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삶, 그 행복이라는 이름 아래

붓다 빅 퀘스천 | 에디터’s pick 리뷰(2) | 스승

2020-11-19     최호승

한국불교 대중강연의 새로운 시도이자 붓다 빅 퀘스천의 첫 페이지다. 하룻낮에 스승 다섯 명을 만나는 기회도 흔치 않다. 청년 싯다르타가 행복한 삶을 질문했고 답을 얻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삶, 그 행복이라는 이름의 전제 조건을 스님과 교수, 정신과 전문의에게 들었다. 만약 1회 붓다 빅 퀘스천을 놓쳤다면 일독을 권한다. 

 

| 부처님 이해 코드 ‘H.Y.I.H.T’

조성택 고려대 교수는 부처님을 5개 코드로 분석했다. H.Y.I.H.T이다. 그는 부처님을 휴머니스트(Humanist, 인본주의자)라고 했다. 신의 질서가 아닌 인간의 질서에 관심을 가졌던 서양 르네상스 시대 사상가보다 2,000년 앞섰다. 맞다. 부처님은 신이 아닌 내 행위가 자신의 미래를 결정한다 선언했다. 또 부처님은 젊은(Young) 혁신주의자(Innovator)였으며, 홈리스(Homeless)였고, 교사(Teacher)였다. 젊은 행동가였던 부처님은 갖가지 탐진치의 집을 떠나 고행이라는 기존의 길을 끝까지 간 뒤 미련 없이 버리고 새로운 길이자 제3의 길 ‘중도’를 열었다. 그리고 초전법륜지 녹야원에서 다섯 비구에게 했던 첫 법문으로 진리를 가르쳤다. 

부처님이 발견한 깨달음은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조 교수는 “정답이 없다는 것을, 혹은 모든 것이 다 정답이라는 것을 말씀하신 분이 부처님”이라고 했다. 고정불변의 정답은 없다는 뜻이다. 사실 정답을 말하는 순간 우리는 정답 아닌 것을 오답으로 규정해버린다. 

“우리가 방황하는 이유는 정답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방황하는 게 아니라, 우리는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단 하나 기준이 있다면 나의 행복과 안녕, 나아가 모든 생명의 행복과 안녕입니다.”

 

| 승가공동체에서 배우는 행복

금강 스님은 『육조단경』 대목 중 무념(無念), 무상(無相), 무주(無住) 개념을 빗대어 평화롭고 행복하고 자유로운 삶을 설명했다. 특히 ‘고정된 생각이 없다’는 무상은 행복이라는 문을 여는 열쇠라고 했다. 어떤 대상을 볼 때 과거 경험과 지식으로 판단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보면 행복해지는 비밀이 무상에 담겼다는 게 금강 스님의 해석이다. 

“추운 겨울 잘 견디고 꽃 피워서 비바람 버텨 겨우 여문 게 사과입니다. 그런데 예전에 ‘맛있게 먹었던 사과’와 비교하면 지금 내 앞에 온 귀한 사과가 맛있을까요? 비교하는 상(相) 때문에 행복보다 불행을 더 많이 느낍니다. 무상은 바로 상이 일어나기 이전, 모든 순간을 그대로 보는 지극한 행복한 마음입니다.”

경전이 아니라 부처님과 제자들 그러니까 승가공동체에서 배울 수 있는 삶도 있었다. 원영 스님은 의식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강연했다. 남이 버린 옷을 꿰매 세 벌만 갖춰 입었던 분소의(糞掃衣)에서, 하루에 딱 한 번 걸식으로 얻은 음식은 모두 먹는 탁발에서, 숲이나 동굴에서 정진하는 모습에서 원영 스님은 간소함과 검소함을 발췌했다.

“내가 가진 소유물이 얼마나 많은가, 내가 가진 기본 생활의 원칙은 무엇인가 하는 것들을 생각해보고 좀 더 정갈하고 아름답게 살아갈 수 있었으면 합니다.” 

 

| 쉽게, 재밌게, 자애롭게!

전현수 정신과 전문의와 ‘하트 스마일 명상’을 고안한 미산 스님은 정신과 마음 건강을 다른 방향에서 접근했지만, 같은 목적지로 향했다. 전현수 정신건강의학과 원장은 “정신이 건강하면 어떤 것도 우리를 괴롭힐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신적 문제가 있다면 마음이 안 좋은 영향을 받는 곳으로 가 있고, 마음이 자꾸 그 방향으로 가면 길이 나고, 길이 나면 습관처럼 반복된다고 했다. 그 길을 끊거나 방향을 트는 수밖에 없다. “돌아오지 않는 과거를 곱씹지 마세요. 일어나지 않은 상황을 미리 마음에 담지 마세요. 그 마음(생각)을 멈추고 눈앞 상황에 집중하세요.” 

미산 스님은 “어떻게 해야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으로 시작했다. 스님은 일상 속에서 균형과 조화, 중도의 삶을 실천하는 방법을 ‘네 가지 커다란 마음수행’인 자비희사, 사무량심에서 찾았다. 나와 상대를 사랑하며 고통과 기쁨이 함께하는 마음을 실현하는 방법으로는 ‘자애 미소’라고 부르는 ‘하트 스마일 명상’을 제안했다. 

“경전에 있는 사무량심 중 금강석과 같은 귀한 가르침을 몇 가지 뽑아 ‘하트 스마일 명상’을 만들었습니다. 아주 단순합니다. 허리 세우고 같이 한번 해볼까요? 잊지 마세요. 수행은 쉽게(Easy), 재밌게(Fun), 의미 있게(Meaning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