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정, 그대로가 진정 불심이었나니

우바이 만세 여성불자 만세!

2009-05-08     관리자

'동산양개(洞山良介807~869)'하면 조동종(曹洞宗)의 개산조로써 청원행사(靑原行思)의 제4대 법손인 운암담성(雲岩曇晟)의 법을 이은 대종장이다. 그의 성은 유(兪) 씨요 시호는 오본대사(悟本大師)며 탑호는 혜각(慧覺)이다. 호가 동산(洞山)이고, 양개는 그의 휘다. 오예산 진묵스님을 은사로 하여 머리를 깎고 사문이 된 그는 스물 한 살에 구족계를 받고 여러 곳으로 다니다가 남전보원을 만난다. 그 뒤 다시 위산영우에게 갔다가 위산의 지시를 받고 는 운암담성을 배알하게 된다. 운암담성은 동산에게 무정(無情)이 설법한다는 내용으로써 시험한다. 그는 거기서 선지(禪旨)를 깨달아 마침내 운암담성의 제자가 된다.

 당나라  대중 말년에 신풍산에서 많은 학인들을 제접하니 그에게 가르침을 구하는 납자들이 구름같이 몰려 들었다. 그 후 예장의 동산 보리원에 자리를 옮겨 종풍을 선양하니 비로소 그의 명성이 천하에 알려지게 되었으며 동산이란 호도 거기서 시작된다. 당나라 함통 10년에 입적한 그는 어록(語錄)이 1권 전해지며 그 문하에 운거도응, 조산본적, 소산광인, 청림사건, 용화거둔, 화엄휴정 등이 있는데 모두 당대를 이끌어간 대종장들이다. 조동종이 생기게 된 것도 제자 중의 한사람인 조산본적의 '조'와 동산양개의 '동'을 따서 이루어진 것인데 일본의 정법안장을 저술한 도오겐(道元)선사도 바로 이 조동종의 가풍을 이은 분이다. 그만큼 조동종은 매우 폭넓은 인재를 발굴하면서 발전되어져 갔고 또한 그 종지에 대해서도 학인들은 깊은 관심을 갖고 매료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훌륭한 대종장인 동산양개가 탄생된 배경에는 이름없는 한여인이 있었으니 바로 그의 어머니였다. 일찍이 회계의 유 씨에게 시집온 그녀는 온갖 역경과 가난을 딛고 아들 삼형제를 고이 길렀다. 그중에서도 둘째 아들인 동산양개에게 거는 기대는 대단하였다. 큰아들과 막내아들은 너무도 가난한 데다 둘째 아들만큼 총명하지도 못했고 또한 사람이 무던치를 못했다.

 남편도 없이 혼자 몸으로 길러낸 삼형제 중에서 특히 가장 기대를 걸었던 둘째가 출가를 하고 보니 그녀의 가슴은 메어지는 듯 했으리라. 아들이 보낸 편지에 답한 그녀의 답전문을 보자.

 "내 너로 더불어 숙세의 인연이 있었던지, 비로소 어미와 자식으로 맺어지자 온갖 사랑의 정을 다했더니라. 임신하고부터 신과 부처와 하늘에 기도하여 아들 얻기를 원했더니 만삭이 되고나서는 죽을 고비를 넘긴 게 한 두 번이 아니었었구나. 마침내 아들을 낳아 원을 성취하고는 금지옥엽처럼 아끼고 사랑하여 똥오줌의 더러움을 싫어하지 아니하고, 젖을 먹일 때에도 피곤한 줄을 몰랐더니라.

 점점 자라 공부할 나이가 되어 서당에 보내 글을 익히게 되어서는 혹 때가 되어도 돌아오지 않을 때는 사립문에 기대어 네가 돌아오기를 기다린 적도 한 두 번이 아니었단다. 그런데 이제 네가 보낸 글월에 굳이 출가하기를 요하니 네 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에미는 늙었구나.

 더군다나 네 형이나 아우는 지지리 가난하고 또한 냉정하니 내 무엇을 의지하겠느냐. 자식은 어미를 버릴 뜻이 있으나 어미는 자식을 버릴 마음이 없느니라. 일단 네가 집을 떠나고부터는 주야로 네 생각에 서글픈 눈물도 많이 흘렸단다. 참으로 마음 아프더구나. 이미 맹세코 집에는 돌아오지 않겠다 하니 어미는 네 뜻을 따르겠다마는 나는 네가 왕상(王祥)이 얼음 위에 누워 물고기를 구해다 어머니를 봉양한 효(孝)라든가.

 정난(丁蘭)이 어머니의 모습을 조각해 놓고 언제나 살아계신 어머니를 대하듯 한 효를 바라지 않는다. 내가 바라는 것은 네가 목련존자처럼 나를 제도하여 고해로부터 건져 불과(佛果)에 오르게 함이다.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깊은 허물이 있을 것이니 간절히 한 번 깊히 생각해 보거라."

 이 글은 『치문(緇門)』의 <서장>편에 나오는 동산양개화상의 사친서(辭親書)에 대한 어머니의 답장이다. 우리는 위 글에서 어머니의 장한 마음 두 가지를 발견하게 된다. 어머니가 자식을 길러 내고 교육시키는 것은 기본적인 모정이니까 그렇다 치더라도 양개화상의 어머니가 자식에게서 바라는 효는 진정 무엇이었을까. 그렇다. 세속적 효가 아니라 출세간적 효다. 효의 진정한 의미, 그 목적은 부모의 영원한 안식에 있다.

 그녀는 말한다. 자식은 어미를 버릴 뜻이 있지만 어미는 자식을 버릴 마음이 아예 없다고. 중생은 부처를 등질 마음이 있지만 부처는 아무리 고약한 중생이라도 버릴 마음이 본디 없다는 말과 서로 통하는 말이다. 어머니의 마음, 본디 그것은 부처님의 마음이다. 사랑은 계산이 아닌 통째다. 계산에 의해 주고 받는 사랑이란 이 세상 모든 어머니에게 있어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우선 이 두 가지를 놓고 동산양개화상이라는 위대한 선각자가 탄생한 배경이 되었음을 생각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머니와 여자는 같으면서도 다르다. 여자는 젖을 갖고 있는 이와 젖을 갖고 있지 않은 이로 구분된다. 젖을 갖지 않은 이가 딸[女]이요, 젖을 갖고 있는 이는 어머니[母]다. 한문에서 여(女)와 모(母)는 같은 테두리를 갖고 있다. 같은 테두리란 여(女)다.그러나 모(母)는 두 개의 유방을 갖고 있다. 유방을 갖고 있다는 것은 베품을 뜻한다. 어머니는 젖을 지녔기에 자식에 대한 끝없는 사랑이 펼쳐진다.

 모든 여자가 다 어머니인 것은 아니다. 모든 여자는 계집녀(女)자로 통용된다. 그러나 그 계집녀 여자의 상하로 유방을 표시한 것은 어머니로써의 의미를 지닌 어미모(母)자가 된다.

어머니, 동산양개는 어머니의 마지막 말을 그의 출가이후 전 생에에 걸쳐 가슴 속에 지니고 있었으리라. 어머니의 바램이 무엇인가를 분명코 잊지 않았으리라. 출가한 사람이 본분을 잊어버리면 양가득죄(兩家得罪)를 하게 된다. 불가로는 깨달음을 등지고 세속에 물들었는 깨달음을 등지고 세속에 물들었기에 죄를 얻음이요, 속가로는 효를 다하지 못했기에 죄를 지음이다. 깊은 허물이란 바로 양가득죄를 뜻하는 말이리라.

 부처님은 중생을 저버리지 않는다. 부처님은 한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수많은 생을 번갈아든다. 부처님이 짐짓 윤회하는 모습을 보이며 이 사바에 오심도 중생의 교화를 위함이다. 중생이 있는 한 부처님은 어느 곳에나 따라간다. 중생이 신음하는 곳에 부처님은 사랑으로 오신다. 어머니의 마음, 어머니의 행동도 마찬가지다. 양개화상의 마음, 양개화상의 낱낱 행동에 그의 어머니 마음은 항상 따라다니며 보살핀다.

 벌써 30여년은 되었으리라. 큰형님(속가로서의)이 군에 입대하여 복무하는 동안 단 한 번도 거르지 않고 요식을 떠놓던 어머니의 모습을 생각해 본다. 그 때 어머니는 말씀하셨다.

 "요식을 떠 놓으면 네 형이 배가 고프지 않단다. "그 때, 필자는 그 말이 믿기지 않아 고개를 갸우뚱하곤 했다. 이제 부처님의 제자가 되고 나서 나는 어머니의 행동과 말씀이 진정 의미 있었음을 깨닫는다. 『원각경』 보안보살장의 "한 마음 청정하니 모든 마음 청정하고 한 세계 청정하면 온갖 세계청정하다"는 말씀은 바로 어머니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리라. 어머니의 보이지 않는 염원을 어느 만큼이나 생각하고 있는가. 대학의 입시, 취직의 문턱, 승진에 있어서, 결혼과 자녀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장한 어머니의 보이지 않는 염원과 기도(祈禱)가 있었음을 우리 모두는 상기할 일이다. 어머니의 간절한 마음과 하나로 연결되었음을 기억할 일이다.                    佛光

--------------------
동봉 스님 : 치악산 구룡사에 입산하고 그 해 합천 해인사에서 윤고암 대종사를 의지하여 축발수계하였다. 현재 원각사 주지로 있으며 역저서에「반야심경 연구」「대각사상과 전개」「선의 진수」「코스모스와 만다라」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