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죽도암・휴휴암 : 하늘과 바다 사이

선비같은 죽도암, 미역보살 맞아주는 휴휴암

2014-03-22     승한 스님

다음 기항지는 죽도암. 죽도암은 홍련암에서 7번 국도를 타고 직행버스로 30분 정도 남진하면 있다. 낙산시외버스정류장에서 인구행 직행버스를 타면 된다. 죽도암은 죽도竹島에 있어 죽도암竹島庵이다. ‘대나무의 섬’답게 죽도에는 대나무가 많다. 대나무 중에서도 화살대 만드는 데 쓰는 전죽箭竹이다. 낭창낭창하다. 저 낭창낭창한 회초리로 어렸을 때 퍽이나 맞았다. 그때부터 나는 문제아였나 보다. 그래도, 그립다.

 

| 붉은 오징어 대가리

헌데, 회초리보다 더 나를 반겨주는 것이 있다. ‘붉은 오징어 대가리’다. 죽도 초입, 작은 병풍바위에 누군가가 빨간색 페인트로 사람 크기만 한 크기로 그려놓았다. 동그란 눈을 더욱 동그랗게 치뜬채 여덟 개의 발가락을 흐느적거리며 하늘로 헤엄쳐 오르는 ‘붉은 오징어 대가리’라니. 맨 왼쪽 발엔 ‘죽도암’을 감고 있고, 맨 오른쪽 발엔 ‘죽도정竹島亭’을 감고 있다. 왼쪽으로 가면 죽도암이라는 표시고, 오른쪽으로 가면 죽도정이라는 표시다. 동해와 오징어와 바다와 대나무 숲의 조합. 누구의 발상일까. 기발하고 즐겁다. 프로의 상상력이다. 그 탓이리라. 지나치는 죽도 사람들이 모두천재예술가로 보인다.

오징어 왼쪽 발을 따라 2분 정도 해안을 돌면 드디어 오늘의 첫 번째 기항지인 죽도암. 그런데 실망하지 마시라. 죽도암엔 달랑 전각 한 채밖에 없다. 그러나 더 놀라지 마시라. 죽도암엔 어느 절집보다 더 풍성한 기품이 있다. 그 기품은 죽도를 등에 업고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바다를 향해 단정히, 정면으로 나앉은 관음전에서 우러나오고 있다.

이 대목에서 비교미학 한 토막. 홍련암이 조선 의기義妓 ‘홍련’처럼 절제되면서도 풍성한 관능미가 느껴지는 바닷가 절집이라면, 죽도암은 곤궁하지만 곤궁하지 않은 조선 선비 같은 기개와 품격이 느껴지는 바닷가 절집이다.

 

| 부처님, 어디 가슈?

관음전 앞마당으로 내려서자 부처님 세 분이 바로 발 앞 바다에 누워계신다. 아미타부처님과 좌우 관세음・지장 양대 협시보살 같다. 파도가 썰면 나타났다 파도가 밀면 되돌아가시는 삼존三尊 부처님들. 그런데 가만 보니 누워 계시는 게 아니라 누워서 걸어가고 계신다. 도란도란, 다정하게, 손 맞잡고, 파도 따라, 하염없이, 흘러가고 계신다. 정초부터 어드메로 길 떠나시는 걸까? 궁금증을 참지 못해 불경죄를 저지르고 만다. 그러고 보니 오늘이 마침 초하룻날이다.

“부처님, 부처님, 우리 부처님, 부처님 한번 뵈려고 불원천리 서울에서 달려왔는데 초하룻날부터 어딜 그렇게 바삐 마실 나가슈?”

“예끼, 네 놈 같은 땡추가 상관할 바 아니다!”

“아니, 여보슈. 멀쩡한 중을 왜 땡추라 하슈!”

“네 놈 스스로 그 뜻을 알렸다!”

이키, 부처님 눈은 속일 수 없다. 벌써 내 불경죄를 알아채셨다.

“어이쿠, 부처님. 잘못했습니다. 한번만 눈감아주슈.”

내 아부가 통했나보다. 해조음에 입이 귀밑까지 째지며 세 분이서 파도 속으로 자맥질해 들어가신다. 부처님들 뒤를 좇아 나도 바다 깊숙이 자맥질해 들어간다. 이번에 자맥질할 피안의 바다는 휴휴암休休庵. 죽도암에서 15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도루묵 말리는 풍경에도 한눈 좀 팔고, 말린 오징어를 훔쳐 먹기 위해 잔뜩 허리를 구부리고 있는 도둑고양이들과 눈싸움도 좀 하면서 인구항길을 따라 걷는데 ‘하늘과 바다 사이’가 유혹한다. 앞산 언덕배기에서 ‘하늘과 바다’가 시퍼런 속살을 열어젖힌 채 어서 제 시퍼런 속살 ‘사이’로 들어오라고 손짓한다. 이름하야 ‘하늘과 바다 사이’, 스카이라운지다.

‘하늘과 바다 사이’는 정말로 하늘과 바다 사이다. 대형 유리창으로 전망을 만들어놓은 바닷가 창가에 앉으니 하늘과 바다 사이에 둥둥 떠 있는 것 같다. 그 속살 위에 맨살로 주저앉아 있는 것 같다.

아메리카노 커피 한 잔을 주문한 뒤 그 속살 위로 풀썩 주저앉는다. 오래된 인켈 오디오에

서 감미롭게 흘러나오는 ‘체인징 파트너Changing partners’, ‘해브 유 씬 허Have you seen her’, ‘웬 아이 드림When I dream’, ‘아이 언더스탠I understand’ 같은 내 젊은 날의 올드 팝송들이 나를 더욱 행복하게 한다. 커피가 나온 것도 모른 채 나는 한동안 그 사치 속에 잠긴다.

해찰. 해찰은 이럴 때 쓰는 말이다. 이럴때 쓰는 해찰은 해찰이 아니라 해찰이다解察. 풀 해解, 살필 찰察. 쉼이고 멈춤이다. 인생은 때로 멈출 줄 알아야 한다. 쉴 줄도 알아야 한다. 멈춰야 보이고, 쉬어야 살필 수 있다. 그래야 삶을 해독하고, 깨우칠 수 있다. 그것이 45년 부처님 가르침이고, 법이다. 인생은 때로 멈출 줄 알아야 한다. 쉴 줄도 알아야 한다. 멈춰야 보이고, 쉬어야 살필 수 있다. 그래야 삶을 해독하고, 깨우칠 수 있다. 그것이 45년 부처님 가르침이고, 법이다.

 

| 미역보살

휴휴암에 도착하니 가장 먼저 ‘미역보살’이 반긴다. ‘미역보살’은 휴휴암 앞바다에 있는 연화법당(지름 30미터 정도 되는 평평한 갯바위로 되어 있는 천연용궁법당. 바위 모양이 마치 연꽃잎을 펼쳐놓은 것 같아 연화법당이라고 한다.)에서 방생물고기를 파는 보살이다.

몇 년 전 겨울에 왔을 때도 바닷가에서 손을 호호 불며 방생물고기들과 함께 연화법당을 지키더니 오늘도 방생 물고기들과 함께 추운 겨울바다를 지키고 있다. 이유가 따스하다. 연화법당이 바닷가에 있는 탓에 여름엔 열사로 살이 익고 겨울엔 매운 해풍에 살갗이 터져 아무도 연화법당 소임을 맡으려고 하지 않는단다. 그래서 자청해서 몇 년째 연화법당을 지키고 있단다.

실제로 ‘미역보살’은 진짜 ‘미역보살’이다. 법명이 ‘해림’이기 때문이다. 해림海林. 바다 해海, 수풀 림林. ‘바다의 수풀’. ‘바다의 수풀’이 미역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나를 알아본 미역보살이 슬그머니 작업을 걸어온다.

“스님, 추운데 커피 한 잔 들고 가이소.”

‘막대기 커피’는 안 마신다고 잡아뗐더니, 그러면 다져놓은 ‘인동초 꽃차’가 있으니 그거라도 한잔 마시고 가라고 꼬드긴다. ‘인동초 꽃차’라. 그 말에 그만 솔깃, 귀가 얇아진다. 그래, 이렇게 추운 날은 훗날의 인동忍冬을 위해 인동초 꽃차 한 잔 마셔두는 것도 괜찮겠지. 비닐천막 안으로 들어가미역보살이 타 준 인동초 꽃차 한 잔을 마신다. 달콤하면서도 쌉쌀하다.

그러고 보니 진짜 인동초가 생각난다. 퍽 오랜 세월, 나는 그 ‘어른’(김대중 전 대통령. ‘인동초’는 그의 대명사였다.)의 신도였다. 신도 중에서도 광신도였다. 그 덕분에 나는 대학을, 그것도 지방대학을 장장 10년 만에 졸업했다. 그 ‘어른’이 마침내 꽃을 피워 올리던 날, 나는 얼마나 환호했던가. 하룻밤 축배로도 모자라 연 3일 동안 얼마나 울며 웃으며 작약했던가.

눈치 빠른 ‘미역보살’이 대번에 한 마디 한다.

“스님, 지금 그 분 생각하고 계시지예.”

“앗, 어떻게 알았어요?”

“척 보면 알지예. 저도 신도였거든예.”

크크크. 그 말을 듣고 가만있을 내가 아니다. 귀한 ‘인동초 꽃차’를 얻어 마시기도 한 터라 있는 생각을 다 짜내 덕담 한 마디 건넨다.

“인물이 훤한 걸 보니 젊었을 때 남자들깨나 울렸것수.”

“스님도 참, 사람 볼 줄 모르시네예. 남자들은 커녕 시집도 못갔어예.”

“뭐시라고라우? 시집도 못 갔다고라우? 으째서 그런 불상사가 다 있었다요?”

아뿔싸, 급하면 막 튀어나오고 마는 나의 지독한 전라도 사투리. 그래도 ‘미역보살’(대구가 고향임)은 내 사투리를 금방 알아먹는다. 전라도 사투리도 이젠 제법 표준말 반열에 올랐다. ‘미역보살’의 다음 대답이 더 걸작이다.

“모르겠어예. 남자들이 다 거부반응을 해예.”

“아니, 왜요?”

“다들 제가 무섭다고 해예.”

“뭐시라고라우. 내 눈엔 한나도 안 무서운디. 눈, 코, 입술 선이 굵고 예쁘기만 헌디.”

어휴, 이 땡추여. 덕담을 하려면 앞뒤 재보고 제대로 해야지, 기껏 덕담한다는 게 가만있는 여자 ‘아픈 상처’나 파 뒤집어 까냐? 그러게 땡추지.

해도, 휴휴암이 휴휴休休하고 편안한 것은 어쩌면 이 ‘미역보살’ 같은 뗏목이 있어서가 아닐까?

따스한 법당에서 하루 종일 기도하고 수행하지 않아도 인간의, 인간다운 이가 인간의 냄새를 풍기며 절집을 지키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53자 높이의 대리석 지혜관세음보살님이 해풍에 미소를 머금는다. 내 말이 맞다는 표시이리라. 묘적전妙寂殿 천수천안관세음보살님도 천 개의 손으로 구겨진 내 두루마기 자락을 펴준다.

불이문不二門을 나서며 속으로 다짐해본다.

“알겠습니다, 관세음보살님. 앞으로는 더 이상 두 개의 문으로 놀지 않을게요. 부처와 중생으로 따로 놀지 않을게요. 한 몸으로 놀게요.”

 

 

승한 스님

중앙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과정에서 동양철학과 불교철학을 공부하고 있다. 서울신문 신춘문예와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각각 시와 동시가 당선되었으며, 지은 책으로 『나를 치유하는 산사기행』과 『스님의 자녀수업』 등 몇 권의 산문집과 시집이 있다. 현재 북한산 중흥사에 주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