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空)이 무엇인가요?

영어로 배우는 불교

2007-01-23     관리자

Q: What is ‘emptiness’?
A: It can be understood as the Middle Path based on Nagarjuna or Oneness based on Seon (Zen).

Q: How can I understand ‘emptiness’5 connecting with Oneness?
A: In such case, ‘emptiness’ is transcendental emptiness. It means form is nothing other than emptiness; emptiness is nothing other than the form. Therefore, in this stage, samsara and nirvana or Buddha and sentient being are one. This is called ‘emptiness’.

Q: How should I then understand ‘emptiness’ connecting to the Middle Path?
A: In such case, ‘emptiness’ means unreality (things do not exist) and reality (things exist).

Q: It is really hard to understand. I can’t especially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ptiness’ as oneness and the ‘emptiness’ as the Middle Path. How are they different?
A: The ‘emptiness’ as oneness focuses on the nature of non-discrimination or absolute equality between ‘I’ and ‘You’. On the other hand, the ‘emptiness’ as the Middle Path emphasizes transcendence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Q: It is still hard to comprehend. Could you explain about “emptiness” a little bit easier than that? I would like to know how you personally understand the word ‘emptiness’.
A: From my understanding (in the conventional level or in the level of unenlightened mind), I think ‘emptiness’ is the teaching of interrelationship or interdependence among all things including living and non-living things. I also understood that ‘emptiness’ is the root of wisdom; its fruit is compassion.

Q: Then what is ‘emptiness’ in your own words?
A: I think it is mind, Buddha, and sentient being. The mind produces all; all that are produced are in the mind.

Q: Do you mean in order to understand ‘emptiness’, one has to understand the mind?
A: Yes.

Q: Is there any way to understand or practice “emptiness”?
A: You can’t understand or practice ‘emptiness’ conceptually. You can only experience it.

Q: How can I experience ‘emptiness’?
A: The only way to experience ‘emptiness’ is being present

Q: Do you mean “being present” is the only way to understand ‘emptiness’?
A: Yes.

Q: Could you explain how to be present?
A: You can exercise two things: one is to meditate on interrelationships among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the other is to medit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le and phenomena.

Q: What can I realize through these two practices?
A: You will see the law of ‘cause and condition’ through meditating on interrelationships among all things. You will also see ‘emptiness’ when ‘cause and condition’ disappears and see the ‘form’ when ‘cause and condition’ arises.

Q: Then what makes the ‘cause and condition’ to arise or disappear?
A: It is the mind. If the mind moves, ‘cause and condition’ arises, then ‘form’ will also arise. If the mind does not move, ‘cause and condition’ disappears, then ‘emptiness’ will arise. However, ‘emptiness’ in this level is not the absolute emptiness but relative emptiness.

Q: How can I attain the level of absolute emptiness or enlightenment?
A: It is to transcend the relativity between ‘emptiness’ and ‘form’. That is, I believe if you transcend both ‘emptiness’ and ‘form’ and flow with the four phases of form (rising, abiding, changing, and extinction) along with the ‘cause and condition’ without attachment, you will arrive at the other shore of nirvana.



문: ‘공(空)’이 무엇인가요?
답: 공은 나가르주나(용수)에 의하자면 중도(中道)로 이해될 수 있고 선(禪)에 의하자면 ‘하나’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문: ‘공(空)’을 어떻게 ‘하나’와 관련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까?
답: 그 경우에 공은 초월적 공(공의 공)입니다. 즉, 색즉시공 공즉시색입니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서는 세속과 열반, 부처와 중생이 하나입니다. 그것을 “공”이라고 부릅니다.

문: 그렇다면 ‘공’을 중도와 연결해서는 어떻게 이해합니까?
답: 그 경우에는 ‘공’이 비실재(사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와 실재(사물이 존재한다는 것)를 의미합니다.

문: 이해하기가 정말로 어렵습니다. 특히 ‘하나’로서의 ‘공’과 중도로서의 ‘공’의 차이점을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그 둘이 어떻게 다른가요?
답: ‘하나’로서의 ‘공’은 ‘나’와 ‘너’사이의 무차별성 또는 절대적 동등성에 초점을 둡니다. 반면에 중도로서의 ‘공’은 존재와 비존재 사이의 초월을 강조합니다.

문: 여전히 이해하기가 힘이 듭니다. 좀더 쉽게쉽게 설명해 주실 수 없을까요? 다시 말씀드려서 당신이 개인적으로 ‘공’이라는 말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고 계시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 제가 이해하기로는 (세속적 수준 또는 깨닫지 못한 마음의 수준에서) ‘공’은 생명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을 포함한 일체 존재들간의 상호연결성 또는 상호의존성에 대한 가르침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는 또한 ‘공’은 지혜의 뿌리이며 ‘공’의 열매가 자비라고 이해했습니다.

문: 그렇다면 당신 자신의 말로 ‘공’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답: ‘공’은 마음이며 부처이며 중생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마음이 모든 것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또한 만들어진 그 모든 것은 마음에 있기 때문입니다.

문: ‘공’을 이해하려면 마음을 이해해야 된다는 말씀인가요?
답: 그렇습니다.

문: 어떻게 ‘공’을 이해하거나 닦을 수 있습니까?
답: 당신은 ‘공’을 개념적으로 이해하거나 닦을 수는 없습니다. 오직 체험할 수 있을 뿐입니다.

문: 어떻게 ‘공’을 체험할 수 있습니까?
답: ‘공’을 체험하기 위한 단 한 가지 방법은 현재 순간에 머무는 것입니다.

문: ‘공’을 이해하는 유일한 길이 ‘현재에 머무는’ 것이라는 말씀입니까?
답: 그렇습니다.

문: 어떻게 하면 현재에 머물 수 있는지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답: 두 가지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우주의 일체 만물이 다 서로 연결되어 있음에 대해 명상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원리와 현상의 관계에 대해서 명상하는 것입니다.

문: 그와 같은 두 가지 수행을 통해서 무엇을 깨달을 수 있습니까?
답: 일체 제법간의 상호 관계를 명상함으로써 당신은 인연법을 보게 될 것입니다. 또 인연이 사라지면 ‘공’을 보게 될 것이고 인연이 생겨나면 ‘색(色)’을 보게 될 것입니다.

문: 그러면, 무엇이 인연을 생겨나게 하고 또 사라지게 합니까?
답: 마음입니다. 마음이 움직이면 인연이 발생하고, 그러면 ‘색’이 또한 일어날 것입니다. 만일 마음이 움직이지 않으면 인연이 사라지게 되고 그러면 ‘공’이 발생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 수준에서의 ‘공’은 절대적 공이 아니라 상대적 공입니다.

문: 어떻게 절대공, 또는 깨달음의 수준에 도달할 수 있습니까?
답: 그건 ‘공’과 ‘색’ 사이의 상대성을 초월하는 것입니다. 즉 공과 색을 초월하고, 인연 따라 일어나는 ‘색’의 4가지 단계〔생주이멸(生住離滅)〕와 함께 집착함이 없이 흘러가다보면 열반의 저 언덕에 도달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