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매일, 기도하고 기도하라] 제 자리를 찾는 기도

한국의 대표 기도처 2 경산 선본사 갓바위

2020-01-21     남형권

오르막길, 그리고 끝없이 이어진 가파른 계단, 선본사 갓바위로 가는 길은 먼 거리가 아님에도 겨울에 등에 땀이 밸 정도로 고되다. 기도하기 위해 올라가는 사람들은 중간에 바위에 걸터앉아 쉬기도 하고 뒤를 돌아보며 일행을 기다리기도 한다. 부처님이 계실 정상을 향해 묵묵히 시선을 던지는 사람, 잠시 주변 풍경을 훑어보며 동행자와 담소를 나누는 사람도 있다. 갓바위로 가기까지 행태는 제각각이지만 길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그리고 그 과정을 감내하여 다다랐을 때 누구나 갓바위 부처님을 뵙고 기도드릴 수 있다.

경상북도 경산시 선본사 갓바위는 수많은 사람이 손에 꼽는 기도 도량 중 하나다. 상단에는 갓바위 부처님과 유리 광전이, 중단엔 선본사 대웅전과 만불대원탑이 있다. 하단엔 칠성과 산신, 용왕을 모신 삼성각이 자리 잡고 있다.
팔공산 관봉에 앉아 계신 상단 부처님 정식 명칭은 관봉 석조여래좌상이다. 보물 제431호로 통일신라 시대에 조성됐으며 머리 위에 마치 갓을 쓴 듯한 자연판석이 올려져 있어 갓바위 부처님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지만 불상 왼속바닥에 조그만 약합을 들고 있어 이 불상 존명을 약사여래좌상이라고 부른다. 약사불에게는 치병을 기원해야 하겠지만 모든 부처님이 그렇듯 중생들의 다양한 바람을 내치지 않을 터, 갓바위 부처님도 마찬가지다. 기도하는 사람의 한 가지 소원은 반드시 들어준다는 이야기가 그래서 전해지고 있다.
갓바위 부처님이 모셔진 상단 정상에 올라 내려다보니 팔공산이 펼쳐 낸 너른 품에 이따금 흰 구름만 스쳐 간다. 싸늘한 겨울바람이 부는 이곳에 기도하러 온 사람들은 얼핏 봐도 200여 명이 훌쩍 넘는다. 갓바위 부처님을 마주했다. 두툼한 얼굴, 큰 표정 변화나 미소 없이 묵묵한 시선과 입술. 인자함보다는 어쩐지 엄숙함이 느껴졌다. 꼭대기에서 시방세계를 응시하고 있었을 갓바위 부처님,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생로병사 앞에서 무엇이든 지금 눈앞의 것에 집착하지 말고 멀리, 넓게 보라고 말씀 건네시는 듯하다. 막상 기도드리려니 꽉 찼던 원이 오히려 그 장엄함 앞에 비워지는 느낌이다. 이날은 주말이어서인지 대부분 형형색색 등산복을 입고 함께 기도 온 일행이 많았다. 반면 맨 앞줄에 옷이라고 부르기 어려운 누더기를 걸친 한 노인이 눈에 띄었다. 꾀죄죄한 피부, 헝클어진 머리와 거친 수염이 그가 지닌 삶의 무게를 말해주는 듯했다. 문득 그의 눈빛과 마주쳤다. 남루한 행색과 달리 맑고 깊었고 또 온전히 간절했다. 무슨 사연으로 저렇게 열심히 기도하고 있을까. 차마 다가가 묻지 못했다. 기도를 드린 후 갓바위에 계신 경현 스님과 도유 스님을 만났다. 하루도 빼놓지 않고 이 힘든 길을 올라와 기도하고 내려가는 사람만 무려 50여 명이라고 한다. 두 스님께 갓바위, 그리고 기도와 삶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Q ─ 기도할 때 무언가를 자꾸 바라게 됩니다. 어떤 마음가짐이 필요한지요?

경현 스님 전 출가 전부터 기도를 많이 했었어요. 보리암에서 매주 토요일마다 삼천 배를 하곤 했습니다. 바라는 게 아니라 그냥 좋아서 했어요. 한겨울에도 반팔을 입고 할 정도였죠. 돌아보면 그냥 하는 기도였고 내 안이 비었다는 느낌을 받는 기도였습니다. 생각을 잊고 무심으로 기도하는 행위, 전 그 자체가 무언가 쌓이는 게 있다고 믿습니다.

도유 스님 기도란 참회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길에 떨어진 돌, 마주치는 나무, 세상 만 물에 대한 감사가 수반되어야 합니다. 욕심과 집착 등 억눌린 마음을 완전히 내려놓고 비워내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처음 기도할 때 바라는 마음이 드는 건 당연합니다. 바로 그 기복신앙적인 측면에서부터 출발하는 거예요. 바라는 마음으로 정말 열심히 기도하다 보면 나중엔 어느 순간 눈물을 잔뜩 흘리고 이내 몸이 가벼워집니다. 그때 또 제대로 기도가 돼요. 바라는 기도도 간절하게 하면 됩니다. 화를 일심으로 내면 성불한다고 하는 말도 있잖아요. 본래처음 기도는 욕심을 낼 수밖에 없어요. 정말 숨이 턱턱 막힐 만큼 열심히 기도하면 성취하고, 어느새 욕심을 냈던 마음이 확 내려앉으며 눈물을 흘리게 됩니다. 그때 몸과 마음이 열리고 점점 내려 놓는 마음으로 기도를 하게 됩니다. 우리 세계는 말로 표현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이 많습니 다. 기도를 오래 하면 조금은 알게 되죠.

 

Q ─ 기도가 욕심을 냈다가 비우는 것처럼, 삶 또한 그런 과정으로 흘러가는지요.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경현 스님 삶은 끊임없이 바뀝니다. 그래서 일단 자기 자신의 자리가 어딘지 아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처음 마음 변하지 않는 게 중요합니다. 결혼해서 다들 변한다고 하잖아요? 만약 배우자와 싸우게 됐다면 초심으로 돌아가 보세요. 처음 상대방을 만났던 그 좋았던 순간을 떠올려 보세요. 그럼 다시 돌아올 수 있어요. 마음은 하루에도 수십 번 서울도 가고, 대구도 가고, 대전도 갑니다. 하지만 빨리 알아차려서 내 마음 고향으로 돌아와야 합니다. 누군가는 하루가 걸리고, 또 누군가는 이틀이 걸릴 테지만 돌아오는 게 중요해요. 그리고 삶은 내가 선택하는 겁니다. 주변에서 아무리 누군가가 뭐라고 해도 스스로 정하는 겁니다. 자기 안을 들여다보고 제 자리를 아는 게 중요하죠.

도유 스님 삶은 자기 자신이 완전한 실패를 했다고 느끼는 순간 내려놓게 됩니다. 성공가도만 달리던 사람은 끊임없이 원하고 찾기만 하죠. 개인 한 사람마다 습도, 업도, 공부도, 원도 전부 다릅니다. 자신의 한계보다 더 과한 욕심을 바라면 주위까지도 힘들어져요. 요즘 그래서 많은 사람이 명상을 하는 것 같아요. 스스로에 대해서 본인도 압니다. 이 정도가 내 한계구나, 내가 나를 완전히 알고 만족한다는 게 중요하죠. 더 안 된다고 비하하는 게 아니라 나 자신을 돌아보고, 알아차리고, 그냥 인정하는 거죠. 그래서 어떤 길과는 인연이 아닐 수도 있어요. 이곳 갓바위에도 수많은 분이 자녀를 위해 기도하러 오시죠. 저는 자식에게 한 가지 길만을 고집하는 부모를 만류합니다. 저마다 잘하는 게 있는 거예요. 자기 자신을 확실하게 알아차리는 과정에 있어서 기도가 중요합니다. 기도하다 보면 자신이 보이고 쓸데없는 욕심은 줄어들죠.

Q ─ ‘기도’를 통해 자기 마음의 터를 찾아갈 수 있는 건가요.

경현 스님 비워야 채워진다고 하잖아요. 기도도 삶도 순간순간에 집중해보세요. 잘해야겠다고
욕심부리지 말고 그냥 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전에 내 자리를 빨리 아는 게 제일 중요하죠. 내가 아닌 곳에서 자꾸 좇으면 주변 다른 사람에게도 민폐가 돼요. 그리고 욕심을 부리면 화가 옵니다. 빨리 알아차리고 그만두어야 해요. 내 자리가 아닌데 욕심부리며 ‘아니야, 넘을 수 있을 거야’ 생각하기 시작하면서 스트레스가 오고 화가 오죠.

도유 스님 내 기대치를 정하고 안 된다고 화내봐야 소용이 없어요. 기도도 삶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어차피 늘 왔다가 갔다가 해요. 한 가지 목표를 정해놓으면 다른 걸 볼 수 없습니다. 직선의 길만 있는 게 아니잖아요, 다양한 갈래 길이 있습니다. 굴곡도 있고요. 자꾸 욕심이 보이면 그만두어야 합니다. 제철소에서 뭔가 하나 만들 때도 쇠가 녹아서 나와야 하잖아요. 두꺼운 업장을 극복하고 새로 탄생하기 위해선 얼마나 많은 게 필요하겠습니까. 그래서 기도도 필요합니다.

Q ─ 갓바위는 기도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곳일까요.
도유 스님 갓바위가 무척 높은 곳에 있잖아요. 올라오는 그 과정부터가 기도라고 생각합니다. 매일 기도하러 오시는 분 중 한 분은 다리가 불편하셔서 다른 사람들은 30분이면 올라오는데 2시간이 걸려요. 우리가 열 발자국 걸을 때 아기처럼 한 발자국을 겨우 걸으시죠. 비가 와도 눈이 와도 정말 어렵게 올라오셔서 기도하고 내려가시는데 궁금해서 왜 매일 올라오시냐 물으니 “업장이 두터워서요”라고 한마디 하시며 미소지으시더라고요. 그런데 그 표정이 마치 부처님과 닮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전 그분이 산 부처님이 아닐까 생각해요. 수십 년간 믿음을 가지고 오신 분들이 계시기에 이곳, 바로 우리 모두의 갓바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글.
남형권
사진.
최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