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성사 - 태사(太師)

연재소설

2007-09-14     관리자

[연재소설] 원효성사 - 태사(太師) 글·백운 그림·한상린 신라의 군사들은 왜군이 펼친 장사진의 허리 부분을 먼저 공략하여 배를 지키는 해안선의 부대와 산에 진을 친 부대를 둘로 나누는 데 성공하였다.
신라군에 허리르 앗긴 왜병들은 서로가 고립되어 물자 공급에 차질이 생기자 처음 상륙할 때와는 달리 완전히 수세에 몰려 산성은 산성대로 지키기에 바빴고 보급기지인 해안선은 그들의 배를 지키기에 급급한 것이었다.
"산성을 철통같이 포위하여 적의 물자가 고갈할 때를 기다려 친다면 저들을 깨뜨리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오."
원효는 휘하 장졸에게 이렇게 지시하고 산성의 적을 에워쌌다.
이때, 부산포(釜山浦)에 주둔하고 있던 신라의 수군이 오십여 척의 배를타고 다대포(多大浦)를 건너 서서히 왜선에 육박하기 시작하였다.
왜선에 남아 있던 적들은 수륙 양면의 협공을 받게 되자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은 마침 날이 어두어지자 횃불로 산성의 동료부대와 연락을 취하더니 이튿날 새벽이 되자 산성에 주둔한 병력이 총퇴각하기 시작하였다.
신라군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달아나는 적군에 기습을 가하니 왜적의 사상자는 부지기수였다.
"달아나는 왜적을 더는 추격하지 말라."
일만 명의 적군은 반수 이상을 잃은 채 배를 타고 달아나다가 신라의 수군에 의해 또 한 번의 시련을 겪고 본국으로 달아나기에 바빴다.
한편 원효는 금관성으로 개선하여 휘하장졸을 포상하고 며칠을 쉬었다. 생사를 판가름하는 전장에서의 한가한 시간은 황금보다도 귀중한 것이다.
언효는 이 한가한 시간을 이용하여 가락국(駕洛國)의 시조(始祖)인 김수로왕릉(金首露王陵)과 허왕후릉(許王后陵)을 돌아보고 성에서 가까운 절들을 참배하였다.
특히 허왕후가 모국인 중천축국(中天竺國)에서 싣고온 석탑을 모신 왕후사(王后寺)에 들러서는 감회가 깊었다.
불법을 전도하기 위해 수륙만리를 건너온 그 신념과 정성이라든지, 석탑을 모시고 오매 풍랑이 가라앉아 무사히 올 수 있었다는 것에 깊이 경의를 표하면서 자신이 의상과 함께 당나라에 유학가다가 도중에서 돌아오게 되었던 일을 회상하기도 하였다.
성에서 가까운 장유사(長遊寺)는 허왕후의 오라비인 보옥 조사(寶玉祖師)가 머문 가람이다. 장유(長遊)하신 것을 일컬음이며, 보옥 조사의 별호로 쓰던 말이다.
원효는 백제와의 싸움이 끝나면 보옥 조사가 생질인 일곱 왕자를 성불시켰다는 지리산(智異山) 칠불암(七佛庵)에 참배할 것을 맘 속으로 다짐하였다.
이렇게 여러 곳을 두루 돌아보고 성에 돌아온 원호는 그날 밤은 영 잠을 이루지 못하였다.
전승의 기분에 들뜬 병졸이나 성안의 백성들이 모두 잠든 자야반은 더 없이 적요하기만 하였다. 원효는 뜨락으로 나와 총총히 빛나는 별들을 우러러 본다.
서북 하늘에는 아직도 검은 기운이 자욱한 것으로 보아 피비린내 나는 전쟁이 계속되고 있는 모양이다.
그러나 상감과 유신 장군의 별이 찬연한 광채를 발하는 것으로 미루어 신라군의 입장이유리한 것만은 틀림이 없다. 다시 동녘의 왜국을 살펴본다. 왜국은 지금쯤 전의를 상실한 채 저희들끼리 서로 책임을 돌리느라 갈등이 쉬지 않은 듯 천기(天氣)도 어둡고 산란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왜국은 이제 크게 염려하지 않아도 되리라고 확신한다.
다시 탐라국이 있는 남서쪽의 천기를 살펴본다. 탐라국은 원채 작은 나라인 만큼 크게 우려할 상대는 아니었지만 백제와 동맹관계를 맺고 잇는 나라이니 경계하지 않을 수 없다.
"앗?…."
남서쪽의 해안선에 해당하는 부분에 갑자기 검은 기운이 끼기 시작한다. 천기도에 있어 흰 기운은 상서로움이지만 검은 기운은 흉조에 속하는 것이다.
"벌써 탐라병이나 아니면 백제병이 서남방에 침입한 징조로다."
원효는 곧 부하 장수를 깨워 새벽녘에 대군이 출동하도록 준비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무슨 기별이 왔사옵니까?"
"서남방 해안지대에 위험이 닥치고 있으니 그리로 출동해야 하오."
원효는 잠깐 눈을 붙이고서 먼동이 트자 대군을 이끌고 서쪽으로 향하였다. 대군이 오십 리쯤 행군하여 마침 묘시(卯時)인지라 마을에서도 아침을 짓느라 연기가 이집 저집에서 피어오르는 것이었다.
이때 서북쪽에서 한 대의 군마가 쏜살같이 달려오는 것이 눈에 띄었다. 이어 앞서 가던 첩보마가 중군으로 달려와서 원효에게 고한다.
"사수현(泗水縣)에서 급보가 왔습니다."
"무슨 급보던가?"
"예, 탐라병이 대거 침노하였다 합니다."
"파발을 불러오라."
이윽고 파발이 말을 탄 채 원효 앞에 나타나서 군례를 올린다.
"탐라병은 얼마나 되던가?"
"확실한 숫자는 알 길이 없사오나 만오천 명은 넘은 것 같더이다."
"음…, 우리 군사는 얼마나 있는가?" "병력은 고작 오천에 불과합니다."
"성을 지키고 있는가? 대적하여 싸우고 있는가?"
"아직은 성을 지키면서 적의 동태를 살피고 있사옵니다."
"음 -, 수고했소. 우선 기병 삼천을 앞세워 먼저 달려가서 우리 군사의 사기를 북돋우도록 하오."
원효는 즉시에 영을 내려 기병 삼천을 먼저 보내고 보병도 걸음을 재촉하도록 하였다.
금관성을 떠난 보병이 사수현의 고성(固城)에 입성한 것은 그날 밤의 해시(亥時) 경이었다.
원효는 보병을 편히 쉬게 한 다음 곧 지휘관을 모아 작전회의를 열었다.
"탐라병의 숫자는 거의 이만이나 되는 모양이오니 신중히 동병하심이 옳을까 하오이다."
사수현의 현령이 먼저 의견을 말한다.
"적이 많거나 적거나 간에 동병하는 것은 언제나 신중히 하는 게 좋소. 하지만 미리 위축되어서는 안 되오."
"아무튼 내일 일전을 치러 보고난 다음에 적을 격파할 계책을 세우심이 가할 듯 하옵니다." 한 장수의 의견이었다.
원효는 장수들의 의견을 다 듣고난 다음 이렇게 결론을 짓는다.
"탐라병은 원래 신라의 적수가 되지 못하오. 아마 이를 저들이 더 잘 알고 있을 것이오. 날이 밝으면 내 먼저 적장을 만나서 담판을 해본 다음에 싸움을 결정하도록 합시다."
원효는 탐라국에게 왜국과는 달리 동족이라는 애착을 갖고 있었다.
왜국은 민족이 다르므로 신라와는 언제나 합쳐질 수 없는 상대적인 입장이지만 탐라국은 때에 따라서는 하나로 합해질 수 있는 동족이 아닌가?
날이 밝자 원효는 승려낭도(僧侶郎徒)로 있는 제자 만선(萬善)과 두 사람의 화랑만을 데리고 탐라병의 진두로 향했다.
백기를 든 화랑 두 사람이 말을 달려 적진에 가서 원효의 서찰을 전했다.
"신라국 태사 원효는 탐라국 총수와 면담하고자 하오."
대강 이런 뜻을 전하니 탐라국 총수는 이에 선뜻 동의했다.
이윽고 원효는 탐라병의 진중에 들어가 그들의 총수와 마주 앉았다.
"나는 신라국 태사 원효올시다."
"예, 본인은 탐라국 대장군 양일한(梁一漢)이올시다. 오래 전부터 큰스님의 대명을 듣자왔더니 이제 여기서 뵈오니 영광이옵니다."
"신라와 귀국과는 통상이 잦지 못하였지만 아직 원한을 산 일이 없는 터에 이번에 불의의 내침을 받으니 실로 유감스러운 일이올시다. 아마 백제와 형제국의 우의를 맺은 관계로 운명을 함께 하자는 뜻인 듯 합니다만, 좀더 시야를 넓혀서 헤아려 주기 바라는 바외다."
"예, 실은 저희 입장으로는 백제가 위급한 터에 수수방관만 할 수는 없사옵기로 이렇게 동병하였습니다만, 귀국과는 아무런 원한관계는 없습지요."
"이웃 중원(中原)을 보십시오. 크고 넓은 지역이 한 덩이가 되니 천하의 주도권을 쥐고 있지 않소이까?
신라가 통일하든 백제가 하든 아니면 고구려가 통일하든 간에 우리 배달민족도 하나로 뭉쳐져야만 중원에 먹히지 않을 것이오.
지금 고구려나 백제, 그리고 우리 신라의 조정을 살펴보시오. 고구려는 오두미교(五斗米敎)에 현혹되어 국왕이 나라를 돌보지 않고 있고 백제의 의자왕(義慈王)은 주색에 빠져 성충(成忠)같은 충신을 죽이고 실정을 거듭해 오지 않았소이까?
하지만 신라국의 국왕은 나라와 겨레를 위하여 시종여일하게 선정을 베풀고 대각간 김유신 장군을 위시한 만조백관과 위정자들은 상감의 뜻을 받들어 국력을 기르는 데 총력을 기울여 왔소이다.
위정자가 총명하고 어지니 백성이 모두 따르고 백성이 따르니 국력은 날로 튼튼해져서 이만하면 우리 배달민족을 병탄할 실력과 복력을 갖추었으므로 먼저 가까운 백제국왕에게 백성을 저버린 죄를 묻게 된 것이외다."
시종 잠잠히 듣고 있던 탐라국 장수는 고개를 끄덕이더니 "큰스님 말씀을 듣고보니 소장 등이 경거망동한 것 같습니다. 하오나 익히 아시는 바와 같이 소국과 백제와는 오래 전부터 형제의 맹방으로 지내온 사이이니 백제국에 신의를 저버리지 않았다는 명분만 내세울 수 있다면 저희는 물러갈까 합니다."
"참으로 감사한 말씀이오."
원효는 탐라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럼 이렇게 하면 어떻겠소?"
"?…."
"머잖아 신라군과 백제는 사비성에서 일대결전을 치룰 모양이오. 그러니 미구에 싸움은 끝이 날 것이니 여기에서 보름 가량 둔병하고 있다가 귀국하시오. 그리하면 백제와의 신의도 지키게 될 것이며 우리와도 의리를 상하지 않게 되지 않을까 싶소."
-계속

본 기사는 불광 사경불사에 동참하신 김은영 불자님께서 입력해 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