 모신 남경 대보은사(大報恩寺)에 안치할 정도로 불심이 깊었고 조선과 인연도 있었다. 

영락제는 황엄, 기원 등을 다시 조선으로 보내 불사리를 구해오도록 했다.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는 303개를 포함해서 모두 800개의 사리를 보낼 수밖에 없었다. 영락제의 도움을 받은 승려 만공은 처음에는 남경 천주사에 머물렀다. 1428년(선덕 3년) 여러 조사 스님들을 찾아다니며 불법을 수행했고, 산동 태산에 들어와 죽림사(竹林寺)를 창건했고, 폐허화된 보조선사(普照禪寺)를 다시 세웠다. 오늘날 태산 서남쪽 기슭에 소재한 보조선사의 앞마당에는 만공 스님의 사적을 담은 ‘운공만공선사탑비(雲公滿空禪師塔碑)’가 세워져 있다. 

1421년(세종 3)에는 적휴(適休)가 신휴(信休), 신담(信淡), 혜선(惠禪), 홍적(洪迪), 해비(海丕), 신연(信然), 홍혜(洪惠), 신운(信雲) 등 승려 8명을 데리고 몰래 압록강을 건너 요동으로 들어갔다. 적휴의 본명은 이중정(李中貞)이고, 경상도 합천군의 아전 출신이었다. 처우(處愚)에게 출가했고, 나중에 묘향산 내원사(內院寺)로 들어가 여러 제자를 가르쳤다. 적휴 일행은 요동 도사에게 ‘신령한 학을 타고 허공에서 내려오고 큰 바다에 빠졌다가 향기 나는 배를 만난 것처럼 기쁘며 법보인 정광여래(定光如來) 사리 2개, 왕사(王師) 나옹 화상 사리 1개를 바치니 황제에게 아뢰어 불법을 펼칠 수 있도록 선처해주기’를 바라는 소장을 올렸다. 세종은 적휴 일행의 월경을 국가의 기본정책에 반하는 중대한 사건으로 받아들였고, 의금부를 통해 적휴의 친척과 주변 승려들을 나포해 심문했다. 대신 조숭덕(曹崇德)을 주문사로 삼아 급히 북경으로 보내 명 조정에 이들이 범법자라며 본국으로 환송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영락제는 앞서 만공의 경우처럼 조선 조정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오히려 불도를 닦기 위해 명으로 온 승려로 대우했다.

 

망명자들이 세운 반야선사

적휴 일행은 영락제의 배려로 중원에 머물면서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적휴는 중원 곳곳을 돌아다니며 수행하다가 곡적산을 방문하게 된다. 이곳이 불법이 깃든 영산이라며 정착할 것을 결심하고, 단월 은례초연(恩禮超然) 거사의 도움으로 반야선사(般若禪寺)를 세웠다. 

반야선사는 고려인이 중건한 영암선사로부터 북서쪽으로 1.3km 정도 떨어진 산봉우리 주변에 세워졌다. 반야선사수탑이 소재한 산봉우리에 올라보면 곡적산의 풍광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알 수 있다. 굽이치는 용처럼 산등성이 이리저리 뻗어 있고, 절벽 같은 거대한 산이 펼쳐져 있다. 특히 수탑의 모서리마다 매어진 풍경소리는 아주 먼 곳까지 전해져 ‘영당탑(鈴檔塔)’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탑은 9층 팔각 누각 형식으로 쌓았다. 1970년대 지진으로 무너져 기단부와 탑신 2층만 남았으나, 2013년 북경시 문물국에서 9층으로 복원했다. 아쉽게도 풍경을 복원하지는 않았다. 

탑 옆에는 1443년(정통 13) 8월에 주지 본지(本之)가 세운 사찰의 역사와 모습을 담은 ‘칙사반야선사지기(敕賜般若禪寺之記)’가 있다. 여기에 승려 적휴의 활동이 자세히 적혀있다. 비 면이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일부 마멸되기는 했지만, 탁본을 통해 비문 내용을 거의 확인할 수 있다. 이곳저곳에 예전의 기와, 석재 등을 찾아볼 수 있고, 본전 남쪽에 소재한 깊이 33척이나 되는 우물도 남아있다. 이 우물은 1년 사철 물이 마르지 않아 지금도 식수로 사용할 수 있다. 본전 서편의 암석으로 된 봉우리 아래는 육각보전이 있었던 자리다. 육각보전 뒤편에 커다란 자운동(慈雲洞)이 있다. 자운동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승은당(承恩堂)과 포응당(布應堂)으로 사용했던 동굴 2개가 있다. 동굴 안에 ‘광록대부주국도총운한거(光祿大夫柱國都總雲閑居)’가 해서체로 새긴 ‘계정혜(戒定惠)’ 비석이 남아있다. 동굴 앞쪽은 선명전과 장경전이 있던 터다. 남쪽 골짜기에는 향수죽림천(香水竹林泉)이 있고, 샘물 옆이 옛 와운헌(臥雲軒) 자리다. 

망명자 적휴 스님의 흔적이 있는 곡적산은 손에 꼽히는 명지이며 한국불교의 또 다른 성지라 말할 수 있다. 

 

사진. 박현규

 

박현규
순천향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천진외국어대학 객좌교수. 전 한국중국문화학회 회장.  「명청 시대 북경 조선사관 고찰」, 「절강 평양 신라묘 기록과 현황」, 「1741년 중국 임해에 표류한 예의의 나라 조선인 관찰기」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동아일보」에 ‘박현규 교수와 함께한 대륙 속 우리문화 흔적을 찾아서’를 연재했다. 저서로는 『임진왜란 남원성 전투와 명군 문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