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코로나19 그후, 우리] 집단 혐오 배제 현상에 갇힌 약자 곁에 설 때 존재 이유

사회 속 불교

2020-06-23     박수호

코로나19는 전 세계를 변화의 시험대로 옮겼다. 비일상의 일상화. 변화의 폭풍은 가라앉고 인류는 살아남겠지만 다른 세상에 살 것이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영원한 것도 없고, 특별히 집착할 것도 없다. 부처님 가르침이다. 그러나 모든 이가 각별하게 기억하는 선명한 흔적이 있다. 지금까지 이어지는 코로나19 사태는 어느 한 국가나  민족을 넘어서 인류에게 뚜렷한 상흔을 남기고 있다. 일부 호사가들은 서구 사회가 예수의 탄생을 기점으로 역사를 구분하듯이 코로나19 사태는 또 다른 역사적 전기라고 주장한다.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 코로나 이후)’라는 생경한 개념, ‘뉴 노멀(New Normal)’이라는 용어에 거부감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을 겪는 과정에서 ‘코로나 이전’의 삶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암울한 전망을 선뜻 부정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 개인 자유보다 공동체 안전 우선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삶을 구분하는 핵심적인 변화는 ‘언컨택트(uncontact)’다. ‘비대면, 비접촉 혹은 거리두기’ 등으로 풀이하면 무리가 없을 이 현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뉴 노멀’의 대표적 상징이다.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사태의 초기부터 강조했던 ‘사회적·물리적 거리두기’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 언컨택트를 적용한 사례다. 혁신적 방역 모델의 하나로 평가받는 드라이브 스루 검사 방식, 손에 들려주는 것 대신 도착 문자로 배달을 종료하는 택배, 띄엄띄엄 앉거나 마주보기보다는 같은 방향을 보는 자리 배치 등도 언컨택트한 새로운 일상이다.

두 번째 변화는 ‘디지털 라이프’의 심화다. 물론 일상생활의 디지털화는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진행된 현상이다. 그러나 의도하지 않게 강제된 언컨택트는 디지털 라이프의 수용도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장을 보고, 학교에 가고, 종교 생활을 하던 아날로그적 생활은 느닷없이 디지털 영역으로 전환됐다. 그동안 디지털 세상에 적응하는 것은 익숙함과 편리함 사이에서 발생하는 선택의 문제였다. 아날로그의 삶은 다소 느렸지만 나름의 가치 때문에 약간의 불편함을 감내했다. 조금 불편하더라도 익숙한 방식으로 삶을 영위하는 게 불가능하지 않았다. 그러나 언컨택트가 일상화된 후에도 아날로그적 삶에 머물러 있다면 거의 모든 일상생활에서 고립되거나 배제될 수 있다. 생존 위협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세 번째 변화는 시민적 가치의 강조 현상이다. 근대화 이후 인류는 개인의 기본권을 보호하고, 강화하는 정치체계를 발전시켜 왔다. 과거 중세 유럽에서 신의 권위를 감히 침범할 수 없었던 것처럼 개인의 기본권, 특히 개인의 자유는 근대세계의 성역으로 자리 잡았다. 그런데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자유보다는 공동체의 안전이 더욱 중요하다는 사회적 합의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있다. 가택연금에 버금가는 감염자 격리, 다양한 수준의 이동 제한이나 집회 및 활동 금지, 공공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의 폐쇄나 접근 제한 등 감염병 위기로부터 보호하는 데 필요한 정당한 조치로 받아들여졌다. 이처럼 개인 권리보다 시민의 책임과 의무가 우선한다는 인식은 기존의 사회관계나 생활방식에 많은 변화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네 번째 변화는 위험의 현재화(顯在化)와 일상화다. 이미 울리히 벡이 위험사회론을 설파하면서 현대사회는 예측 불가능한 잠재적 위험이 상존한다고 주장했다. 벡은 위험 요소가 우리 주위에 늘 가능성의 상태로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리고 위험의 불확실성을 통제하기 위해 사회적 안전장치를 만드는 새로운 기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벡이 잠재된 위험의 예측 불가능성에 주목했다면, 코로나19 사태는 위험 요소를 표면화시켰다. 더 이상 위험은 수면 밑에 가라앉아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곁에 현실로 존재한다.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기 전까지 코로나19 위험은 변수가 아니라 상수가 됐다. 다행스럽게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이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인간은 지구 곳곳에서 개발이라는 허울을 쓴 채 자연과 인간 사회의 경계를 허물 것이다. 그 과정에서 인류에게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바이러스가 퍼질 가능성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더군다나 바이러스는 돌연변이와 진화를 거듭하는 생물이다. 인간의 예측 범위를 벗어나 있는 위험 요소다.

코로나19가 확산 되자 조계사 등은 예방 핸드북 배포하며 사찰 내 감염 방지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 VR·홀로그램 활용 의례 모색해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 노멀’에 부합하는 종교, 특히 불교의 역할과 위상은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코로나19 사태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다소 성급한 질문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변화의 방향성을 예측하고, 나름의 대안을 준비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코로나19의 여파는 종교계 안팎에서 새로운 과제들을 제기하고 있다. 우선 내부적으로는 의례와 종교공동체를 둘러싼 기존 관행에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의례와 종교공동체 활동이 사람들의 종교 정체성 형성에 핵심적인 메커니즘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변화는 미래 종교의 명운을 걸어야 할 수도 있는 심대한 도전이다. 

언컨택트와 디지털 라이프는 종교 내부의 과제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동안 의례는 대면적 상황에서 이뤄지는 게 일반적이었다. 종교시설의 규모나 구조에 따라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운집한 신도들의 밀접한 접촉은 불가피했다. 특히 성장주의를 지향했던 한국 종교계는 이런 경향성이 더욱 강한 편이다. 문제는 밀집과 밀접으로 대표되는 의례의 상황은 감염병 확산에 상당히 취약한 환경이다. 의례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행 문화도 문제다. 소리 높여 찬송가를 부르고 통성기도를 하는 기독교는 말할 것도 없고, 쉼 없이 염불과 절을 하는 불교의 각종 기도나 정근 수행도 감염에 취약하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비대면 및 비접촉 상황에서 종교적으로 유의미한 형식과 절차를 갖출 수 있는 의례나 신행 문화를 창출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디지털 라이프는 비대면, 비접촉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의례나 종교공동체 활동에 적절한 수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접근을 요구한다. 의례는 세속적인 일상에서 벗어나 성스러운 시공간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종교적 신비감이나 고유한 분위기를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하는 과정에서 많은 종교단체가 선택한 방법이 화상회의 시스템이나 각종 SNS를 활용한 의례의 온라인 중계였다. 준비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대처이기는 했지만, 성스러운 시공간이라는 의례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VR(가상현실)이나 홀로그램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비대면, 비접촉 상황에서의 의례 환경 조성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전개한 각종 온라인 소통방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종교공동체 활동을 강화하는 방법도 고민해야 한다. 

 

| 가장 아픈 곳 어루만지는 손길로

시민적 가치의 강조나 위험의 현재화 및 일상화는 종교 외부, 사회에서 제기하는 각종 과제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방역을 위해 일시적으로 각종 집회가 금지된 상황에서 일부 개신교 교회에서 종교의 자유를 내세울 때, 해당 교회에 몰아친 사회적 비난을 목격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해 종교적 가치와 시민적 가치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지, 혹은 종교적 가치를 통해 시민적 가치를 고양할 수 있을지 등을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또 사회 일부에서는 감염 여부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확진자나 완치자, 혹은 감

염 확산에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고 여겨지는 대상을 배제하고 차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감염자와의 접촉이 의심되어 자가격리한 사람들이나 퇴원한 완치자가 겪어야 하는 불안이나 따돌림 등은 병원이나 사회복지 영역에서 벗어난 사각지대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들이 겪는 고통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이태원 클럽 사태에서 번지는 성소수자에 관한 집단 혐오 등 바로 이런 영역에서 종교, 특히 자비와 지혜를 설파하는 불교의 적극적인 역할을 찾을 필요가 있다. 몸이 가장 아픈 곳에 약을 쓰듯, 사회에서 차별받고 배제되는 이들 곁에 설 때 불교의 존재 의의를 갖는다.

 

글. 박수호
사진. 유동영·조계사

박수호
중앙승가대 불교사회학부 교수. 고려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종교사회학, 
정보사회 및 문화변동, 사회운동 등 분야에서 불교 관련 사회학적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불교사회학 지평을 확장하는 데 관심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종교정책을 통해 본 국가-종교간 관계: 한국불교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민주주의, 종교성, 그리고 공화적 공존』, 『21세기 종교사회학』 등을 공저했다. 최근 포스트휴먼 사회와 불교, 불교의 사회적 책임 등으로 연구 관심을 넓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