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근 에세이] 야만의 시대 건너가기

2019-12-04     김택근

지난 한 해를 펼쳐놓으면 남루하다. 이맘때면 모든 것이 가라앉는다. 간절해진다. 한 해 끝에서는 누군가와 인사를 나누고 싶다. 나와 함께 초록별 지구에 사는 사람들, 같은 하늘 아래서 같은 시간을 먹는 사람들. 돌아보면 바람만 불어도 우리들은 흔들렸다. 믿었던 사람들이 내 품을, 그리고 세상을 떠나갔다.
고독한 사람이 고독하다고 말하지도 못했다. 이기심과 무관심이 사람 냄새를 지워버렸다. 쪼개지고 또 쪼개져 살다 보니 이웃을 잃어버렸다. 육체와 정신이 정보에 오염되고, 숱한 정보가 시키는 대로 허수아비 춤을 추었다. 정보전이 열을 뿜을수록 사회는 점점 차가워졌다.
지나 보니 참으로 어이없는 파닥거림이었다. 그러는 사이에 익숙한 것들이 우리 곁을 떠났다. 숱한 생명들이, 말과 글이, 도구와 풍속이 사라졌다. 그럼에도 강자들의 포식과 학살은 멈추지 않았다. 불교에서는 우리 인간이 토막 낸 시간을 상(相)으로 본다. 그 시간들이 분별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선방에도 속세의 시간이 흐른다. 1970년대 상원사에서 동안거에 들었던 지허 스님은 이런 글을 남겼다.“세모(歲暮)는 나에게 알려온다. 이제 한 해의 시간은 다 가고 제야(除夜)가 가까웠음을. 그러면서 타이른다. 한 해의 것은 한 해의 것으로 돌려주라고. 그러면서 마지막 달력 장을 미련 없이 뜯어버리고 새 달력 장을 거는 용기를 가지라고. 인간이란 과거의 사실만을 위해 서 있는 망두석(望頭石)이 아니라 내일을 살려고 어제의 짐을 내려놓는 자세가 있기에 인간이라고.” (지허 스님 『선방일기』) 우리는 한 해의 것을 한 해의 것으로 ‘무난하
게’ 돌려줄 수 있는가. 축복처럼 내리는 저 노을로 마음의 때를 닦아낼 수 있는가. 하지만 현실은 너무 무겁고 날카롭다. 살처분이란 신종어가 살기(殺氣)를 내뿜으면 산하가 온통 핏빛으로 물들었다. 돼지의 사체에서 흘러나온 핏물이 강물을 붉게 물들이는 현장은 지옥에 다름 아니다. 생활쓰레기보다 더 많은 말 쓰레기가 쌓여 있다. 썩어가는 말의 악취에 보통 사람들이 구토를 했다. 종교는 말세를 내세워 면죄부를 팔았다. 이 야만의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버려야 한 해를 온전하게 돌려줄 수 있는가. 지허 스님이 감지했던 제야의 시간이 다시 흐른다. 연말에는 홀로 머물며 세모가 보내는 소리를 듣고 싶은 곳이 있다. 바로 ‘스님의 방’이다. 흔한 그림 한 장 붙어있지 않은 빈방! 하지만 원래는 비어 있지 않았을 것이다. 부단히 삿된 것들을 버리고 지워서 비로소 탐진치(貪瞋痴)를 빼냈을 것이다. 노자도 설했다. ‘도를 위해서는 날마다덜고(爲道日損), 배움을 위해서는 날마다 더해야 한다(爲學日益)’고. 그렇기에 비어 있어도 충만하다.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세계가 빈방에 있다. 그런 스님의 방에 들어서면 텅 비어 있음이 경이롭고, 그속에 계신 스님이 한없이 존경스럽고 부럽다. 스님의 방에서 한밤을 지새우면 우주가 보내는 소리를 들을 수 있지 않을까. 만물은 있어서 없고 없어서 다시 있음이니, 창조와 소멸은 서로의 꼬리를 물고 있다. 처음과 끝이 엉켜 있다. 어둠이 빛이고 빛이 어둠이다. 그래서 스님은 마지막 달력을 미련 없이 뜯어버리고 새 달력을 걸라고 했을 것이다. 누군가가 우리에게 미래인이듯 우리도 누군가의 미래인이다. 우리는 뭉쳐서 새해로 들어간다. 돌아보면 지난 세월 웅크리며 잠을 청할 때가 많았다. 웅크리고 자는 모습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 태아의 자세라고 한다. 우리가 외로울 때나 아플 때 나도 모르게 웅크리게 되는 것은 어머니를 찾는 원초적인 본능인지 모른다. 지난 한 해 얼마나 간절히 어머니를 찾았는가. 새해에는 모두가 사랑하는 사람의 팔을 베고 잠이 들었으면 좋겠다. 다시 일어서야 한다. 다시 빛이 되어야 한다. 저 어둠에 우리 시대의 무엄한 것들을 묻으며 두손을 모은다. 새해에는 이름 없는 사람들의 기도가 모여 상서로운 기운으로 퍼질 것이다. 그래서 이 땅이 지옥이 아닌 정토임을 알릴 것이다. 어려울수록 우리는 더 많은 것을 나누었다. 모든 생명들에게 평화가 깃들기를 소망한다. 서로 아프지 않기를, 다시 꿈꾸기를, 그리고 부디 새 복을 지으시기를.

 

김택근
시인, 작가. 동국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오랜 기간 기자로 활동했다. 경향신문 문화부장, 종합편집장, 경향닷컴 사장, 논설위원을 역임했다. 1983년 박두진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