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논단] 한국불교의 교단형태론

2009-04-13     이종익

  머 릿 말

  교단이란 어떤 교주에 의하여 제시된 교지(敎旨)와 신조(信條)를 신봉하고 실천하는 교도(敎徒)의 집단임은 말할 것도 없다.
  우리 인류란 그 삶의 등뒤에서 검푸른 회색보자기를 둘러쓰고 숨바꼭질 하는 생명의 비밀을 더듬어내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이지(理智)의 탐조력(探照力)을,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순간에서 영원을, 그리고 상대 .유한의 세계에서 무한. 절대의 세계를 추구하는 이상의 창조력을 타고 났다.
  그 이지(理智)의 탐조력(探照力)으로 그 삶의 뜻을 캐고 이상의 창조력으로 그 삶의 값을 끊임없이 추구하여 나가는 곳에 여러가지의 종교가 형성되어 나왔다.
  그러한 원리에서 생겨난 종교인데 그러나 그 삶의 뜻과 값을 찾는 방법이 서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어떤 종교는 그것을 유한의 인생으로서 무한의 신을 동경하고 그 신의 힘에 의뢰하여 그 목표를 딛고 올라서려 했다. 그것이 기독교나 회회교(回回敎), 인도교(印度敎)와 같은 타력주의 종교이다. 또 다른 종교는 인간 자체 안에서 무한, 절대의 능력을 도달하려 하였다. 이것이 곧 불교와 같은 자력주의 종교이다.
  우선 이 인류사 위의 수많은 종교군을 이 자력, 타력 두 가지로 구분하여 보자. 그런데 사람들은 그 계기에 따라서 혹은 타력주의종교에로, 혹은 자력주의종교에로 말을 돌린다. 그곳에 회회교, 기독교, 인도교, 불교 등의 교단이 탄생되었다. 이것이 이 세계 위에 여러 가지 종교단체가 형성된 근본원칙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교리는 또 분화되어 같은 기독교에도 수십여 파로, 같은 불교에도 그러하다.
  그러므로 오늘에 와서는 그 여러 교파가 될 수 있으면 하나에로 통합하자는 운동도 여러차례 일어나고 있다. 기독교에서 그러했고 불교에서도 그러했다.
  그러나 인류란 제각기 제 주관이 있고 아집이 있다. 또는 그에 이해가 결부되어 있으므로 언제나 교단통합이란 공염불이요, 구두선에 그쳤다.
  하물며 「군교통일(群敎統一)」이니 「세계일가(世界一家)」니 하는 것은 꿈이요, 잠꼬대일 뿐이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어떻게 보고 어떻게 평할 것이며 또는 장차 어떤 방면으로 지양(止揚)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냐에 대한 것을 나의 나름대로 풀이하려 한다. 물론 그것이 본론을 의뢰한 편집자의 요망하는 점과 일치될 수 없지만 (편집자의 요청은 한국불교가 단일종(單一宗)이어야 하나? 분파(分派)이어야 하나?가 주제) 그러나 필자는 이 문제를 불교의 원리면과 역사의 사실 및 현실적 상황으로 이것을 실증하여 그에서 얻어진 사실을 그대로 붓으로 옮기려 한다. 그것이 당위의 요청이나 주관적 욕구와는 다른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本   論

  1, 원리적 측면에서 

  현재 한국에는 약 20 개의 불교종파가 나열되어 있다. 이러한 종파가 꼭 다 각기 병존해야 될 것인가? 여기에서 그 當然과 不當然性을 말하는 것은 우리의 주관적인 판단이고 객관적인 사실과는 무관하다. 요는 오늘의 역사적 사실임은 틀림없다. 역사적 현실이란 어떤 한 사람의 의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사회적 공동연쇄체(共同連鎖體)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그 잘 잘못을 사회와 역사의 현실에 물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에 대한 결론은 끝으로 미루고 우선 불교의 원리면에서 이것을 찾아보기로 하자.
  불교의 원리란 무엇인가? 불교의 근본사상은 어디까지나 참된 자기를 되찾아서 이성의 고향으로 복귀하는데 있다. 것을 「보디(覺)」다, 「닐바나(涅槃)」다, 또는 「해탈(解脫)」이다. 「피안(彼岸)의 세계」라고 하였다.
  붓다의 가르침은 그것뿐이다. 그런데 그 가르침을 전개하는 방법은 이른바 여러 가지 방편문을 쓰게 되었다. 그 가장 드러난 예로서 가장 초보적인 입교자(入敎者)에게는 「삼귀의」와 「오계」를 가르쳐 주었다. 그 다음에는 십선법(十善法)같은 것을 가르쳐 주었다. 그러한 교지(敎旨)는 뒤에 「인천인과교(人天因果敎)」라고 하였다.
  그 다음에 이 세간을 아주 뛰어나서 모든 번뇌를 끊고 생사를 벗어나겠다는 교도를 위하여서는 고(苦), 집(集), 멸(滅), 도(道)라는 사제(四諦)의 진리를 가르쳐 주어 그 이치를 깨닫고 도를 닦아 번뇌가 끊어진 경지에 이르게 되면 그것을 「아라한」이라고 하며 또는 「성문승(聲聞乘)」이라고 하였다.
  혹은 인생의 과정은 「십이인연(十二因緣)」으로 설명하며 그 이치를 깨닫고 도를 닦아 번뇌가 다한 경지에 이르면 그를 「연각승(緣覺乘)」이라고 하였다.
  석존재세시에는 주로 이 사제(四諦), 십이인연법(十二因緣法)으로 모든 제자를 지도하여 「아라한 과(果)」를 체득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불멸후(佛滅後) 400년경까지는 방등(方等), 반야(般若), 법화(法華), 열반(涅槃), 화엄(華嚴) 등의 대승경전이 세상에 없었으며 상좌부와 대중부를 비롯한 20부파불교가 벌어졌지만 그것은 다 사부아함경(四部阿含經), 사분율장(四分律藏), 오분율장(五分律藏), 소승(小乘) 아비달마론(阿毘達磨論) 등의 삼장(三藏)밖에 없었고 붓다 이후 그 직계제자로부터 이십부파(二十部派)에 이르기까지 다 소승삼장교리(小乘三藏敎理)에 의하여 수도(修道)하여 아라한도를 성취하는 것을 그 최상의 목표를 삼아왔던 것이다.
  현대에 역사적 붓다와 교리발달사를 과학적 실증법으로 구명(究明)한 결과, 붓다의 근본교리는 사부아함(四部阿含)과 사분율전(四分律典)에 담긴 삼법인(三法印), 사제(四諦), 십이연기(十二緣起)의 교법으로 환원하자는 뜻이다. 그러한 원시불교는 오히려 우리의 인생과 밀착되고 실제적인 교의(敎義)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는 것이다. 그런 점에 세계 각처에서 말하는 원시불교에의 환원운동도 뜻이 있는 것이다.

  2, 교단분파(敎團分派)의 역사성

  붓다 사후 200년에 전통교단인 상좌부와 진보파인 대중부가 분립되었는데 그것도 역사적 필연성에서였다. 그 뒤로 붓다 사후 400년경까지 다시 18부가 벌어져서 본래 합하여 20부파가 전개되었던 것이다. 이것이 또한 역사적 필연성이기는 하지만 하나의 불교로서 20부파가 서로 문호를 달리하고 시비를 일삼게 되었다는 것은 참으로 명예스럽지 못하였다.
  붓다 후 400년 이후에 반야부(般若部), 방등부(方等部), 법화(法華), 열반(涅槃), 화엄(華嚴) 등의 대승경전이 우후죽순처럼 쏟아져 나오며 대승학자가 나타나서 종전의 부파교단을 소승이라 지탄하자 그 교파에서도 대승경전을 비불설(非佛說)이라 비방하고 대승교도를 사마(邪魔)로 취급하였다.
  그리하여 대소승교단이 서로 문호를 벌리게 되었고 다음 불멸후 8백 년경에는 대승교에서 다시 용수(龍樹), 제바(提婆)의 삼론학(三論學)을 중심한 중관학파(中觀學派)와 무착(無着) 천친(天親)의 유식학(唯識學)을 중심한 유가학파(瑜伽學派)가 벌어졌다. 그것도 또한 역사적 필연의 상황에서였고 누가 일부러 조작한 것은 아니었다.
  그 다음에 인도에서 대(大), 소승경(小乘經), 율(律), 론(論)이 중국에 전래하여 처음 한역(漢譯)되었고 다음 그 교의(敎義)를 연구하게 되자 아비담(阿毘曇), 삼론(三論), 율(律), 법화(法華), 열반(涅槃), 법상(法相), 천태(天台), 화엄(華嚴) 등 여러 교학파가 분립된 것도 또한 역사적 필연의 현상이었다. 다음에 실천이 요청되어 정토종(淨土宗), 선종(禪宗), 진언종(眞言宗)이 개립(開立)되었던 것이다. 이것 또한 필연의 형세에서였다.
  중국에서 여러 불교학파가 전개되자 그러한 여러 학파의 경론(經論)이 우리나라 신라에 유통되었다. 특히 원효 대사(元曉大師)(617∼686)는 만법(萬法)이 일심(一心)이요, 마음밖에 별법(別法)이 없다는 진리(眞理)를 체득하고 대(大), 소승(小乘)의 삼장지귀(三藏旨歸)가 마침내 하나에로 돌아감을 깨달은 뒤에 모든 학파의 시비쟁론(是非諍論)이 장님 코끼리 이야기와 같다는 것을 간파(看破)하고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을 지어서 모든 시비를 하나의 원리에로 귀일시키려 하였다. 그것을 원효 대사의 통불교운동이라고 한다.
  그러나 역사의 진실은 그 이상대로 실현되지 않았고 대사의 학파는 해동종(海東宗)으로 행세하였고 신라에도 소승종(小乘宗), 율종(律宗), 화엄종(華嚴宗), 열반종(涅槃宗), 신인종(神印宗), 총지종(摠持宗), 유가종(瑜伽宗) 등의 여러 교파가 분립되었으며 나말(羅末), 여초(麗初)에는 중국에 들어가 새로 선법(禪法)을 전해온 고승들이 각기 개산(開山)하여 전법하므로 드디어 구산선파(九山禪派)가 분립되게 되었다.
  이렇게 여러 교파(敎派)와 선파(禪派)가 문호를 벌리고 서로 내가 우월하다고 다투게 되었다. 그 때 문종(文宗)의 왕자(王子)로 출가(出家)한 대각 국사(大覺國師)(1055∼1101)는 새로이 회삼귀일(會三歸一)을 그 이념으로 한 천태교관사상(天台敎觀思想)으로 선(禪), 교(敎)제종(諸宗)의 융합운동을 전개하였으나 그 뜻대로 실현되지 않았고 천태종(天台宗)이 따로 개립되었던 것이다.
  대각 국사(大覺國師)가 입적(入寂)한 지 반세기 뒤에 출현한 불일(佛日) 보조국사(普照國師)(1158∼1210)는 또한 선(禪), 교(敎) 종도(宗徒)가 같은 불자(佛子)로서 서로 문호를 달리하고 장벽을 쌓아 원수로 대한 듯 한데 크게 의혹하여 한 선승(禪僧)으로서 일체(一切)  경장(經藏)을 열람하면서 선(禪), 교(敎)가 과연 근본적으로 이원적인가를 추궁하다가 마침내 화엄경과 이통현화엄론(李通玄華嚴論)에서 선교일원(禪敎一元)의 진리를 발견하고 인도적(印度的) 교의(敎義)와 중국적(中國的) 선지(禪旨)를 하나에로 귀회(歸會)시키어 새로운 지도이념을 정립하기를 
  「부처를 배우는 자는 모름지기 먼저 불조(佛祖)의 여실한 종교에 의하여 진정한 지견을 결택(決擇)한 뒤에 문자, 지식에 걸려 있지 말고 다만 자기 현전일념(現前一念)을 잡아들고 선지(禪旨)를 궁구하면 반드시 출신활로(出身活路) 성불작조(成佛作祖)가 있으리라.」라는 <선교상자(禪敎相資)> 또는 회교귀선(會敎歸禪)의 지도체계를 설정(設定)하였던 것이다.
  그러한 지도이념에 의하여 새로운 종단이 형성되며 조계산(曹溪山) 송광사(松廣寺)를 근본도량(根本道場)으로 그 종풍(宗風)이 크게 떨치며 십육국사(十六國師)를 배출하여 그 종풍(宗風)이 일국(一國)을 휩쓸며 교계(敎界)의 우이(牛耳)를 잡게 되었다. 그것이 곧 조계종(曹溪宗)이었다. 그 종단에서는 모든 불전(佛典) 조록(祖錄)을 명심견성(明心見性)의 안내서로 하여 다 활용하였고 율(律), 정토문(淨土門)도 하나의 선(禪)의 보조방편으로 응용하였다.
  조선조에 들어와서 태종(太宗)  7년(1407)에 종전(從前)의 십이종(十二宗)을 칠종(七宗)으로 통합하고 다음 세종(世宗)  6년(1424)에 칠종(七宗)을 선교양종(禪敎兩宗)으로 통합하였는데 선(禪)은 조계종(曹溪宗), 교(敎)는 화엄종(華嚴宗)으로 통칭하였다. 그 뒤 서산대사(西山大師)시대(時代)(1520∼1604)에 교종(敎宗)이 다시 조계선종(曹溪禪宗)으로 합치게 되었다.
  그래서 라(羅), 려(麗) 이래(以來) 십이종(十二宗)이 실지로 조계단일종(曹溪單一宗)으로 통일된 것이다. 그러므로 현 조계종(曹溪宗)은 실로 인도(印度)의 모든 교종(敎宗)과 중국(中國)의 모든 선종(禪宗), 정토(淨土), 밀교(密敎)까지 하나로 회통한 것이었다.
  이것이 인도의 원천적 불교, 중국적 분파적 불교가 한국적 회통불교에로 실현(實現)한 것이 현 조계종단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오늘 우리가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한국불교의 특수성이요, 한국만이 지니고 있는 통불교이다.

  3, 현실적 상황에서 본 종파불교

  위에서 서술한 것이 불교 발달 및 변천사 위에서 본 교단. 종파불교의 상황이다. 근본불교에서도 「인천승(人天乘),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이 그 궤도를 달리하였고 소승불교시대에는 이십부파가 분열되었고, 대승불교시대에는 중관(中觀), 유가학(瑜伽學) 및 밀교파(密敎派)가 문호를 달리하였다.
  다시 중국에 전해 와서는구사(俱舍), 성실(成實), 섭론(攝論), 지론(地論), 법화(法華), 열반(涅槃), 삼론(三論), 천태(天台), 법상(法相), 화엄(華嚴), 율(律), 정토(淨土), 선(禪), 밀교(密敎) 등의 십수 개 종파가 분립되었고 우리나라에 와서도 그러하였지만 그것이 또한 역사적 필연의 정세(情勢)에 의하여 모든 종파가 나중에 조계단일종으로 통합되었다.
  그런데 8 15광복 후 종교계에도 민주자유의 부산물로서 심인불교(心印佛敎), 법화종(法華宗), 화엄종(華嚴宗), 천태종(天台宗), 원효종(元曉宗), 태고종(太古宗), 정토종(淨土宗) 등 십수 개 종파가 난립되었다. 그 가운데는 종주(宗主), 종지(宗旨), 종단(宗團)의 내실을 갖추지 못한 유명무실한 종단도 없지 않다.
  이러한 현황을 직관할 때에 당위의 요청은 그 명실상부하지 못한 종단은 하루빨리 정리되는 것이 국가적, 사회적으로 이익되리라고 본다.

  맺는 말

  위에서 불교종파에 대하여 불교의 원리면에서 또는 역사면에서, 현실면에서 대략 논술하여 왔다. 그러면 오늘의 한국불교현실에서 십여파로 분립된 그 종파들을 당위의 목적의식에서 어떻게 다루어져야 할 것인가?
  여기에서 이미 논의되어온 한 두 가지의 과제가 있다. 그 하나로서 모든 종파통합의 문제이다.
  한국에 현존한 모든 종파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을까? 그 가운데 유명무실한 몇 개 종파는 한 데 묶어서 새로운 출발을 하는 작업이 가능한 것도 있다. 그것에는 자의와 타의가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현 조계종, 태고종, 원불교, 진각종과 같이 상당히 뿌리를 깊이 박고 있는 종파는 통합이 전혀 불가능하다. 그러나 만일 가능한 조건이 있다면 우선 조계종에서 최대의 아량을 베푸는 데 있다. 그 최대의 아량이란 다른 종파(宗派)와 함께 그 간판을 떼고 한데로 뭉치는 원칙으로써 현 조계종이 소유하고 있는 사찰(寺刹), 산림(山林), 문화재(文化財) 전부를 여러 종파의 공유로 하고, 각자의 종지(宗旨), 신행의궤(信行儀軌) 등을 백지화하고 원효 대사를 종조(宗祖)로 고려 대각 국사(大覺國師)와 보조 국사(普照國師)를 중흥조(中興祖)로 하는 새 종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명칭은 「대한통불교(大韓通佛敎)」라고 하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종전(從前)의 각종단(各宗團)의 종도수(宗徒數)에 비례하여 사찰과 재산을 분배하여 유지, 운영하게 하는 방안이다.
  그러나 원불교(圓佛敎)와 진각종(眞覺宗)과 같이 그 교주(敎主)와 교리(敎理)를 달리한 종파는 합동하지 않을 것이다. 다만 태고종(太古宗), 화엄종(華嚴宗), 원효종(元曉宗), 천태종(天台宗)의 몇 종파는 합동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조계종에서 소유한 사찰, 산림, 문화재산 등을 그들에게 공유(共有) 또는 분배할 수 있겠느냐? 내가 볼 적에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어떤 종파가 흔연히 그 간판을 떼고 합동하려 하겠는가?
  그 다음으로는 하나의 연합체제의 형성이다. 또한 명칭은 「대한통불교(大韓通佛敎)」라고 하고 그 이름 안에 각종파(各宗派)를 포섭하는 것이다. 곧, 「대한통불교(大韓通佛敎)」라는 관칭(冠稱) 밑에 태고파, 원효파, 대각파, 천태파, 보조파, 진각파, 법화파 등으로 분파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현재의 각종파와 거의 같은 것이다.
  그 밖에 각종단통합의 원칙이란 있을 수 없으며 정부에서 반민주적인 폭력으로 통합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비현실적인 공상을 버리고 우선 천육백 년 역사적 전통과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조계종은 그 역사적 전통과 가치성을 되찾아 일종성립(一宗成立)의 기간(基幹)이며, 생명원천인 종원(宗源), 종지(宗旨), 종통(宗統)을 바로잡아 통불교적 원칙에서 선(禪)을 핵(核)으로 모든 교전은 선(禪)에 도입하는 길잡이로 하고, 기연(機緣)에 따라 정토(淨土), 지(持呪), 율(律), 교학(敎學)의 전수문(專修門)을 열어서 다른 종파가 그 문호에 따라서 포섭되도록 하는 길을 열며 그러한 실질적인 행동으로 명실공히 현(顯), 밀(密), 선(禪), 정(淨)을 원융화(圓融化)하는 통불교를 실현하여 나가야 된다는 것을 본인은 확고히 주장하여 나온 바이다.
  어쨌든 현재와 같은 유명무실한 사이비종파는 국가와 사회를 좀먹는 해충이므로 정리되어야 하며 그 나머지는 각기 건전하게 발육되어야 한다. 그리고 천육백년 전통과 문화재를 전장받아온 조계종은 하루빨리 그 주체성을 되찾아 선(禪)을 골자로 현(顯), 밀(密), 정(淨), 계(戒)를 다 그 방편문을 포섭하여 원융무애(圓融無碍)한 통불교(通佛敎)로 지향하면서 제종포섭(諸宗包攝)운동을 힘차게 전개하는 것이 종도(宗徒)에 부여된 역사적 지상과업임을 재삼, 자각하고 맹세해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