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경판에 스민 묵향墨香, 정법을 전하다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한홍익 전임연구원

2014-11-04     불광출판사

결코 짧은 시간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팔만대장경연구원 10년. 그 10년 간의 행보를 보면 ‘이 사람이 있기에 팔만대장경이 영원하겠구나’ 하는 믿음이 생긴다. 불법佛法을 등불삼아 나라를 지키려는 염원을 담고 판각했다는 고려대장경판(국보 제 32호)과 장경판전(국보 제 52호)의 보존을 연구하고, 그 경판들을 가지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누구든 컴퓨터로 고려대장경을 마주할 수 있도록 도왔다. 경판을 인경印經하는 솜씨는 이미 해외에도 알려져 있다. 고려대장경 경판의 정법正法을 전하는 젊은이, 합천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한홍익(34세) 전임연구원의 이야기다.

 


벼루에 담긴 송연먹 먹물을 먹솔에 찍어 경판을 쓸어내린다. 그 위에 잘 재단된 질기고 결 고운 한지 한 장을 살포시 얹어놓고, 비구니 스님의 무명초를 뭉쳐 만든 마력으로 종이 위를 몇 번 문지르니 반야바라밀다심경이 한지 위에 고르게 새겨진다. 전체의 과정이 물 흐르듯 매끄럽고 군더더기가 없다.
경판을 인경하는 태를 보니 2005년에 실시된 동·서사간전 고려사간판(국보 206호, 보물 734호) 인경불사의 최연소 인경공印經工이었고, 2012년 11월 일본 교토 불교대학 10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에서 젊은 나이에 한국을 대표하는 인경공으로 초청받았다는 사실이 납득이 갔다.


| 부처님이 인도해준 대장경과의 인연
해인사 사하촌寺下村에서 자라 대학시절 건축과 푸드 스타일링을 전공했다. 그런 그가 어느 날 팔만대장경연구원의 연구원이 됐다. 그 연구원이 성장해 대장경판과 장경판전의 전반적인 보존 연구를 담당하게 되기까지, 대장경과의 인연은 마치 부처님 가르침이 불을 밝혀 길을 인도하듯 자연스레 이어졌다.
처음 대장경과의 인연은 남일 스님이 내민 손으로부터 시작됐다. “문화재는 그 지역 사람들이 직접 공부해서 가꿔야 한다.”, “마을에 있는 원석들을 키워내 그들이 널리 알릴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입버릇처럼 말씀하시던 남일 스님이었다. 그런 스님의 손을 망설임 없이 덥석 잡았다. 2003년 그의 나이 겨우 스물 셋이었고, 당시 고려대장경연구소 보존실로 불리던 팔만대장경연구원에서 일을 시작하게 됐다.
남일 스님이 그를 우물가에 데리고 왔다면 얼마 전 입적하신 성안 스님은 그에게 물을 마시게 해준 은사였다. 2010년에 보존국장으로 취임한 성안 스님은 팔만대장경연구원의 장기적인 발전계획을 세우고, 연구원들의 가능성을 발견해 재능을 키워주는 디딤돌을 자청했다. 직장상사와 연구원의 개념이 아닌 함께 커나가는 가족 같았고 끈끈한 유대감도 있었다.
“가족보다 더했어요. 스님과 재미난 일들이 참 많았죠. 다른 곳에서 스카웃 제의를 받은 적이 있어요. 이직할 생각도 없었는데 성안 스님이 그분에게 이렇게 말하셨대요. ‘홍익이는 나랑 평생 같이 갈 거다, 쟤한테는 그런 거 묻지도 마라’라고 말예요.”
두 스님의 손을 잡고 맺은 대장경과의 인연, 연구원이 된 후 강산이 한 번 변하는 동안 대장경판과 장경판전은 그의 20대 청춘의 전부가 됐다.




 01, 02. 소나무뿌리 솔
경판에 먹을 묻힐 때 사용한다. 
너무 부드러워도, 억세도 경판에 먹을 묻히기 어렵다. 요즘에는 말총으로 만든 솔을 사용한다.

03. 마력
경판에 묻은 먹물이 한지에 잘 스며들도록 한지를 문지를 때 쓰는 도구. 목판의 글자 하나하나가 선명하게 찍히기 위해서는 제대로 잘 만들어진 마력을 이용해야한다. 비구니 스님이 출가할 때 자른 깨끗하고 긴 머리카락을 모아 밀랍을 묻혀 만든다.



04. 고려대장경 경판
1236년부터 1251년까지 16년에 걸쳐 조성됐다. 총 81,258판, 1,514종, 6,802권으로, 경판 한 장의 평균 가로길이는 70cm, 세로길이 25cm, 두께 3cm, 무게 3.25kg이다. 경판의 80%가 산벚나무, 돌배나무로 조성됐다. 경판 전체를 길이로 늘어놓으면 60km, 세로로 쌓으면 3,200m다. 경판 전체의 무게는 약 280톤이다.  



 
 05. 법보전 뒤편에 설치된 자동기상관측장비 AWS(Auto Weather System)의 데이터
장경판전 주위의 날씨 및 계절변화를 체크하고, 장경판전 내부 전체에 60여개에 달하는 온·습도계의 수치를 저장한다. 날씨와 관련, 온·습도가 경판에 미치는 영향을 제어해 보존하기 위함이다.
 



| 영글고 여물어 든든한 대장경 지킴이
“대한민국에서 대장경판을 전부 살펴본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요? 국보로 지정돼 있는 경판과 판전을 가까이에서 직접 모실 수 있다는 것에 큰 자부심을 느낍니다. 장경판전에 들어가 있으면 마음이 고요해져요. 이 장경판전과 대장경판을 우리 세대만 봐서는 안 되지요. 다음 세대들도 무탈하게 만나볼 수 있도록 보존하려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원에 들어와서 시작한 첫 일은 2000년부터 시작해 2008년에 마무리 된 고려대장경 데이터베이스 구축작업이었다. 쉽지 않은 일이었다. 팔만 장이 넘는 대장경판을 모두 꺼내어 상태를 확인하고 조심스레 먼지를 털어낸 후, 사진기록물로 자료를 만들고 다시 장경판전 제자리에 보관하는 대대적인 작업이었다.
경판 81,258장을 전부 옮기고 조사해서 제자리에 다시 가져다 놓는 작업은 힘들기도 했고 겁도 났다. 경판 1장의 무게 3.25kg, 하물며 부처님 법의 무게와 국보로서의 무게가 더해진 대장경 경판이었기에 더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스님들은 사람보다 경판이 더 중요하다며 비수 같은 말을 던져냈다. 땀을 비 오듯 흘리고 있으면 수건을 던져주시며 “경판에 땀 떨어지지 않게 하라!”고 호통을 쳤다. 안전 고리를 사달라고 할 정도로 높은 판가에서도 혹여나 떨어지게 되면 경판을 안고 떨어지라고 했다. 
뼈에 사무치게 추운 겨울에도 장경판전에 올라 손끝 잘라낸 장갑 끼고 경판에 라벨을 붙였고, 판전 안에서 일할 땐 밖에서 문을 잠가놓던 규칙 때문에 열쇠를 가지고 계시던 스님이 내려가기라도 하면 화장실에 가고 싶어도 올라오실 때까지 발 동동 구르며 기다려야 했다. 
그런데 그때는 그렇게 서운하고 힘들고 고통스러웠던 일들이 이제와 돌이켜보면 모두 추억이었다. ‘경판을 목숨만큼 중요하게 간직해라.’ 그 어떤 것보다 경판이 우선이라던 스님들의 진짜 속마음이 이해되기 시작하니 그 마음이 가슴 깊이 사무쳤다. 그래서 대장경판과 장경판전을 목숨처럼 더 잘 보존하기 위해 심도 있게 연구하기 시작했고, 시간이 흐르면서 그는 성장하고 영글고 여물은 든든한 대장경 지킴이가 됐다.
“대장경 보존에 대한 중요성을 실감하고 더 많은 정성을 쏟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돌아가신 성안 스님 생각이 참 많이 납니다. 대장경 보존을 위해 스님이 그려놓은 밑그림이 참 크거든요. 저더러 일 많이 하고 가라고 그러시나 봅니다. 스님이 그려놓은 밑그림과 계획들을 차근차근 열심히 채워가는 게 남아 있는 제가 끝까지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해요.”
최근 그는 대장경판과 장경판전의 보존을 위해 경판을 살펴보며 여러 가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곰팡이 같은 균류, 흰개미나 좀 같은 곤충류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대장경판과 장경판전 표면에 어떤 미생물이 사는지 조사했고, 변화하는 기후환경에 맞춰 목조문화재를 보호하고자 판전 외부의 일기변화를 체크하는 AWS(Auto Wether System)도 설치했다. 그리고 판전 내부에 설치된 60개 온·습도계로 온·습도 수치를 모두 저장해 보존을 위한 체계적 관리를 하고 있다. 또한 내부에 기류 환경을 조사하는 일들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 경판을 새기던 각수刻手의 마음으로
“경판의 간기刊記를 보면 ‘봉칙조조奉勅雕造’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황제의 명을 받들어 목판에 새겨 만들었다는 이야기지요. 제가 고려인이었다면, 황제가 명령했다고 해서 전란의 두려움을 이겨내고 부처님 말씀을 경판에 새길 수 있었을까요? 경판에 새겨진 각수刻手들의 표식을 보고 있으면 그들의 절실한 마음들이 느껴지는 것 같아요.”
그의 말끝에 일각삼배一刻三拜 하며 경판에 한 글자씩 새기던 고려시대 각수가 비춰 보이는 이유는 왜일까. 사실 그는 문화재 보존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치열하게 고민했다. 그리고 문화재를 지키는 것은 어느 특정 위치의 사람들이 노력해서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자리에서 함께 해나가야 한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모든 국민의 문화재이니 보존에 대해, 방화나 훼손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같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대장경판을 보존하는 데 있어서 꼭 하고 싶은 일들이 몇 가지 있어요. 첫째는 고려대장경판의 현재 모습을 인경해 놓는 것입니다. 지금 보존돼 있는 모습을 인경해 놓으면 과거의 인경본印經本들과 현재 경판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자료가 됩니다. 그리고 미래에도 2014년의 경판은 이랬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는 보고가 되지요. 둘째는 경판 전체를 3D스캔 하는 것입니다. 화재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현재로서는 화마를 입었을 때 경판을 복원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습니다. 어떤 방법으로라도 미리 대비를 해놓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는 몇 가지를 덧붙여 말했다. 일본은 아직도 신수대장경판을 인경한다. 신수대장경판은 해인사 고려대장경판의 저본底本인데, 외국의 연구자들은 인경본이 있다는 이유로 신수대장경판을 가지고 연구한다는 것이다. 고려대장경판을 인경해 인경본을 배포한다면 그 자체가 전법이 아니겠느냐고 반문한다. 더불어 먹 제작 장인, 조각 장인, 한지 장인, 제책 장인, 인경 장인이 모두 대를 이어 전수될 테니 유·무형의 문화재가 함께 보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렇듯 대장경을 중심으로 한 문화재 보존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그는 누구보다 절실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대장경에는 제 청춘이 담겨있습니다. 이곳에 제 젊음과 열정을 다 묻어놨어요.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함께하겠죠. 대장경판을 전부 보고나니 마음에 마음 심心자가 떠올랐습니다. 모든 경판을 함축시키면 마음 심을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경판을 만들기 시작한 때로부터 오늘날까지 마음으로 비롯되고 지켜온 일이라고 생각해요. 이렇게 소중한 대장경판과 장경판전을 우리만 봐선 안 되잖습니까. 다음 세대도 이 마음을 느낄 수 있도록 끊임없이 연구해 나갈 계획입니다. 저희가 원하는 것은 인정이 아니라 사람들의 관심입니다.”
한홍익 연구원이 쏟아낸 말 마디마디마다, 그가 걷는 걸음걸음마다 대장경에 대한 애정이 듬뿍 느껴졌다. 10월의 하늘만큼 푸르고 높은 서른넷 청년의 청춘이 녹아있어서인지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장경판전 위의 하늘이 오늘따라 더 청명해 보인다.




 해인사 성보박물관 

해인사 성보박물관은 약 400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해인사 경내에 위치한 사찰박물관입니다.
박물관 1층 대장경 홀에는 초조대장경, 팔만대장경의 판본 및 범종각 대종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해인사의 역사를 보여주는 해인역사실, 불교조각실, 불교회화실, 불교공예실, 목판특별실 등 5개의 전시실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대장경 인경체험코너에서 인경을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2층은 백남준의 팔만대장경 비디오 아트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현대미술과 불교의 만남이라는 특별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Tel. 055-934-3150
www.haeinsamuseum.com






 해인아트프로젝트
해인사를 올라가는 그림 같은 길 위에는 다양한 설치미술 작품이 전시돼있습니다. 삶의 태도와 철학으로서의 불교에 대한 성찰과 더불어 해인사의 역사와 자연, 정신의 문화적 가치를 드러내는 미술프로젝트의 일환입니다. 사진은 일주문 앞에 전시돼 있는 최평곤 작가의 작품 ‘내가 아닌 나’입니다. 곳곳에 자리 잡은 미술 작품들을 함께 감상해보세요. 






ⓒ월간 불광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