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철학자의 사색] 삶이 멀미를 겪을 때

2020-09-09     김용규

차나 뱃멀미를 해본 사람들은 안다. 멀미가 말로 설명하기엔 얼마나 어려운 곤경인지. 우선 속이 메스껍고 뒤이어 현기증 비슷한 아찔한 느낌이 나 머리가 아프다. 침의 분비가 늘거나 식은땀이 나며 냄새에 극도로 예민해진다. 그 곤란한 멀미의 느낌을 잘 다루어 가라앉히지 못하면 끝내 토악질한 뒤 기진맥진한 상태에 이르는 수도 있다. 어린 시절 나는 대부분의 탈 것에 대한 첫 경험에서 멀미 상태에 빠지곤 했다. 심지어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까지. 의학에서는 멀미가 발생하는 원인을 눈으로 인식하는 것과 뇌가 감지하는 것이 서로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대략 안식(眼識)이 겪는 세계와 의식(意識)의 가늠 사이에 발생한 불일치가 그 원인이라고 설명하는 것과 같다.

|    선장은 왜 뱃멀미를 하지 않는가

30대 중반 즈음에 나의 삶은 아주 강한 멀미를 만났다. 버스나 뱃멀미에서 경험했던 것처럼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휩싸여 삶이 한없이 괴로웠다. 그간 씩씩하고 강건했던 내 삶이 왜 이토록 지독한 무방비의 멀미를 겪게 되었을까? 삶의 멀미, 그 원인은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극복 할 수 있을까? 어느 날 ‘멀미’가 청한 적 없는 화두처럼 내게로 찾아와 자꾸 질문을 퍼부었다. 당시 ‘내게 오는 모든 것은 기어코 올 것이 온 것’이라 여기는 마음이 생긴 나는 삶의 멀미를 피할 마음이 없었다. 아니, 피할 수도 없었다. 결국 멀미라는 진흙밭과 하나가 되어 뒹구는 시간을 보냈다. 반 십 년 정도 삶의 멀미를 회피 없이 통과한 뒤 나는 멀미에 대한 나의 개념과 원인 분석, 그리고 처방을 갖게 되었다. 나머지는 다음 호에 잇기로 하고 이번 호에서는 대략 그 개념과 원인의 일부에 관해 말해보기로 한다.

삶의 멀미, 그것은 불일치 또는 괴리감 때문에 발생한다. 본래 자기와 일치하는 삶을 사는 이에게 멀미는 없다. 즉 자기 안의 본성, 그 능동성과 생명성을 따르는 삶을 사는 존재들은 멀미를 겪지 않는다. 청정한 들의 풀과 숲의 나무들, 창공을 나는 새들은 멀미를 겪을 리 없다. 자기 안의 본성과 정확히 일치하는 삶을 살기 때문이다. 그들은 누가 시킨 적도 없는데 스스로 잎 틔우고 꽃피고 자유자재로 날아오른다. 본성이 꿈틀거려 움직이게 하는 능동의 길, 혹은 생명의 길에서 벗어나지 않을 때 그 존재의 삶은 자유자재하다. 물속을 유영하는 물고기의 그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수동의 길, 혹은 반 생명의 길로 들어서면 그 삶은 필연적으로 멀미와 만나게 된다. 생각해 보라! 직접 핸들을 잡은 운전자나 선장이 멀미하는 경우를 본 적이 있는가? 가고 있는 길을 알아채고 가는 사람, 즉 주인 자리를 차지하고 삶을 운행하는 사람은 멀미에 빠지지 않는다. 요컨대 멀미의 가장 근본적인 이유 하나는 바로 불일치감이다. 그것은 본래 자기와 세속 자기의 불일치요, 능동적 본성과 수동적 현실 사이의 불일치이다. 

 

|    울퉁불퉁한 길도 다 이유가 있다

삶이 멀미를 겪는 또 하나의 근본적 원인은 바로 리듬감 상실이라는 점이다. 리듬 위에서 사는 모든 생명의 삶은 조화롭고 아름답다. 솔개처럼 높이 나는 새들은 기류라는 리듬과 자신의 몸을 일치시켜 날개를 펼치고 접으면서 자유로이 비행한다. 영화 <니모를 찾아서>에서 시드니로 가는 ‘니모’라는 물고기는 해류의 리듬을 타고 먼 길을 손쉽게 이동하지 않던가! 꽃은 또 어떤가? 모두가 계절의 리듬을 타고 피고 지고 다시 피며 제 삶을 펼쳐내지 않는가! 수달과 부엉이와 박쥐, 거미와 나방과 분꽃과 달맞이꽃 같은 존재들은 밤의 리듬과 아름답게 춤추며 살아가지 않던가! 리듬과 완벽하게 하나가 된 사람의 춤 역시 얼마나 아름다운가!

이와 달리 리듬을 잃은 모든 존재는 덜커덩댄다. 300m 남짓의 넓지 않은 비포장 산길을 올라야 이를 수 있는 나의 숲 공간을 처음 찾아오는 손님 중 몇몇은 내게 이렇게 불평한다. “저 도로 좀 포장하시죠?! 차 부서질 뻔했어요!!” 나는 가만히 웃으며 조용히 대답한다. 

“길이 허락한 속도를 따라보세요. 시속 6km 정도에서 저 길과 차와 탑승자는 리드미컬해지더라고요. 아마 그게 저 길이 허락한 속도인 듯해요.” 

길이 펼쳐놓은 리듬을 타지 못한 차는 덜컹거리고, 그 운전자는 왕왕 길 혹은 그 비포장 길을 고수하는 주인장을 불평한다. 그때마다 나는 생각한다. ‘음악 고유의 리듬을 놓치고 부르는 노래나 춤은 아름다움을 빚어내지 못하는데, 이때 우리가 음악 고유의 리듬을 욕하거나 불평하던가? 아니면 리듬을 타지 못하는 나를 성찰하던가?’

삶이 멀미를 겪을 때 필요한 것은 깊은 성찰이다. 당황스럽고 괴롭다 해도 멀미가 어디에서 연기한 것인지 그 자리를 깊게 살필 일이다. 내 삶에 멀미가 찾아온 까닭이 혹시 어떤 불일치는 아닌지, 능동과 생명의 길, 혹은 리듬을 잃은 까닭은 아닌지.    

 

김용규
숲의 철학자. 숲을 스승으로 섬기며 글쓰기, 교육과 강연을 주로 한다. 충북 괴산 ‘여우숲’ 공간을 연 설립자이자 그곳에 세운 ‘숲학교 오래된미래’의 교장이며 ‘자연스러운 삶 연구소’의 대표다. 숲의 가르침을 통해 자신을 사랑하고 마침내 진정 타자를 사랑할 수 있는 힘을 회복해가는 과정을 사람들과 나누고 있다. 저서로는 『숲에게 길을 묻다』, 『숲에서 온 편지』, 『당신이 숲으로 와준다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