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이不二의 땅, 영축산 통도사

2015-01-29     불광출판사

 

거대한 날개를 펼치고 자재로이 창공을 나는 한 마리의 독수리. 영축산靈鷲山이다. 산의 남쪽 기슭, 바람은 적요하고 소나무 울창한 터에 영축총림 통도사는 자리 잡고 있다. 독수리의 형상을 닮아 축서산鷲棲山이라 하다가 신라 선덕여왕 15년(646) 통도사 창건과 함께 영축산으로 불리게 된다. 부처님 당시 설법하시던 바로 그 산이다. 진속불이眞俗不二. 2,500여 년의 시공을 뛰어넘어 화엄의 설법이 울리는 땅. 금방이라도 날개를 퍼덕일 듯 기운찬 산은 통도사와 산중암자들을 안온한 깃털 아래 자애롭게 품어 안고 있었다. 

2.png
 


| 부처님 진신사리 금강계단에 모시다
통도사는 선덕여왕 15년(646) 자장율사(慈藏律師, 590~658)가 창건했다. 귀족 출신으로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20대 초반 논과 밭을 희사하여 원녕사를 짓고서 불가에 귀의한 스님은 대신의 자리에 오르라는 여러 차례의 왕명을 단호하게 거절했다. “단 하루를 살더라도 계를 지키고 죽을지언정 파계를 하고 100년 동안 살기를 원하지 않겠다.”던 사자후는 유명하다. 이후 당나라로 유학을 떠난 자장 스님은 중국 계율종의 본산인 종남산과 문수보살의 주처인 오대산에 머물렀다. 여기서 자장 스님은 문수보살의 현신을 만나 석가모니부처님이 입던 가사 한 벌과 발우 하나, 부처님 정수리 뼈와 치아사리 등을 전해 받고 643년 선덕여왕의 요청으로 귀국했다. 

스님이 부처님 가사와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금강계단을 세우자 사리를 친견하고자 열망하는 많은 사람들의 참배가 이어졌다. 통도사가 신라의 계율근본도량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진 금강계단에서 계를 받는 것이 곧 부처님으로부터 직접 계를 받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었다. 자장율사는 우리나라에 화엄사상을 처음으로 전한 인물이기도 하다. 매년 연말 통도사가 열고 있는 화엄산림법회는 화엄사상을 전파한 자장율사의 맥을 잇는 설법의 장이다. 통도사 대웅전에는 진신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을 향해 참배할 수 있도록 불상을 모시지 않고 금강계단을 볼 수 있는 창을 냈다. 전각의 4면마다 서로 다른 현판이 걸려 있다. 동쪽에는 ‘대웅전’, 서쪽에는 ‘대방광전’, 남쪽에는 ‘금강계단’, 북쪽에는 ‘적멸보궁’이다. 대웅전 지붕의 상부에는 도자기로 빚은 연꽃봉오리 장식이 있어 장엄에 기울인 정성이 엿보인다.

통도사의 가람 배치는 독특하다. 안쪽의 금강계단을 기점으로 하여 완만한 경사를 따라 30여 동의 전각들이 물 흐르듯 내려오며 들어서 있다. 이 전각들을 상로전, 중로전, 하로전 영역으로 묶어 구분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가람 배치는 한국불교의 사찰건축에서 유일하다. 통도사는 창건 이래 1,300여년이 흐르는 동안 전각들이 하나 둘씩 끊임없이 지어지고, 고쳐지고, 옮겨졌다. 그 결과, 역대 불교건축이 지녔던 모든 신앙을 함축한 전각들이 빠짐없이 자리하고 있으며 각 건물의 상징과 건물들 사이에 존재하는 절묘한 공간 기법이 응집되어 있다.



 | 한국불교를 빛낸 통도사의 세 거목, 구하・경봉・월하
동안거 결제일 새벽. 달빛이 내린 통도사 경내에 도량석이 울려 퍼진다. 장엄한 새벽예불을 마치고 중로전 동쪽에 자리한 영각으로 사중의 스님들이 모여든다. 이곳에는 85폭의 역대고승 진영이 모셔져 있다. 영각은 평소에는 문을 열지 않아 참배의 기회가 드문데, 동안거 결제를 맞아 치르는 ‘영사재’ 의식을 위해 잠시 문을 연 것이다. 이곳에서는 통도사를 창건한 자장율사를 비롯해 구하 스님, 경봉 스님, 월하 스님 등 통도사를 빛낸 역대 큰스님들의 진영을 만날 수 있다.

구하(九河, 1872~1965) 스님은 구한말의 혼란기에 태어나 시대의 운명을 고스란히 짊어진 삶을 살았다. 10대 초반의 사미승 시절, 원님 행차에 머리를 조아리지 않은 일로 수모를 당하면서 권력의 부조리와 승려에 대한 천대를 뼈저리게 겪는다. 통도사에서 문자를 익히고 경전을 배운 구하 스님은 참선공부도 철저히 하여 선・교・율에 달통했다. 서예에도 능해 불가의 사상을 많은 작품으로 남겼는데 통도사 일주문 앞 석주에 새겨진 ‘方袍圓頂常要淸規(가사 입고 머리 깎은 이들은 반드시 청규를 지켜야 한다.)’, ‘異姓同居必須和睦(성씨가 다른 사람들이 같이 동거하므로 화목이 반드시 필요하다.)’이 구하 스님의 필치다. 

구하 스님은 1911년부터 1925년까지 통도사 주지를 역임하면서 승려들이 현대적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 설립에 많은 투자를 했다. 동국대 전신인 명진학교, 부산의 해동고등학교, 보광중학교 등이 구하 스님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다. 그런가 하면 3.1운동 이후로 일본 측의 요주의 인물이 된 만해 한용운 스님을 통도사 안양암에 모시고 물심양면으로 도왔다. 이때 집필된 것이 『불교대전』이다. 만해 스님의 「불교유신론」 간행비용 역시 구하 스님이 맡았다. 비밀리에 독립운동자금을 대기 위해 발우포에 돈을 싸서 인편에 상해로 보내기도 했다. 

구하 스님이 시대적 전환기에 통도사의 사격을 공고히 했다면, 그 바탕에서 깨달음의 꽃을 피운 인물이 경봉(鏡峰, 1892~1982) 선사이다. 통도사 극락암에 주석했던 경봉 스님은 근현대 한국 간화선의 대표 선지식이다. 스님이 말년에 대중들을 제접하던 1960~70년대에는 전국에서 구법 수행자와 지식인들이 극락암으로 몰려들었다. 훤칠한 키에 미소 띤 선사의 풍모는 시원하고 따뜻했다. 스님은 대중을 만날 때마다 항상 화두 의심의 종자를 심어주었다. 1970년대 말 가수 조용필이 방황의 시기에 우연히 극락암에 들렀다. 경봉 스님이 조용필에게 말했다.

“너는 뭐하는 놈이냐?” 

“저는 노래 부르는 가수입니다” 

“그렇다면 너는 꾀꼬리로구나? 꾀꼬리를 찾아야겠구나, 꾀꼬리를 잡아와봐라.”

이것은 조용필에게 던진 선문답이었다. 그후 그가 만든 노래가 ‘못찾겠다 꾀꼬리’라고 한다.

한편 월하(月下, 1914~2003) 스님은 안으로는 청정한 지계를 닦고 밖으로는 대중포교에 매진하였다. 서울 강남지역 포교를 위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스님은 통도사가 소장한 석가모니부처님 금란가사와 자장율사의 가사를 구룡사 천막법당으로 이운해 친견법회를 갖도록 했다. 전례가 없던 일로 통도사 대중과 문화재청 관계자 모두 극구 말렸지만 월하 스님의 결단은 거침없었다. 1986년 ‘전국불교청소년하계수련대회’ 때에는 4박5일 수련회에 2,600여 명이 몰리자 30만 평 과수원의 밤나무를 모두 베어내고 행사장과 캠프시설을 설치하도록 했다. 청소년포교 역사상 희대의 사건이었다. 1991년 교구본사 최초의 사회복지법인인 통도사 자비원 설립을 지시한 것과 한국 성보박물관의 시초라 할 수 있는 통도사성보박물관을 세계 최대 불화전문박물관으로 건립한 것 역시 불교계 복지와 문화 분야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가져온 월하 스님의 행적이다.


 

| 상서로운 도량의 수행가풍과 포교 원력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상서로운 도량 통도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국지대찰이자 불지종가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본사이기도 하다. 통도사가 불보종찰로서의 면모 뿐 아니라 불佛・법法・승僧의 요소를 모두 갖춘 삼보三寶사찰이라는 점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영축총림 통도사 대가람의 외형 안에는 신라시대의 대국통大國統으로 추앙받던 자장 율사를 통해 안치된 부처님 진신사리, 산내암자인 서운암의 장경각에 고려대장경을 원형그대로 도자기판에 조성한 16만 도자대장경, 그리고 천이백 청정비구・비구니 대중이라는 보물을 간직하고 있다. 18개 암자와 170개 말사를 거느리고 동안거 결제일 현재 안거 대중 450명이 정진 중이다. 상로전에 자리한 보광선원, 극락암의 호국선원, 서운암의 무위선원 등 세 곳의 선원을 비롯해 27명이 결제 중인 영축율원, 학인 60여 명이 경전을 배우고 있는 강원 그리고 재가선원까지 선・교・율 삼장의 서릿발 같은 수행가풍을 드높이고 있다.

통도사의 포교 원력 또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울산, 마산, 창원, 밀양 등 인근 도시에 산하시설 18개를 운영하며 구룡사, 여래사, 내원사 등 서울 시내에만 20여개 포교당을, 대구 한국불교대학 관음사, 부산포교당 불지사, 홍법사 등 지역 내에는 22개 포교 거점 사찰을 두고 있다. 호주 정법사, 미국 원각사, 홍콩 홍법사 등 해외에까지 통도사의 포교 원력은 무한히 뻗어나가고 있다. 

복지와 문화도 예외가 아니다. 통도사는 불교계 최대 규모의 요양병원 건립을 추진 중이다. 불교병원이 없어 이웃종교 병원에서 열반하는 불자와 스님들의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현재 200병상을 모연 중으로, 부지 1,806평에 연면적 1,649평으로 건립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개산대제를 전통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축제의 장으로 바꾸었으며 지난해에는 양산시의 협력 아래 통도사 산문에서 일주문까지 1㎞ 구간의 무풍한송無風寒松길을 ‘걷고 싶은 명품길’로 조성했다. 양산시는 2017년까지 통도사 일대를 역사문화관광벨트로 조성할 계획이다.  

통도사에서는 매년 동짓날부터 30일 간, 30명의 법사진이 매일 오전과 오후에 『화엄경』을 강설하는 화엄산림법회가 봉행된다. 해마다 이 기간에는 매일 3천여 불자들이 뜨거운 구법 열정으로 법회 현장을 찾는다. 찾아드는 이마다 금강계단의 상서로운 법향에 절로 깊이 고개 숙이는 통도사. 통도사의 겨울이 춥지만은 않은 이유는 그곳에 화엄의 도리가 설해지고 있어서가 아닐까.

 

8.png
 
허공처럼, 우주의 주인이 되는 삶
통도사 주지 원산 스님

통도사는 동짓달 초하루부터 그믐까지 화엄산림법회를 엽니다. 1971년에 극락암 경봉 스님께서 시작하셨지요. 이 화엄경이 팔만대장경 가운데서 가장 먼저 설하신 것이고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를 바로 말씀하신 겁니다. 화엄에 우주가 다 들어가 있어요. 화엄산림을 통해서 가정을 화목하게 하고 사회를 편안하게 만들고 남북통일, 세계평화를 다 이룰 수 있습니다. 본래 산림山林이라는 말이 ‘최절인아산摧折人我山 장량공덕림長良功德林’에서 나왔지요. 나니 남이니 하는 인아人我의 산을 꺾어버리고 평등하게 공덕의 숲을 이룬다는 말입니다. 나는 훌륭하고 너는 못났다든지 너는 훌륭하고 나는 못났다든지, 나다 남이다 하는 그 생각 때문에 갈등과 불화, 시비와 전쟁이 일어납니다. 이 생각이 없어져야 같이 더불어 잘 살게 된다고 하는 것이 화엄경의 도리입니다. 인류 행복과 세계 평화가 그 속에 있어요.

제가 요즘 법문할 때 세계는 일화요 우주는 일가다, 그럽니다. 인공위성 타고 저기 우주에서 보면 지구가 한 송이 꽃처럼 예쁘답니다. 그래서 세계일화지요. 그리고 당신 집이 어디요, 하면 부산 해운대구 무슨 아파트 몇 동 몇 호 하는 것은 잠잘 때 자기 집이지, 집 밖에 나오면 그게 어디 자기 집이에요? 이 우주가 내 집이지요. 실제로 우주가 내 것이라 이 말이거든요. 우주 공간의 공기를 호흡하는데 왜 남의 공기 호흡하느냐고 시비하는 사람 없잖아요. 그런데 5분만 숨 못 쉬면 죽어버려요. 얼마나 이 공기가 소중합니까? 수많은 돈보다 이 공기가 더 소중한 거예요. 우주 공기가 내 것이고 태양이 내 것이죠. 모두에게 평등하게 주어져 있지요. 그리고 이 땅이 전부 내 거잖아요. 세계 어디든지 밟고 다니니 땅이 전부 내 것이요, 우주가 다 내 집이라는 것이지요.

요새 초등학생들도 국가의 주인이 누구냐, 하면 국민이요, 합니다. 한 가정에는 가족이 주인이고 시에는 시민이 주인이고 한 나라에는 국민이 주인이듯이 이 우주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가 우주의 주인이에요. 그러니까 주인의식을 가지고 세상을 살아야 돼요. 우주의 주인으로서 공기도 깨끗하게 하고 수질도 오염을 시키면 안돼요. 모두가 한 가족이니까 모든 생명체가 누구든지 잘못되면 안돼요. 둘이 아닌 불이不二, 원융화합입니다. 노동자가 없으면 사용자가 없고 사용자가 없으면 노동자가 없어요. 사용자가 없으면 누가 월급을 주고, 노동자가 없으면 누가 일을 해서 회사를 운영해요? 하난 줄 알아야 될 건데 다르게 생각하고 자기를 주장해서 갈등이 일어나지요. 화엄산림의 뜻이 같이 더불어 잘 살도록 하자는 데 있습니다. 

그러니까 걱정할 게 없어요. 스님은 혼자서 외로워서 우예 삽니까, 하는데 그게 아니고 천하에 보이는 여성들이 다 내 사람, 만나는 사람마다 내 사람입니다. 하나에 걸려 있으면 하나에 걸려서 다른 것을 차지하지 못해요. 그래, 『허공처럼 살아라』 이런 책이 하나 곧 나올 건데, 이 허공이 아무 것도 안 가지고서 텅텅 비어 있잖아요. 허공이 만약에 막혀 있으면 새가 어떻게 날고 비행기가 어떻게 다니겠어요. 사람이 어떻게 왕래를 하고 초목이 어떻게 크겠어요. 텅텅 비어 있기 때문에 허공은 맑고 깨끗해요. 또 그래서 온갖 것을 다 갖고 있어요. 허공 떠나서 따로 있는 게 어디 있어요? 모든 것이 허공 속에 다 있지. 비우면 전체가 자기 것이고, 안 비우면 자기 것이 못되는 거예요.

내가 어릴 때 출가해서 경봉 스님 상좌라. 스님은 오로지 참선을 주창하셨어요. 내가 바깥으로 공부하러 가려고 하면 절대 못 나가게 하는 겁니다. 대학도 못 가게 하고 경전도 못 보게 해요. “참선해서 도 깨치면 되지, 뭐할라꼬?” 이러시지요. 그러면서 내 몸 끌고 다니는 주인공을 찾아라, 몸뚱이는 가짜다, 해요. 남의 집에 가서 하룻밤을 자도 주인을 찾아보지 않으면 무례인데 평생으로 이 몸을 끌고 다니면서 주인을 찾지 않으면 어찌 되겠는가 하는 소립니다. 내 주인이 누구냐, 나는 누구냐, 이것을 알면 우주 전체를 알 수 있어요. 내가 나를 알았다고 하면 이것이 부처입니다. 얼마나 쉬워요? 저 큰 산에 금이 어디 있는지 찾아서 캐내기도 하는데 내가 나를 찾는 일이 얼마나 쉽습니까. 멀리 갈 것도 없어요. 지금 이 자리에서 하면 됩니다.






ⓒ월간 불광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