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상 스님께 묻습니다

2011-07-25     불광출판사

Q1. 불이(不二)의 가르침, 즉 둘이 아님을 깨닫는 것이 불교의 핵심인 듯 느껴집니다. 어떻게 수행하면 둘이 아님을 실천하고 깨달을 수 있을까요?

A1. 어떤 생각이나 느낌, 욕구나 반응들을 살펴보면 그 모든 것의 뒤에는 특정한 신념이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 신념으로 인해 수많은 이분법적인 차별심이 생깁니다. 하나의 생각이나 감정도 이면을 파고들어가 보면 거대한 관념의 구조물이 견고하게 버티고 있는 것이지요. 그 구조물이 우리를 이원성의 나뉨으로 몰고 갑니다. 불이의 가르침을 깨닫기 위해서, 매 순간의 생각과 느낌 이면에 있는 신념과 이원성의 나뉨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둘로 나누는 생각은 모든 무명의 씨앗이며, 우리를 고통의 중생계에 가두는 주범입니다. 곧 중생의 아상(我相)이요, 에고(ego)인 것입니다. 너와 나를 둘로 나누는 것은 범부의 특징이며, 나누지 않고 바라보는 것은 깨달은 자의 방식입니다. 범부는 항상 너와 나를 구분 짓고 나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모든 행동을 일으키지만, 성인은 너와 나를 나누지 않기에 동체적(同體的) 입장에서 무한한 사랑과 자비를 모든 행위의 바탕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
쉬운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후배나 아랫사람이 나에게 다소 건방진 태도를 보였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 순간 기분이 상하고 화가 나 불쾌한 반응을 보일 것입니다. 이 감정과 반응의 배경에는 후배는 선배에게 공손해야 한다는 신념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신념이 우리를 선배와 후배, 높고 낮음의 이원성으로 데려가게 하는 것입니다
.
이것은 우리의 사고와 행동을 둘로 나누는 기본적인 패턴입니다. 이런 이분법적 차별심을 탓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생각이나 느낌이 일어날 때마다 이면에 드러난 신념의 구조물을 살펴보고, 그것이 어떻게 이원성의 나뉨으로 몰고 가는지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차별심을 넘어 불이의 깨달음으로 향해 가는 명상수행이요, 마음공부입니다
.



Q2. 상담을 공부할 때 감정 받아주기를 배운 적이 있고, 요즘 읽는 책에서도 감정코칭을 이야기합니다. 이것이 불교의 가르침과도 연관되는 것인가요
?

A2. 상대방의 문제나 억눌린 감정을 풀어주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스스로 자신의 문제와 감정을 지켜볼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있습니다. 문제로부터 도망치거나 억압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관찰함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정 받아주기는 타인을 마음 알아차림의 관() 수행과 명상으로 이끄는 하나의 방편이 됩니다
.
잘 할 수 있을 거야. 잘 생각해 보면, 해결책이 있을 거야.”라고 무턱대고 위로하기보다 짜증이 많이 나겠구나. 정말 답답하겠다. 방법도 없고 답이 안 나오니 얼마나 막막하겠어.”라며 마음을 받아주는 게 더 바람직하다는 말입니다
.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전자는 해결책을 논하고 있고, 후자는 판단을 내리는 대신 상대방의 감정을 받아줌으로써 스스로 마음을 관찰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만일 후자처럼 대답해 준다면 상대방은 아니야. 내 일인데 어떻게든 해 봐야지. 내 마음을 알아줘서 고마워.”라며 금방 마음이 풀어질 것입니다
.
마음과 감정을 받아주는 것은 상대방을 명상과 관 수행으로 이끌어, 스스로 마음에서 놓여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단순해 보이지만, 이것이 명상이 곧장 현실로 들어와 삶을 변화시키는 기술인 것입니다
.

Q3. 겉으로 보기에 지금 저의 직업이나 행동들은 이타적이지 못하다고 생각됩니다. 정말 좋은 업을 많이 지으려면 출가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제 인생에 무언가 큰 변화가 필요한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A3. ‘무엇을 할 것인가보다 어떤 의도로 할 것인가가 중요합니다. 행위 자체보다 행위 이면에 있는 의도의 방향성과 에너지가 어떤 과보를 받을지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
삶의 질적 변화와 성숙을 위해서 반드시 직장을 바꾸거나 하던 일을 그만 두고 출가 수행자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평소 하던 일에 고귀한 영적 의도와 바른 마음을 담아냄으로써 지금 여기’, 언제나처럼 펼쳐지고 있는 평범한 일상에서 대전환을 맞이해 뜻깊은 심출가를 이룰 수도 있습니다. 변화는 반드시 외부적인 것이 아닙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 하루하루 소소 한 일상을 지금 이 자리에서 곧장 경이롭고도 신비스러운 삶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참된 변화는 언제나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부터 시작된다는 사실을 명심하십시오
.

-----------------------------
법상 스님 : 동국대와 동 대학원에서 불교학을 전공하였으며, 불심도문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현재는 군승으로 고성 운학사에서 군장병들과 군가족들을 위해 부처님 말씀을 전하고 있으며, 생활수행도량 목탁소리(www.moktaksori.org)’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삶의 지혜를 나누고 있다. 저서로는 반야심경과 마음공부, 금강경과 마음공부, 부자보다는 잘 사는 사람이 되라, 히말라야, 내가 작아지는 즐거움, 날마다 해피엔딩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