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서울대학교병원 법당

자비와 연민의 봉사현장 ‘병원법당’

2018-10-26     유윤정

자비와 연민의 봉사현장 ‘병원법당’

우리 불교계에 처음으로 환자들을 위한 법당이 문을 연 것은 1973년 해인사 정빈 스님에 의해 창건된 국립마산결핵요양원내의 관해사觀海寺가 처음이다. 그후 1987년 서울대병원에 종합병원 최초의 구내 법당이 생긴 이래 여러 병원에 법당이 운영중에 있다. 병원은 생로병사의 고통이 집약적으로 나타나는 중생들의 현장이다. 사람들은 병원에서 태어나고 늙고 병들어 병원에서 치료받고, 병원에서 삶을 마감한다. 자비와 연민의 손길이 가장 많이 필요한 곳이다. 불광은 대표적인 병원 법당 5곳을 찾아 환자 곁을 지키는 스님들과 자원봉사자들을 만났다.

 

01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법당  유윤정
02    서울특별시 북부병원 법당  김우진
03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법당  유윤정
04    서울대학교병원 법당   유윤정
05    인제대학교 해운대 병원 법당  김우진

 

병원법당에서 전수받는 삶을 대하는 자세 –  마스크를 쓰고 들어온 보살님이 느린 몸을 천천히 움직여 부처님 앞에 엎드렸다. “나무약사여래불, 나무약사여래불….” 부처님 왼쪽 무릎 맡에는 이름과 몸의 증세가 적힌 축원카드가 가득하다. 정성스레 절을 올리는 뒷모습은 절절하면서도 후련했다. 절 한 배에 근심을 내려놓고, 절 한 배에 발원을 품는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병원 지하 1층에는 일당백 불자들이 일당백 기운을 얻는 법당이 있다. 누구나 쉽게 찾아올 수 있도록 법당에는 문턱이 없다.

사진 : 최배문

|    일당백 법당의 일당백 가피
“부처님은 모든 생명을 이롭게 하고자 하셨죠. 이득이 아니라 이로움입니다. 엉켜있는 매듭을 풀어주는 힘이 이로움이에요. 우리 법당은 일당백입니다. 오늘 법당에 찾은 한 명이 이 병원 100명의 대표로 법당에 찾아온 것이에요. 그리고 대표로 오셨으니 수백의 불보살님이 살피실 겁니다.”
서울대학교병원(대학로) 법당 지도법사 은진 스님이 충만한 응원을 전하자, 법당을 찾은 이는 무거운 마음을 내려놓고 따뜻한 기운을 안고서 문을 나섰다. 법당에는 환자가, 가족들이, 간호사가, 의사들이 수백의 대표자로 찾아와 평안을 구하고 돌아갔다. 은진 스님은 부처님을 찾아온 이들에게 따뜻한 위안을 건넸다. 
스님이 원력을 세우고 이곳 법당에서 봉사한지도 30년이 흘렀다. 수많은 일당백 불자들이 스님을 거쳐 갔다.
이곳 서울대학교병원 법당은 1987년, 우리나라 최초로 종합병원에 개설된 병원법당이다. 당시 한용철 원장과 불자 의사, 간호사 80여 명이 중심이 돼 어린이병원에 4~5평 규모의 법당을 만든 것이 그 시작이었다. 지금 법당은 암병원, 치과병원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21평의 제법 규모를 갖춘 법당이 되었다. 그만큼 병원에서도 법당의 역할에 의지한다는 의미일 터이다. 
“의사들이 병을 낫게 하는 치료를 충분히 해주지만, 의료진들이 하고 싶어도 못 하는 것이 있어요. 보이지 않는 것이죠. 환자와 가족의 마음이 편안할 수 있도록 투병 의지를 돋아주는 것이 제 일입니다.”
은진 스님은 그것이 병원에서 종교인의 역할이라고 전했다. 병을 낫게 하기 위해서는 마음 에너지가 중요한 법. 진료를 받으러 온 이들에게 의술만으로는 위로되지 않는 마음의 불안을 덜어 주는 일, 생명을 조금 더 나누는 역할이라는 것이다. 스님은 매 순간 새 마음으로 손을 내민다고 말했다. 매일 오전 11시가 되면 수술 환자들을 위해 기도를 올리며, 투병하는 이들의 고통이 완화되기를, 장애 없이 퇴원하기를 발원한다. 병원을 돌며 아프다고 손을 뻗는 이에겐 내민 손을 꼭 잡으며 이야기를 나눴고, 법당을 찾아온 이들에게는 따뜻한 차를 내어줬다. 호스피스 / 완화의료병동에서 임종을 앞둔 이는 소매를 걷어 돌보았고, 살아갈 가족들을 살폈다. 
스님을 의지하는 이들은 환자뿐만이 아니었다. 스님은 병원 관계자들에게도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은진 스님이 살포시 미소를 머금으며 말했다.
“저는 걸어 다니는 무덤입니다. 다 제 안에 묻혀있어요. 그래서 저는 이곳에 오는 환자들에게 힘을 주고, 때로는 혼내서라도 살게 해야 합니다. 병을 이겨 내려면 자신의 마음을 다잡아야 합니다. 그리고 가족과 함께 이겨내는 것이에요. 또 어진 의사를 만나야 해요. 생명을 사랑하는 의사를 만나야 합니다. 그래서 의료진에게도 어진 의사가 되기를 당부하지요.”
스님의 당부처럼 서울대병원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직원불자회, 퇴직직원불자회, 의사불자회를 비롯해, 의사가 되기 위해 수련하는 학생들인 연건의불학생회와 치의대불학생회 정기법회가 자발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봉사자들의 모임인 병원공덕회와 완화의료병동봉사자들의 모임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었다.

사진 : 최배문
사진 : 최배문

 

|    생명을 조금 더 함께 나누는 일
은진 스님은 병원 법당은 자비행을 실천하는 수행처로, 보시하고 회향하는 데는 이만한 곳이 없다고 말했다. 이곳은 행을 할 수 있는 자리다. 무주상 보시다. 특히 스님이라면 더욱 병원법당에서 수행하기를 권했다. 뿐만 아니라 병이 생겨 병원에 온 이들도 수행의 기회로 삼으라 전했다. 
“병원법당에 오시는 분들은 모두 죽고 싶지 않아 해요. 하지만 사람이 한 번 살다 가는 사이, 생로병사에 있어서 병은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병이 오면 대체로 ‘내가 무슨 죄를 지어서 병원에 와 있나, 왜 나한테 이런 병이 왔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병은 사람의 명을 가져가려고 온 것이 아닙니다. 그러니 ‘부처님 말씀대로 생로병사, 내가 병의 자리에 왔구나’ 하고 알아차리길 바랍니다. 얼른 알아차리고 삶을 다이어트하길 바랍니다.”
육체뿐만 아니라 내가 살아온 삶을 다이어트를 해야 한다는 것. 그래서 스님은 반대로 건강할 때 한 번 정도 가볍게 아파보면 좋다고도 했다. 아프지 않으면 지금 이 순간이 극락임을 모른다. 그렇기에 병을 발견했을 때 잠시 멈춰 안 좋은 습관을 깎아낼 기회로 삼으라는 말이다. 새 출발하는 순간으로 삼기 위한 쉬어감이다. 
스님과 대화를 하는 중에도 법당을 오가는 이들이 많았다. 법당을 찾는 이들은 한 결 같이 모든 환자들의 쾌유를 발원하고, 뭇 생명들에게 이로움을 주려는 부처님처럼 모두 자비로운 마음을 냈다. 그 스님에 그 불자들이다. 하루에 두세 번, 꼭 시간을 내어 온다는 암병동 미화를 맡고 있는 김남정(62) 씨는 오늘도 “병원에 오신 분들이 무사히, 모두 편안한 마음으로 댁으로 돌아가시면 좋겠습니다” 하고 기도하고서 일터로 돌아갔다.
이어 병실 라운딩을 마치고 돌아온 봉사자들도 마찬가지다. 매주 두 번, 월요일과 수요일마다 입원 환자를 방문해 쾌유를 바라며 법담을 나누는 봉사자들이 환한 미소로 법당에 들어왔다. 이곳 법당에서 봉사한지 27년째라는 전영애(79) 씨와 조성애(75), 진정애(62) 씨는 오늘도 입원 환자에게 다정하게 인사하고, 병에서 빠르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발원하며, 병을 툭툭 털고 일어날 수 있는 힘을 전하고 돌아왔다. 
은진 스님은 병원에는 소중하지 않은 사람이 없다고 했다. 그래서 스님은 병원을 처음 찾았을 때, 치료나 수술을 받을 때 법당에 들러 마음을 안정시키고 가라고 당부했다.
“수술 환자들에게는 꼭 스님과 만나 이야기를 나눠 마음을 다스리고 수술실에 들어가길 권합니다. 반야심경과 신묘장구대다라니를 독경하길 권해요. 폴리스 라인이라고 하죠. 화엄성중이 지키고 도와주실 겁니다. 수술 전에 ‘부처님, 알아서 해주세요’ 하고 발원하면, 불보살들이 다 일거리를 받아가 살피십니다. 마음이 안정되어야 빠르게 쾌유됩니다. 초진 전에도 법당을 찾아서 부처님께 인사드리고 스님과 이야기를 나누며 마음을 안정시키길 바랍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법당은 일당백 스님부터 일당백 봉사자, 일당백 불자들의 마음이 모인 일당백 법당이었다. 법당을 나서는 길, 은진 스님은 합장한 이의 손을 폭 덮어 잡아주고서 “건강을 발원합니다” 하고 기도했다. 손끝에서부터 등줄기를 따라 따뜻한 기운이 흘러 들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