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불교] 미얀마 불교 (1)

세계의 불교

2009-08-07     관리자
가산불교문화연구원 개원 6주년 기념. 조계종 개원 3주년 기념으로 공동주최한 `열린 세계에 있어서 세계 승가공동체의 현황과 전망` 이란 제하의 학술회의 자료집에서 양해를 얻어 `미얀마 불교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정원 스님)를 발췌, 2회로 나누어 싣는다. 특히 미얀마 불교사 개관과 미얀마 불교의 교학과 수행체계를 게재하여 미얀마의 교학과 수행체계를 조망함으로써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찿고, 불교의 보편적 진리로써 미래세계를 열어나가고자 한다.  -편집자 주-

 

  미얀마 불교사 개관

  미얀마(공식 명칭은 미얀마 연방, Union of Myanmar)는 북서로는 인도의 아샘주, 북동으로는 중국의 운남성(雲南省), 동으로는 라오스와 태국, 남서로는 안다만 해와 벵갈만 사이에 위치한 공화국이다. 국토 총면적은 67만 6,552Km이며, 지리적으로 남부의 해안지방(하부 미얀마)과 북부의 내륙지방(상부 미얀마)으로 구분된다.

  미얀마는 1989년 5월 27일 국가명을 구 영국식민지 시대에 명명된 `버마` 에서 `미얀마` 로 바꾸었다. 미얀마는 총인구 45,103,809여 명 중 89.4%가 상좌부 불교도인 대표적인 상좌부 불교 국가이다. 미얀마에 상좌부 불교가 발전한 것은 11세기 중엽의 일이다. 11세기 중엽 상부 미얀마의 파간을 중심으로 버마족에 의한 최초의 통일국가를 건립한 아노야타 왕(1044~1077년 재위)은 하부 미얀마 몬족의 나라에서 500명의 상좌부 승려를 팔리어 삼장과 함께 파간으로 데려와서 미얀마 상좌부 불교를 확립시키고자 하였다.

  그 후 아노야타 왕은 스리랑카의 대사파(大寺派)로 승려를 보내어 대사파 전승의 상좌부 불교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였다. 파간 왕국은 13세기 말 몽고의 쿠빌라이 칸에 의해 왕국이 멸망하기까지 5천여 불탑과 사원을 건설하면서 상좌부 불교를 발전시켰다.

  파간 왕국 멸망 후 200여 년 동안 혼란한 시기를 거쳐서 15세기 후반에 몬족 출신의 담마체디(1472~1492년 재위)왕은 남부 미얀마의 페구를 중심으로 페구 왕조를 일으킨다. 담마체디왕은 아노야타 왕에 이어 두 번째로 스리랑카에 사절단을 보내 스리랑카 대사파의 상좌부 불교 계율의 맥을 도입. 당시 분열되어 있던 미얀마의 승단을 통일시키고 불교를 부흥시켰다.

  이후 미얀마 불교는 16세기 법난을 거쳐 17세기에는 가사의 착의법을 둘러싸고 승단의 정통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즉 승려가 마을에 들어갈 때 가사로 두 어깨를 가려야 하는데(通肩派) 한쪽만 가려도 되는가 하는 문제로 분열, 보도파야 왕(1782~1819재위)이 통견파로 통일시킴으로써 이 문제가 종지부를 찍었다.

  보도파야 왕은 이 외에도 종교정화위원회의 설치와 아차리야(스승)의 지제이 중심이 되어 증대하는 승단을 정비하려고 하였으며, 스리랑카의 낮은 카스트의 사미를 당시의 수도 아마라푸라에 불러 비구계를 받게 해줌으로써 이들이 스리랑카에 돌아가 아마라푸라파를 형성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보도파야 왕에 의해 시도된 승단의 조직체제 정비는 19세기 후반에 즉위한 민돈 왕(1582~1877 재위)에 의해서 한층 강화된다. 민도 왕은 학식 있는 고승으로 형성된 종교회의소를 수도 만달레이에 두고 상좌부 승려와 사원의 감독 및 지도를 하였다. 민돈 왕은 1871년에 상좌부 제5차 결집을 개최, 2,400명의 승려를 만달레이에 소집, 팔리삼장과 주석서를 정비, 편찬하여 대리석 729매에 새겨서 만달레이의 쿠도토 탑에 세워 놓았다. 

  19세기 후반 영국 식민지가 된 미얀마는 그 영향으로 승단의 질서가 흐트러지기도 하였고, 승단 내에서 자체적으로 정화를 위해 몇몇 종파가 생겨났는데 그 대표적인 종파가 쉐진파, 드와라파, 겟트윈파이다. 하지만 민돈 왕의 종교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투담마파는 위의 세 파를 인정하려 하지 않았고, 이로 인한 승단 내부의 문제가 사회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자 민돈 왕이 중재에 나서 위의 세 파를 인정하게 되었다. 위의 세 파는 하부 미얀마에서 활동,계율 엄수, 스승과 제자간의 카리스마적인 관계등 유사점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에 자극받아 상부 미얀마의 승단도 정화되기 시작했다.

  영국 식민지 시대에는 고승들이 민족주의 운동의 지도자로 활약, 스리랑카처럼 미얀마 독립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왕조시대부터 성행한 불교시험제도, 17세기부터 시작되어 보도파야 왕과 민돈 왕 시대에 더욱 성행한 팔리 국가 시험인 파타마비양 시험은 영국 식민지 시대에도 1895년부터 46년간 계속되었다. 

  또한 이와 아울러 민간의 사설 팔이시험이 발족되었는데, 만달레이의 파리야티 사사나히타 협회가 1891년부터 시작하여 양곤, 몰민,헨사다, 페구와 하부 미얀마의 각지에 유사한 조직이 발족되었다. 1948년 독립한 미얀마는 독립 초대 수상인 우 누(U  Nu)는 승단 및 불교 진흥을 위해서 많은 개혁을 하였다. 불멸 2500년 기념사업으로 1954년부터 56년까지 거행했던 제 6차 결집은 국가적인 차원의 불교진흥 사업의 하나였다.

  1962년 네윈이 무혈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후 미얀마 정부는 정교 분리 정책을 취하지만 팔리 국가 시험의 실시, 불탑의 보수 등의 불교 진흥을 위한 사업은 계속되어 왔다. 1980년 5월 24일부터 27일까지 미얀마 전 종파 합동회의를 개최, 종교 정치적 문제, 종교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미얀마의 전 9종파를 통괄하는 조직의 설치, 종교적 분규의 해결, 출가 등록제와 신분 규정의 확립이라는 세 가지 사항을 입법화하였다.

  마얀마 불교의 교학 -  두 종류의 팔리 경전 시험을 중심으로

  미얀마에는 국가에서 관리하는 팔리 국가 시험(매년 3월에 있으며, 5일에서7일에 걸쳐 시험이 치뤄진다)과 팔리 사설 시험(승려와 재가자가 중심이 된 감독 단체가 만달레이와 양곤에서 시험의 진행을 감독)이 있다.

  팔리 사설 시험은 정부에서 주도하는 법사시험보다 문제도 어렵고 연령제한이 훨씬 엄하다. 정부 주도의 법사 시험의 경우, 연령제한이 없는 데 비해 양곤에서 실시하는 팔리 사설 시험은  만 30세 이하의 연령제한과 법랍 10년 이상의 비구, 만달레이의 팔리 사설 시험은 27세 이하의 연령 제한과 법랍 10년 이상의 비구여야 하며 양곤의 시험보다 어렵다고 한다.

  정부 주최의 팔리 국가 시험의 법사 과정을 합격하면 담마카리야라는 칭호를 받으며, 팔리 사설 시험의 합격자에게는 비밤사라는 칭호가 주어진다. 이렇듯 미얀마 승려에게 담마카리야 또는 비밤사라는 칭호는 그 승려의 팔리경전에 대한 공인 실력을 나타내는 존칭이다.

  이 외에 정부에서 주최하는 삼장 호지 시험이 있다. 이 시험은 매우 어려워 40년 이상이 지난 이제까지 삼장 호지사는 6명밖에 없다. 미얀마 시험 교과목은 곧 미얀마 승가의 교학체계를 엿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자료이므로 살펴보고자 한다.

1) 팔리 국가 시험

  팔리 국가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은 승려(비구와 사미) 와 재가 신분의 남녀 수행자에게 주어진다. 팔리 국가 시험은 4단계의 기초과정과 마지막 법사과정의 두 과정으로 되어 있다. 기초, 초급, 중급, 고급의 4단계 과정으로 실시되는 팔리국가시험의 과목은 율장, 팔리문법, 아비달마, 미얀마어인데 각기 내용은 다르다.

  예를 들면 미얀마어의 경우  기초과정에서는 레디 사야도의 `붓다의 생애` 와 자타카 이야기,  초급과정에서는 교계(敎誡), 오불(五佛), 이야기, 담마니티 등의 미얀마어 시와 붓다의 생애(출가, 성도, 카필라에의 귀향), 미얀마어 법구경 이야기 두 편,  중급과정에서는 미얀마 설법집, 레디 사야도의 오종욕(五種欲)법문, 붓다의 생애(大제자들의 이야기), `법구경` 이야기 세 편,  고급과정에서는 법구경 이야기, `밀린다왕문경` 의 나가세나의 탄생, 출가 등의 이야기이다.

  한편 법사과정의 시험 과목은 율장(바라이와 그 주석), 아비달마(법집론과 주석),경장, 팔리 문법(앞의 율장, 아비달마, 경장에 대한 문법적 분석)이다

2)팔리 사설 시험

  팔리 사설 시험은 사미 시험과 법사 시험이 있다. 3단계로 되어 있는 사미만이 치를 수 있는 사미 시험의 내용은 카차야나의 팔리 문법과 `섭아비달마의론` 을 포함해서 삼장의 일부이다. 사미 시험을 통과하면 알랑카라라는 칭호가 붙는다. 팔리 사설 법사 시험의 경우는 팔리 국가 시험의 전 과정(3단계의 기초과정과 법사과정)의 교과목이다. 매년 100명 정도 응시하여 5~10명 정도 합격한다고 한다.

3)삼장 호지(三藏 護持) 시험

  팔리 경전은 B.C. 1세기에 스리랑카에서 문자로 기록되기 전까지 약 5세기 동안 암기에 의해서 전해졌다. 문자로 기록된 후에도 삼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암기하거나 전문적으로 연구하던 승려가 있다는 사실은 팔리 주석 문헌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좌부의 전통을 되살리려고 시도된 시험이 미얀마의 삼장 호지 시험이다. 팔리 국가 시험을 모두 통과 해야 응시할 수 있는 삼장 호지 시험의 합격자가 50여 년 가까운 기간 동안 삼장 호지사가 6명, 경장 호지사가 92명밖에 없었던 것을 보면 이 시험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알 수 있다.

미얀마의 승려교육

   미얀마의 승려교육기관은 전국의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는 사설교육기관인 전문강원과 만다라레이와 양곤의 두 도시에 있는 국립불교대학이 대표적이다. 전문강원에서는 팔리 국가 시험을 중심으로 교육을 시키고 있는데, 아마라푸라, 양곤, 만달레이, 챠우세, 베이, 매묘, 마하간다용 등이다. 이 가운데 아마라푸라 마하간다용의 역사가 가장 오래 되었다고 한다.

  한편 1986년에 창설된 양곤 카바예에 위치한 국립 불교대학은 사미와 비구만을 위한 승가대학으로 미얀마 승려의 경우 팔리 국가 시험의 기초단계 고급과정을 통과한 승려에게만 입학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매년 90명 정도가 입학하며 평균 연령은 25세라고 한다.

  경율론 삼장, 불교사, 팔리 문법, 미얀마어, 미얀마 문화 등을 교육하고 있는 국립불교대학은 같은 학년에서 시험에 2번 낙제하거나 한 번의 결석으로도 즉시 퇴학시킬 정도로 학칙이 엄하다고 한다. 학비 및 일체 일상 생활에 필요한 용품은 미얀마 종교성에서 지급되는 한편 미얀마 승려가 불교대학을 졸업하면 법사(담마카리야) 자격이 주어진다.

  이 대학을 졸업한 미얀마의 승려는 4년간의 대학원 과정에 진학할 수 있는데 졸업하면 석사 학위에 해당하는 대법사(마하 담마차리야)의 자격을 획득한다. 이 대학 창설 초기에는 법사 시험 합격자들을 교육시켜서 교수진을 양성하였다고 한다.

  사설 전문강원이 전통적인 상좌부불교대학의 전당이라고 한다면 국립불교대학은 상좌부 불교 교육은 물론 영어나 현대 학문에 대한 교육을 장려 하고 있다. 실로 국립불교대학의 창설은 미얀마 승단의 현대 사회에의 적응의 한 움직임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