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보살(普賢菩薩)

불보살의 세계

2007-09-17     관리자

범어로 Visvabhadra 또는 Samantabhadra이며, 한역하여 비수발타 또는 삼만다발타라(三曼多跋陀羅)라 한다. 보현은 이를 의역한 것으로 편길(偏吉)이라고도 하는데 '보편의 법문'이 라고 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과 함께 석가여래 또는 비로자나불 의 협시보살로 등장하는 보현보살은 실천행을 강조하는 성격을 지닌다. <화엄경>(입법계품) 에는 보현보살의 10대원이 설해지고 있으며 이 열가지 원을 끊임없이 실천하는 보살이 보현 보살인 것이다. 한편 '여래출현품'에는 보현보살이 모든 것을 알아 여래처에 통하고 중생에 게 해탈의 길을 잘 열어 보이며, 또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해설하는데 능하는 등 덕성을 두 루 갖추고 있는 보살로 묘사되고 있다. 보현보살은 문수보살이 사자좌를 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코끼리를 좌대로 하고 있는데 이는 <묘법연화경> '보현보살발권품'에 근거한다. 이에 의하면 보현보살은
"세존이시여, 오백세 뒤 혼탁한 세상에서 이 경전을 수지하는 자가 있다면 제가 응당 지킴 으로써 그의 재앙을 없애어 편안케 하고 악마의 무리들이 발을 못붙이게 할 것입니다. 사람 들이 서거나 걸으면서도 법화경을 독송한다면 나는 육아백왕상(六牙白王象)을 타고 많은 보 살들을 이끌고 그곳에 나타나 사람들을 수호하고 위안해주오리다."라하여 백상을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은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유행하는 도상이지만 한국의 불상조각사에서 백상좌를 한 보현보살을 찾기란 쉽지 않다. 불상 및 불화에 나타나는 보현 보살의 모습은 연화좌에 앉아 연꽃을 쥐는 형상으로 묘사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동자상으로 표현되는 경우 즉 보현동자의 경우에는 몇 예를 찾을 수 있는데 특히 인왕 문(또는 금강문)에 인왕과 함께 조성되는데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옆의 그림은 마곡사 해 탈문 안에 인왕상과 함께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기록에 의하면 18세기 경에 해탈문의 중수 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적어도 이 무렵에 보현동자상도 조성 내지는 중수가 이루어진 것으 로 추정된다. 쌍계머리에 두 손으로 연꽃을 들고 코끼리 위에 마련된 연화좌에 앉아 있는 모습은 쌍계머리를 제외한다면 오늘날의 불교미술조각에서도 널리 유행하고 있는 보현보살 의 도상이라 할 수 있다.

☞ 본 기사는 불광 사경불사에 동참하신 김생호 불자님께서 입력해 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