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 따라 마음 따라] 스님, 쿵후 할 줄 아세요?

2011-11-07     혜민 스님

상대방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승복을 입고 돌아다녀보면, 가끔씩 흑인 꼬마들이 내 앞에서 갑자기 이소룡 흉내를 낸다. 나에게 중국 소림사 스님처럼 쿵후를 할 수 있냐고 물어 보는 듯하다. 그럴 때마다 어설픈 쿵후의 폼을 좀 잡아주어야 하는지, 아니면 무시하고 그 꼬마들 앞을 그냥 지나가야 하는지 살짝 갈등이 온다. 아이들이 아닌 어른들일 경우, 미국 사람들은 내가 한국에서 온 승려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나면 주로 ‘어떤 명상(Meditation)을 하루에 얼마나 하느냐’고 묻는다.

이것은 다시 말하면, 미국 사람들은 승려의 가장 중요한 정체성(Identity)을 명상이라는 수행으로 이해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미국 아이들과 어른들의 두 가지 반응들은 서로 다른 것 같지만 또 통하는 부분이 있다. 승려를 대할 때 쿵후나 명상을 떠올리는 데서 알 수 있듯, 그들은 그 사람이 무엇을 하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다. 즉 그 사람이 하는 행동으로써, 그 사람이 누구인가를 결정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한국에서 가끔 택시를 타면 대개 택시 기사님들은 나를 보고 “스님은 지금 어느 절에 계십니까?” 아니면 “어느 절에서 오셨습니까?”라고 묻는다.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들조차도 처음 만나면 일차적 통성명 이후에 서로에게 이렇게 묻는다. “지금 어느 교회 다니세요?” 혹 손에 염주를 차고 있으면 “절에 다니세요? 어느 절 소속이세요?” 우리나라 스님들끼리 처음 만났을 때 하는 질문들 중에도 그 스님의 문중(門中)이 어디인가 하는 물음은 참으로 중요한 관심 대상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상대방의 정체성을 규정할 때, 지금 그 사람이 무슨 일을 하는지보다 어떤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더 중요하다고 느낀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대방을 알아가는 과정을 그 사람의 행위나 능력에 서 찾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잘 알고 있거나 자주 어울리는 주변 사람들 에서 찾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배경이 곧 능력이다?

우리나라에 올 때마다 왜 한국인은 이렇게도 학벌에 집착하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물론 미국이나 다른 서양에서도 좋은 대학에서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을 우대하고 인정해 준다. 하지만 나중에는 그들이 대학을 나와서 무슨 일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가 훨씬 더 중요해져서, 어느 순간에는 무슨 대학을 나왔다는 것이 무의미해져 버린다.

실제 예를 들자면, 애플의 스티브 잡스(Steve Jobs) 같은 경우 미국 오리건 주의 리드 대학(Reed College)에 입학해서 한 학기를 공부하다가 학교를 그만 두었다. 미국 교육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라면 리드 대학이 얼마나 좋은 대학인지 잘 인지하고 있겠지만, 잘 모르는 한국인들의 분상에서는 동부 아이비리그 대학이 아닌 미국 서부의 그저 그런 대학으로 치부할 것이다. 그런 그가 만약 미국인이 아니고 한국인이었다면,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애플 컴퓨터 사업을 시작했다면 어땠을까? 학벌이 받쳐주지 않는 이상 지금과 같이 성공하기가 분명 쉽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사람의 정체성을 그 사람이 지금 하고 하는 일에서 찾지 않고, 그가 속한 그룹이 어디인지에서 찾으려 하기 때문이다. 국회의원 선거나 대통령 선거를 보더라도, 우리는 해당 정치인이 내놓은 각종 정책들보다는 그 사람의 학벌이나 고향, 소속 정당, 주로 어울리는 사람들을 보고 그 사람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판단하려고 든다.

정말 안타까운 점은 사람의 정체성을 현재 모습이나 가능성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배경이나 주변 사람들을 통해 찾으려고 하는 습관들로 인해서, 그 사람의 과거만 보고 현재를 못 보는 과오를 범하게 된다는 데 있다. 상대방을 내가 가지고 있는 일정한 틀에 가둬놓고 바라봄으로써, 그 사람의 진정한 모습을 못 보게 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과거 경력이 좋은 사람만이 현재에도 성공할 수 있게 되는 구도가 된다. 스티브 잡스가 아무리 애플과 같은 좋은 회사를 창업하려고 해도 그가 하버드, 프린스턴, 예일대를 나오지 못했으므로 우리나라에서는 분명 ‘별 볼일 없겠지’라고 여겼을 것이고, 아예 창업과정에서부터 도와주는 이가 없어 실패할 수밖에 없었을지도 모른다.
내 앞에서 쿵후를 할 줄 아냐고 물으면서 폼을 재던 흑인 꼬마 아이처럼, 앞으로 누군가를 만나면 그가 속한 그룹이나 배경이 아닌 능력과 행동을 통해 그 사람을 알아 가면 어떨까?

우리 사회가 상대방을 선입견 없이 바라볼 수 있는 구조가 되었을 때, 되는 사람만 되는 구조가 아닌, 지금 열심히 잘하면 누구나 꿈을 이루고 성공할 수 있는 나라로 바뀌어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
혜민 스님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버클리에서 종교학을 전공하고, 하버드 대학원에서 비교 종교학 석사를 수학하던 중 출가를 결심하고 2000년 해인사에서 사미계를 받았다. 그 후 프린스턴 대학원에서 박사 공부를 하며, 연구차 북경과 오사카에서 유학 생활을 했다. 현재 매사추세츠 주에 있는 햄프셔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페이스북 ID 혜민스님, 트위터 주소 twitter.com/haeminsun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