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신화] 빡빡머리 사문의 고행은 무의미한가?

2020-09-29     동명 스님
파키스탄 라호르 박물관 소장 붓다의 고행상.

 

| 고행(苦行)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선방에 거의 공통으로 걸려 있는 그림은 붓다의 고행상(苦行像)이다. 붓다는 쾌락도 버리고 고행도 버린 중도(中道)의 길을 가라고 말했건만, 왜 우리나라 선방에선 고행상을 모셔놓은 것일까? 

몸을 일부러 지속해서 고통스럽게 만드는 수행을 고행이라 한다. 인도의 전통사상 속에서 고행(tapas)은 신(神, Deva)을 만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다. 인도의 서사시 『라마야나』에서 악마 라바나(Rāvana)는 1만 년의 극심한 고행을 통해 창조의 신 브라흐마(Brāhma)의 은총을 받아 죽지 않는 힘을 갖는다. 히란야크샤(Hiranyakṣa)라는 악마도 고행을 통해 그가 열거하는 어떤 유정(有情)에게도 죽임을 당하지 않는 은총을 입는다. 발리(Bāli) 또한 엄격한 고행을 함으로써 신으로부터 전 세계를 지배할 힘을 부여받는다. 이들은 모두 유지의 신 비쉬누의 화신들에게 죽임을 당하게 되지만,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영웅 아르주나(Arjuna)는 극심한 고행을 통해 쉬바 신에게 어마어마한 파괴력의 무기를 받고 그 무기로 맹활약을 펼친다. 이 이야기들은 고행이 인도 신화 속에서 얼마나 유용한 것인지를 말해주지만, 엄밀히 말해 고행은 고행자 스스로 자신의 힘을 기르는 수단이 아니다. 극심한 고행을 하다 보면 신이 이를 보고 응답하게 되고, 결국 신의 은총으로 고행의 대가를 얻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고행은 자력(自力) 수행이 아니라 타력(他力) 수행이다.

자력으로 붓다가 되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 싯다르타에게 고행은 어울리지 않았다. 고행림(苦行林)에서 고행자 박가와를 만났지만 바로 고행림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선정수행을 통해 늙음과 병듦과 죽음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싯다르타는 막막했다. 세간에 소문이 자자한 수행자들의 면모를 샅샅이 살펴보아도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 이상의 수행자는 없었다. 

싯다르타는 라자가하를 떠나 걷고 또 걸었다. 걷고 또 걷다 보니 가야 땅 우루웰라 지역에 다다랐다. 그때 싯다르타는 물속에 있는 나무들을 보면서 다음과 같은 비유가 떠올랐다.

첫째, 물속에 있는 화목에는 불을 지필 수 없다. 마찬가지로 세속에 발을 담근 채로 수행에 성공하기 힘들다. 둘째, 물속에 있던 화목을 꺼내었다 해도 마르지 않은 상태라면 불을 지필 수 없다. 마찬가지로 수행자가 세속을 떠났다 해도 애욕을 버리지 못한다면 수행에 성공할 수 없다. 셋째, 물에 빠졌던 화목이라 해도 마른 땅으로 끄집어내어 잘 말린다면 불을 지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애욕을 완전하게 버린 수행자는 수행에 성공할 수 있다(『맛지마 니까야』 「큰 삿짜까 경」).

이와 같은 생각을 하며 싯다르타는 마가다국의 여러 마을을 지나 우루웰라의 세나니 마을 숲속으로 들어섰다.

 

| 초인적인 고행에 돌입하다

세나니 마을 숲속에서 싯다르타는 역대급 고행에 들어간다.1 싯다르타는 이 숲속에서 반드시 수행을 완성하리라 생각하면서, 습기를 완전하게 말린 나무처럼 애욕을 완전하게 없애기 위해 고행에 들어갈 것을 결심했다. 그 결심은 ‘살갗만 남을 때까지 고행하겠다’, ‘오직 힘줄만 남을 때까지 고행하겠다’, ‘뼈만 남을 때까지 고행하겠다’, ‘살과 피가 마를 때까지 고행하겠다’ 등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싯다르타는 아랫니에 윗니를 얹고 혀를 입천장에 대고 마음으로 마음을 제압하고는 숨을 쉬지 않는 고행을 시도했다. 고행 속에서 한시도 마음챙김을 놓치지 않았지만, 몸이 극도로 긴장되어 마음도 안정되지 않았다. 이제 싯다르타는 음식을 끊고 수행하겠다고 다짐한다. 이때 신들이 다가와 싯다르타에게 말한다.

“존경하는 분이시여, 당신이 음식을 끊고 수행하시면 우리는 당신께 하늘 음식을 당신의 털구멍을 통해 공급해드리겠습니다.”

그러자 싯다르타는 신들에게 단호하게 부탁했다.

“나 스스로 충분히 음식을 섭취할 테니, 하늘 음식을 제공하지 마십시오.”

그리하여 싯다르타의 초인적인 절식(節食) 수행이 시작된다. 하루 한 줌의 수프에서 단 한 알의 좁쌀까지 음식을 줄여나갔다. 싯다르타는 극도로 몸이 말랐고 극도로 쇠약해졌다. 창자가 등뼈에 달라붙었고, 손으로 똥이나 오줌을 누려 하면 머리가 앞으로 고꾸라졌다. 손으로 몸을 만지면, 털이 몸에서 힘없이 떨어져 나갔다. 붓다는 훗날 당신의 고행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과거, 미래, 현재의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도 이렇게 혹독한 고행은 하지 못했고, 하지 못할 것이고, 하지 못하고 있다.”

붓다는 그런 극심한 고행으로도 “인간의 법을 추월하고 성자들에게 적합한 특별한 지혜와 견해를 얻지 못했다”라고 말한다.

이렇게 극심한 수행을 하고 있을 때 붓다의 출가와 전법 이야기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중요한 인물들이 나타난다. 싯다르타 왕자가 탄생한 직후, 또는 왕자가 출가했다는 소식을 듣고 출가수행의 길을 걷기 시작한 다섯 사문이 그들이다. 그들은 꼰단냐(Koṇḍañña), 앗사지(Assaji), 마하나마(Mahānāma), 밧디야(Bhaddiya), 왑빠(Vappa) 등이었다. 그들은 왕자를 찾아 헤매다 우루웰라의 숲에서 드디어 출가사문이 된 왕자를 만나게 된다. 그들은 도저히 흉내 낼 수 없는 고행을 감행하는 싯다르타를 보고 한없는 존경심을 표했다. 싯다르타가 곧 ‘부처님’이 될 것이라는 희망으로 왕자를 극진히 시봉한다.

그러나 끝내 고행은 싯다르타에게 출가 목적을 달성하는 훌륭한 수단이 되지 못했다. 어쩌면 싯다르타는 고행으로는 안 된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을지 모른다. 당신의 원력에 따라 태어날 곳을 결정할 때, 그는 이미 여러 수행처도 알아보았다.2 그러기에 그는 바이샬리에서 박가와를 만나 고행을 경험할 수 있었음에도 바로 떠났고, 외도들의 수행처도 아예 찾지 않았다.

고행은 싯다르타의 건강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 싯다르타는 숨 쉬지 않는 고행을 할 때 한때 실신하여 쓰러졌다. 이를 보고 어떤 천신들은 ‘사문 고타마가 죽었다’고 말했고, 어떤 천신들은 ‘사문 고타마가 아직 죽지 않았지만 죽어가고 있다’고 말했고, 또 어떤 천신들은 ‘사문 고타마는 죽은 것이 아니라 아라한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대불전경』은 싯다르타가 죽었다고 생각한 천신이 숫도다나 왕에게 “당신 아들이 죽었소”라고 말해주었다고 전한다. 이에 숫도다나 왕이 “내 아들은 일체지(一切智)를 얻기 전에는 절대 죽을 리 없소”라고 말했다 한다.3

1 이하 『맛지마 니까야』의 36번째 경인 「큰 삿짜까 경(Mahā-Saccaka Sutta)」의 내용을 중심으로 싯다르타의 고행을 그린다.
2 밍군 사야도, 최봉수 옮김, 『대불전경(4)』, 한언, 2009, 167쪽.
3 밍군 사야도, 앞의 책, 183쪽 참조

 

| 싯다르타 고행의 의미

싯다르타는 고행을 통해 원하는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고행을 버리기로 결심한다. 그렇다면 싯다르타의 고행은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신화로 치장되었건 사실 그대로이건 붓다의 생애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반드시 있다.

첫째, 인도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수행법인 ‘고행’이 유용하지 않음을 증명해준다. 붓다는 그 어떤 고행자라도 당신만큼 철저하게 고행한 이는 없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특별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면, 고행은 유용한 수행법이 되지 못한다. 싯다르타가 굳이 고행을 감행한 것은 그 당시 수행자들에게 고행이 큰 인기가 있었기 때문에, 스스로 그것이 유용하지 않음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둘째, 고행은 진정한 깨달음으로 가는 징검다리 역할을 했다. 고행을 한 연후에야 싯다르타는 어린 시절 농경제 때 선정에 들었던 경험을 떠올린다. 그 경험을 토대로 다시 수행에 열중함으로써 마침내 궁극적인 평화를 증득한다. 만약 고행을 경험하지 않았다면, 고행도 쾌락도 아닌 중도의 길이 깨달음의 길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힘들었을 수도 있다. 고행이 결론은 될 수 없지만, 훌륭한 과정이 되고 있음에는 분명하다.

셋째, 수행자는 적당한 고행을 감수해야 함을 말해준다.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 고행을 감행해야 할 경우가 많다. 붓다의 고행에 비하면 고행이라 할 수도 없는 수준의 것이지만, 근기가 약한 이에게는 나름대로 대단한 고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이에게는 3,000배가 엄청난 고행이고, 어떤 이에게는 1,080배도 고행이며, 또 어떤 이에게는 108배도 고행일 수 있다. 그런데 그때마다 ‘붓다는 고행을 올바른 수행법이라 하지 않았다’고 회피한다면 참으로 우스운 일일 것이다. 때로 우리는 제법 어려운 고행도 과감하게 단행해야 한다. 다행히 붓다와 같은 훌륭하신 선배가 있으니, 우리는 몸을 축내는 고행까지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고행에는 용감하게 맞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과거의 붓다들의 일대기를 그린 「대전기경(Mahāpadāna Sutta)」에 보면 위빳시 붓다 같은 경우는 특별한 고행의 과정이 보이지 않는다. 다른 붓다들도 깨닫기 전에 엄청난 고행을 했다는 얘기는 없다. 유독 석가모니 붓다만 6년이라는 긴 세월 누구도 경험하지 못한 고행을 감행했다. 『맛지마니까야』의 복주석서에 따르면, 석가모니 붓다의 전생인 바라문 조띠빨라가 깟사빠 붓다를 보고 “저 빡빡머리 사문이 어떻게 일체지를 얻겠는가?”라고 조롱한 과보로 싯다르타가 깨달음을 얻기 직전 그토록 엄청난 고행을 하게 되었다고 전한다.4 이 또한 인연 이야기를 만들어내길 좋아하는 인도인의 상상력이 빚어낸 것이 아닐까?

우리나라 선방에서 붓다의 고행상을 모범으로 삼아 수행하는 것은 보통 사람에게는 선방에서 편안하게 수행하는 것조차 고행에 가깝기 때문이 아닐까? 적어도 내게는 그렇다. 붓다에게 지극히 평이한 것도 고행이다. 그래서 오늘도 다짐한다. 적절한 고행은 감수하자!

4 밍군 사야도, 앞의 책 194쪽 참조.

 

동명 스님
1989년 계간 『문학과사회』를 통해 등단, 1994년 제13회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했다. 시인으로 20여 년 활동하다가 지난 2010년 지홍 스님을 은사로 해인사에 출가하여 사미계를 받았고, 2015년 중앙승가대를 졸업한 후 구족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 대학원 선학과에서 공부하면서 북한산 중흥사에서 살고 있다. 출가 전 펴낸 책으로 시집 『해가 지지 않는 쟁기질』, 『미리 이별을 노래하다』, 『나무 물고기』, 『고시원은 괜찮아요』, 『벼랑 위의 사랑』, 산문 『인도신화기행』, 『나는 인도에서 붓다를 만났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