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불교] 3. 정교한 현교의 교학 체계

세계의 불교와 수행법 / 티베트 불교 3

2010-01-29     지산 스님

불교에는 신(信: 믿음), 해(解: 이해), 행(行: 수행 또는 실천), 증(證: 증득 또는 깨달음)이라는 말이 있다. 이 중에서 신, 해, 행은 마치 솥의 세 발처럼 또는 사진기의 삼각대처럼 상호 보완하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상호 보완하여 궁극적 목표인 증득에 이르게 한다. 이 중 해(解: 이해)와 연관된 부분이 불교의 교학인데, 교학을 잘 공부함으로써 정견(正見)을 가지게 되고, 정견은 다시 올바른 믿음과 수행을 낳는다. 반대로 교학을 공부하는 과정이 허술하면 정견을 갖기 어렵고, 이는 다시 그릇된 믿음과 잘못된 수행을 낳는 악순환을 되풀이하도록 만든다.

▲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이 내부에 불교 경전을 넣거나 겉면에 불경을 새긴 마니차를 돌리면, 불경을 한 권 읽는 공덕이 쌓인다고 여긴다.


교학의 전래와 논쟁
티베트에 불교가 처음 전래된 것은 7세기 송첸감포 왕 때이지만, 본격적인 교학이 전래된 것은 티송데첸 왕이 초청한 인도의 학승 산타라크시타(寂護)가 티베트에 들어간 서기 770년부터라고 볼 수 있다. 당시 산타라크시타는 인도 나란다 대학의 학장이었으며, 인도 내에서 필적할 만한 사람이 없는 대논사(大論師)였고, 유식중관학파(唯識中觀學派)의 거두(巨頭)였다. 따라서 이 산타라크시타와 당시 인도의 대성취자였던 파드마삼바바에 의해 시작된 티베트 불교의 고파(古派)인 닝마파의 교학적 관점은 유식중관이었다. 유식중관이란, 나가르주나(용수)에 의해 시작된 중관학파가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학파로 분파되는데 그 중에서 유식철학의 관점에 의해 모든 현상의 공성(空性)을 주장하는 학파이다.
티베트 불교사의 초기에 가장 큰 분수령이 된 사건이 삼예의 논쟁(서기 794년)이다. 인도에서 전래된 금강승과 중국에서 전래된 선종의 관점이 크게 달라 갈수록 충돌과 갈등이 커지니, 당시의 티베트 왕 티송데첸은 삼예 사원으로, 금강승을 대표하는 산타라크시타의 제자 까마라실라와 선종을 대표하는 마하연을 초청하여 자신의 앞에서 논쟁을 벌이도록 한다. 이 논쟁은 금강승과 선종의 논쟁이면서 동시에 점수와 돈오의 논쟁이기도 한데, 결과는 까마라실라의 완벽한 승리로 끝났다. 그래서 이때부터 티베트 내에서는 선종의 포교가 금지되었고 닝마파의 관점이 교학의 본류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닝마파는 타락의 양상을 보였다. 이는 교학의 문제는 아니고 주로 잘못된 밀교 수행에서 파생된 결과였다. 그리하여 갈수록 교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밀교 수행자들을 멸시하고 배격하였으며, 밀교 수행자들 중에는 계율과 교학을 무시하면서 살생을 일삼거나 성행위를 정당화하는 사도적(邪道的) 수행자들이 많아져 갔다.

티베트 불교를 완성시킨 총카파 존자
이런 어지러운 시대에 티베트 불교에 정화의 바람을 일으킨 분이 인도에서 오신 아티샤(982~1054)이다. 인도 비크라마실라 대학의 좌주(座主)였던 아티샤는 티베트 서부 구게 왕국의 왕 예세외와 장춥외의 초청으로 티베트에 와서 올바른 금강승의 가르침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그의 가르침은 ‘소승의 계율을 지키면서, 대승 공관(空觀)의 이치를 배우고, 밀교의 수행 방법에 따라 깊이 있게 증득한다.’ ‘반야의 지혜를 얻는 일과 이타의 방편을 구하는 일은 둘이 아니다’라는 두 가지로 요약 정리할 수 있다.

 

▲ 총카파 존자를 형상화한 탱화

이러한 아티샤의 가르침을 그대로 이어받고 더욱 심화시켜 오늘날의 티베트 불교를 완성시킨 분이 총카파 존자이시다. 서기 1357년 티베트 동북쪽 암도 지방에서 탄생하신 총카파 존자는 열 살의 어린 나이에 출가한 뒤 많은 스승들을 찾아다니면서 탄탄한 교학의 이수 과정을 밟는다. 또한 틈틈이 밀교의 수행도 게을리 하지 않고,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항상 문수보살에게 기도하여 문수보살로부터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 한다. 그리하여 현교를 집대성한 『보리도차제론』과 밀교를 집대성한 『밀종도차제론』이라는 양대 저술을 남겼으며, 많은 승려와 재가자들의 귀의에 힘입어 수도 라싸에 간덴 사원을 세우고 겔룩파를 창시하였다. 1대 달라이라마가 바로 이 총카파 존자의 수제자이며, 현재 겔룩파는 티베트 불교 내에서 가장 큰 세력을 유지하고 있다.
총카파 존자의 현교적 관점은 경량중관학파(經量中觀學派)의 관점을 취하며, 이는 그가 밀교를 바라보는 관점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 경량중관학파의 관점은 앞의 산타라크시타의 유식중관학파의 관점과 대립된다. 유식중관과 경량중관. 두 파 모두 모든 현상의 공성(空性)을 주장하는 점은 같지만, 차이점은 아뢰야식의 있음과 없음, 외계(外界: 器世間)의 실재(實在)와 비실재(非實在)의 문제에서 생긴다. 총카파 존자는 아뢰야식의 존재를 철저히 부정하며, 외계는 각 개인의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실재한다고 주장한다.
총카파 존자의 관점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는 오늘날의 티베트 불교 겔룩파에서는 역사 속에서 나타난 불교의 다양한 학파 중 가장 중요한 네 가지로 소승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 대승의 유식학파와 중관학파를 언급하며, 다시 중관학파를 유식중관학파와 경량중관학파로 나누고, 경량중관학파를 논리적 관점에서 자립논증파(自立論證派)와 귀류논증파(歸謬論證派)로 나누며, 뒤로 갈수록 더 정견(正見)에 가깝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겔룩파의 학승들은 스스로 정견을 정립하기 위해 이러한 불교 제파의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심도 있게 공부한다.
총카파 존자가 현교의 학습 과정을 중시하는 이유는 외도(外道)와 내도(內道: 불교)의 여러 학파의 다양한 관점들을 충분히 심도 있게 공부하고 비교 검토할 수 있어야만 정견을 확립할 수 있고, 정견이 확립되어야만 그 후에 이어지는 밀교 수행을 올바로 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는 티베트 불교의 역사에서 한때 밀교 수행자들이 심하게 타락했고, 현교와 밀교가 서로 대립했던 잘못된 과거로부터 얻은 교훈이기도 하다.

티베트 불교의 체계적인 교학 과정
그래서 현재의 겔룩파에서는 현교의 교학을 20여 년 공부한 다음에 밀교 공부와 수행으로 넘어가는 코스가 일반적이다. 교학을 공부하는 동안에는 대론(對論: 토론)을 아주 중시하는데 이는 다름 아닌 인도 나란다 대학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 한다. 이러한 겔룩파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과거에 교학보다는 수행을 중시했던 다른 파에서도 점차 교학 과정을 강화하고 대론을 활용하는 것이 요즈음 티베트 불교의 전반적인 추세이다. 겔룩파에서 현교를 공부하는 과정은 크게는 5단계인데 첫째, 불교 논리학과 인식론 3년. 둘째, 반야바라밀다와 대승경전 5년. 셋째, 중관사상 4년. 넷째, 계율 4년. 다섯째, 아비달마 4년 해서 도합 20년이다.
첫째, 불교 논리학과 인식론 단계에서는 인도의 논사 디그나가(陳那)의 집량론(集量論)과 주석서, 다르마키르티(法稱)의 인명칠론(因明七論)과 주석서 등을 위주로 공부하고,
둘째, 반야바라밀다와 대승경전 단계에서는 마이트리야(彌勒)의 현관장엄론(現觀莊嚴論)과 미륵학이십론(彌勒學二十論)을,
셋째, 중관사상 단계에서는 나가르주나(龍樹)의 중관이취육론(中觀理聚六論), 아리야데바(提婆), 붓다팔리타(佛護), 바바비베카(淸辨) 등 논사들의 저술, 찬드라키르티(月稱)의 입중론(入中論)을,
넷째, 계율 단계에서는 별해탈경(別解脫經), 사분율(四分律) 등의 율장과 논사 구나프라바(功德光)의 근본경장(根本經藏) 등을,
다섯째, 아비달마 단계에서는 논사 바수반두(世親)의 구사론(俱舍論)과 주석서 등을 위주로 공부한다.
이러한 과정을 모두 마치고 나면 다시 여러 시험과 대론(對論) 과정을 거쳐 게셰의 칭호를 얻게 되는데, 게셰에도 다시 위로부터 하람파, 촉람파, 릭람파, 링세파의 네 단계가 있다. 따라서 하람파 게셰 정도가 되면 적어도 금강승 현교의 영역에서는 가히 대적할 자가 없는 수준이라 하겠다. 필자가 알기로는 현재 우리나라에 이 하람파 게셰 몇 분이 들어와, 한국인들에게 본격적으로 티베트 불교를 가르치기 위해 한국어와 한국불교를 공부하고 있다.
한국불교는 어떠한가? 간화선에서는 특히 분별을 배격하며, 그 결과 교학을 무시하거나 경시한다. 사교입선(捨敎入禪)이라 해서, 교학을 공부한다고는 하지만 티베트 불교의 체계적 과정에 비하면 가히 조족지혈이다. 한국불교의 수행승들은 과연 올바른 견해를 가지고 수행에 임하고 있는가? 또한 신도들에게 올바른 견해를 가르치고 있는가? 살펴보고 또 살펴볼 일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산 스님 _ 서울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순천 송광사로 출가했다. 국내 제방선원에서 선 수행, 미얀마에서 위빠사나 수행 등을 했으며, 최근에는 인도 다람살라에서 티베트어와 티베트 불교를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붓다의 길 위빠사나의 길』을 썼고, 『티베트 불교 문화』를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