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잖아 죽어갈 것은 …

더불어 함께 사는 자연

2009-05-15     관리자

내 고향은 전라북도 고창이다. 일제시대 김성수 선생께서 열여섯이 되도록 자기집 땅 아닌 곳은 밟아 본 적이 없다고 하는 바로 그 동네 그 땅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이다.
이맘때쯤 겨울이면 먼 바다위에도 눈이 쌓여 하얀 수평선이 눈발되어 넘실대고, 육지 깊숙이 들어와 파도치고 있는 포구너머 험한 산골에는 부안의 내소사가 아슴프레하게 보이기도 한다. 또 동네 어위 기나긴 오솔길을 따라 눈길을 이어보면 우리 고장의 명소이자 가장 큰 자랑거리인 선운사 가는 길이 보인다.

이렇게 아름다운 고장 내 고향 고창 중에서도 우리 마을 ‘만돌리’란 곳은 일제시대 때 간척사업으로 생긴 동네이다. 총가구 수가 30여 호밖에 되지 않는 소규모 마을이지만 여태껏 동네 사람들은 몇 대를 이어 성실한 땀으로 이 척박한 땅을 갚아 엎어 옥토를 일구고, 짬짬히 바다에 나가 일하는 식의 부지런을 떨며 반농반어의 생활을 유지해왔다.

워낙 오염이 되지 않은 바다여서인지 십여 년 전부터는 우리 마을의 앞바다에서도 그 까탈스럽다는 김양식이 시도되어 마을 사람들의 숙명적인 가난을 종지부 찍게 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 김양식이 문제였다. 해를 거듭할수록 점점 잘 되어서 도시로 올라갔던 사람들마저 다시 불러들일 정도였던 이 김양식이 어느 날 갑자기 눈에 띄게 수확이 줄고, 때론 사르기 타 죽어버리곤 했다. 아무런 원인도 발견하지 못하고 발만 동동 구르던 마을 사람들은 그 다음해에도 그 다음 해에도, 현격히 줄어들어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 김수확에 미련을 떨치지 못해 다시 시도하고 했지만 역시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이제는 모여들었던 마을 사람들도 다시 떠나버리고 원인을 알 수 없는 김의 떼죽음은 아직도 원인을 알 수 없는 채로 남아있게 되었다.

김의 떼죽음, 원인이 없는 결과는 없다. 모든 것이 인과라 하지 않던가. 동네사람들은 은연중 이즈음 고창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세워진 원자력 발전소를 의심해 보았다. 생각을 더듬어 보니 원자력발전소 덕에 정읍에서 이곳을 거쳐 영광에 이르는 비포장도로가 말끔히 포장되고, 서울에서 이곳까지 3시간 남짓이면 도착할 수 있다고 좋아라 했던 것이 얼마전이었다.

사람들 중 일부는 원자력 발전에 대해서 알아보기 시작했다. 텔레비전에서나 서울에 가면 지하철 곳곳에 붙어 있는 원자력 발전소의 깔끔한 광고들을 보면서 ‘설마?’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청정에너지’라 거듭 거듭 강조하는 데에서는 특히 그랬다. 무슨 무슨 박사라는 분들이 신문이나 기타 언론매체에서 양심을 걸고 말한다고 하는 대목에서는 추호의 의심도 남기지 않고 잊어버리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이론적인 것, 논리적인 것들은 오래 가지 않았다. 원자력 발전을 대대적으로 했던 나라들도 점점 그 좋다던 원자력발전을 중지하기로 결의하고, 있던 것도 폐쇄한다는 얘길 들었을 때, 그들은 다시 자신의 생계로 돌아왔다. 김발에 붙어있는 드문드문한 김, 원인을 알 수 없는 죽음. 아무리 생각해 봐도 이유는 원자력발전소 외에 없을 것 같았다.

경상북도 월성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있었다는 얘길 들은 것은 그 후로 얼마 안 가서였다. 월성 원자력발전소가 생기고 나서 인근해에서는 각종 어패류가 떼죽음을 당했다고 한다. 주민들의 조사에 의하면 하루에 수십만 톤씩 발전소에서 유출되는 열탕(원자로를 식혀주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데 이 물이 데워져서 흘러나올 때 그것을 이렇게 부름)이 인근해를 오염시켜서 그렇다는 것이었다.

일반 어패류의 경우보다 김은 환경의 영향에 특히 민감하다. 겨울철엔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되지 않고, 일조량의 영향도 크게 작용하며, 청정해역이어야만 된다는 것이 김이다.
이렇게 하나하나 밝혀나가던 사람들에게 알면 알수록 벽처럼 느껴지는 것은 밀실행정, 즉 환경문제에 대한 관계당구의 모호한 기준과 태도였다. 마을 사람들에게 힘이 될 거라 생각되었던 안면도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마을 사람들은 도리어 더 쉽게 체념해버리고 말았다.

기준이라는 것이 그렇다. 흔히 각종 오염에는 기준치가 있어 몇 피피엠이면 되고 그것을 넘어서면 안 된다는 등의 인식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그 기준이란 것은 세계의 여러 나라마다 다 다르다. 기준이란 단순히 정해놓은 수치 이상의 것이 아니다. 좀 과장시켜 말하면 그 이상이 되면 치사량이고 이하면 중상 또는 경상이란 의미일 수도 있는 것이다. 중상 혹은 경상이라서 다행이라고 생각하게 하는 것, 그런 의미일 뿐이다. 중상 아니 경상이 진정 정상에 비해 다행일 수 있을까?

우리 동네 사람들은 원자력 발전소에 항의를 한다거나 정부에 배상을 요구하지는 않았다. 정확히 규명되지 않는다는 것이, 즉 조사할 수 있는 권한과 장비 등을 갖지 못했다는 것이 어떤 일이든 쉽게 포기할 수밖에 없게 만든다. 그렇지만 동네 사람들은 한 가지를 알았다. 원자력 발전이 수많은 광고에서 떠들어대듯 좋은 것이 아님을  …. 막연히 그냥 안 것이 아니라 뼈에 사무치게 알았다.

요즈음 일본에 원자폭탄을 만들 수 있는 플로토늄이란 것이 얼마만큼 반입되었다느니, 반대해야 한다느니 하는 말들이 무성하다, 원자력 발전을 하고 남은 폐기물의 일종인 그것에 대해 전 세계가 항상 긴장하고 전쟁위험을 얘기하는 이때, 우리나라의 3개 지역 열 개 남짓의 원자로에서는 영원히 처리할 수 없는 핵폐기물이 계속 쌓여가고 있다.

우리는 우리 세대의 짧은 편리를 위해 후대에게는 거의 영원에 값하는 고통을 전가하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식자층의 일부는 서로가 이런 행위의 의미를 알고 있으면서도 서로에게 암묵적으로 동조하며 자신들의 초조감을 감추기 위해 아무 일도 없을 거라는 말만 마치 주문처럼 외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생각해본다. “지금은 보잘것없는 해초 중의 하나인 김이 죽어가고 있다. 하지만 멀잖은 미래에는 과연 무엇이 죽어갈까?”하고…

 염규헌은 65년 전북 고창 출생. 섬유봉제회사인 C&H의 전 노조위원장이었다. 늦게 사회의식을 갖고 제반 사회활동을 해오다 현재는 인도와 중국 등지의 한국공장에서 생산활동을 하고 있다. 이글은 일시 귀국하여 쓴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