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선의 실천 : 화두話頭

禪의 實踐

2008-01-14     관리자

① 見性이라는 것

   이설은 있어도 달마(達摩)대사 지음이라고 알려지고 있는 혈맥론(血脈論)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만약 부처를 찾고자 하거든 반드시 견성하여야하니 견성하면 곧 불이니라. 만약 견성하지 못하였으면 염불하거나 경을 읽거나 재계(齋戒)를 갖더라도 이익이 없나니, 염불하면 인과를 얻고 경을 외우면 총명을 얻고 계를 가지면 천상에 나며 보시를 하면 복된 과보를 얻으나 부처를 찾는 데는 마침내 이르지 못하는 것이다. 만약 자기를 밝게 요달하지 못하였거든 마땅히 선지식에 참례하여 생사근본을 요달하여야 하느니라...... 만약 견성하였으면 곧 불이요, 견성하지 못하였으면 즉시 중생이라」하였으며, 또 六조 혜능(慧能)대사의 법보단경(法寶壇經)에는 일관하여 견성을 논했고 「만약 자성을 한번 깨달으면 곧 불지(佛地)에 이른다」하고 있다.

 위 두 조사의 말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교는 인인개개 자기 본성을 보아 필경 자타 유무 생사 인과의 상대(相對)와 관계 조건에서 벗어난 훤출한 자기면목의 확인을 제一의 목적으로 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염불을 하고 경을 외우고 이론적 지식을 연마하고 선행을 행하는 것이 필경 자기본성을 드러내는 조건임에 그치고 본성 자체를 직접 파악하는 도리와는 사뭇 거리가 있는 것이다. 이래서 교학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일체경전은 필경 부처님의 말씀이고 선은 일체경전을 설하신 주체, 즉 부처님의 말씀이고 선은 일체경전을 설하신 주체, 즉 부처님의 마음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부처님이 교학을 배웠거나 어느 누구의 은혜로운 선물을 받아서 성불한 것은 아니다. 오직 본성을 요달하여 불성을 확인하고 불성인 자성을 열어보이며 내지 우리에게 그를 가르치셨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에는 어떤 번쇄한 이론도 조리도 없는 것이다. 오직 단번에 근원에 도달하여 인간본지(本地)를 체득하는 것일 요구한다.

 

   ② 선의 본질과 발달

   선은 근원적 실제(實際)의 체득이라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선의 시초는 역사상 최초의 각자(覺者)인 부처님에게도 거슬러 올라갈 수 밖에 없다. 비록 선이라는 언구를 사용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이론과 사유를 초절(超絶)하여 자성본지(自性本地)를 사무쳐 대도를 성취한 모든 성자들은 선에 의하여 깨달았다 할 것이며, 또한 깨달은 참된 경지를 쓰고 말하고 행한 그 모두는 바로 선의 활용이라고 말하게 되는 것이다. 바꿔말해서 선은 필경 근원적 실제인 불성, 즉 본래면목의 직접적인 확인방법이 그것이며 동시에 그러한 본래면목의 구김없는 발휘가 그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일체중생이 중생된 원인은 앞서 달마대사가 지적한 바와 같이 참된 자기를 상실한 데에 기인한다. 상실한다 하지만 실로 어디 간 것이 아니다. 자기 존재 자체가 바로 진면목의 실존인 것이다. 그런데도 어찌하여 자기 진면목을 모른단 말인가. 그것은 망념(忘念)으로 인한 착각 때문이다. 그러므로 중생이 자기 진면목을 깨닫고저 하면 두가지 경로가 있게 된다. 하나는 망념을 쉬는 것이요, 또하나는 착각된 눈길을 바로잡는 일이다.

 기본적인 것으로는 사마타(奢摩他)다. 사마타는 원각경(圓覺經)에 보이는 바와 같이 무엇보다 지극히 고요한데 이르러 생각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삼는다. 이와같이 하여 고요가 극치에 이르면 마침내 깨닫는 것이니 망념이 다하면 즉시 자성을 얻는 것이다. 이 법은 고래로 인도에서나 중국에서나 일반적으로 쓰여온 기본방식이니 묵조선(默照禪)도 이 계보에 속하는 것이다.

 둘째는 망념의 유무에 상관하지 아니하고 오직 성품을 보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 생각을 헛된 곳에 헛되게 맡겨두지 않고 오직 분명히 자기자신을 보게 한다. 이 자성을 보게 하는 방법으로 주어진 무기가 곧 화두다. 화두는 자기본분을 직접 보는 작업이다. 앉는 데 있지 않고 눕는데 있지 않고 동요가운데 있지 않다. 오직 주어진 본분도구(本分道具)인 화두에 몰입하여 한눈 팔지 않고 곧바로 보아간다. 여기서 본분면목을 보게 되는 것이니 그것은 허둥대던 마음의 눈을 돌이켜 자기본지에로 돌리는 것이다. 이것이 착각의 눈을 돌이킨 것이며 자기본분을 본 것이니 곧 견성이다. 이 두 번째 방법은 세존당시부터 실지 행하여 왔지만 공부법으로 정형화한 것은 선이 사뭇 발달된 이후에 성행하게 되었으니 이것은 사리를 보아도 당연하고 선의 역사가 또한 그러하다.

 

   ③ 화두의 의미와 시작

   위에서 보아온 바와 같이 화두가 착각된 마음의 눈을 자기본분으로 돌이키는 기장(器杖)이라면 부처님 당시 수많은 제자에게 이 화두방식이 실시되었을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세존이 도솔천을 여의지 아니하고 왕궁에 강탄하시고 모태(母胎)에서 나오기 전에 중생을 제도하였다든가, 세존이 샛별을 보고 오도하셨다던가, 이른바 삼처전심(三處傳心)이라고 하는 다자탑 앞에서 가섭과 더불어 자리를 나누시기도 하고 영산에서 꽃을 들어 대중에게 보이셨던가 또 오동꽃 두그루를 들고 온 흑시범지(黑氏梵志)에게 세 번이나 「놓아라」하셨다던가 한 이 모두는 바로 화두적인 시설이라고 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며, 실지 이 말 아래서 무수한 각자가 튀어나오는 것이다.

 세존 입멸 후, 아란존자가 가섭존자에게 「부처님께서 존자에게 전하신 의발 외에 무엇이 있읍니까」물었을 때에 가섭이 「문 앞에 찰간(刹竿)을 쓰어뜨려라」하고, 아난존자는 마침내 이 언구를 참구하여 오도하였으니 이것은 가장 명백한 화두에 의한 오도가 아닌가. 조사문중에는 이런 화두의 활용이 실로 부지기수다. 六조 혜능조사나 마조(馬祖) ·백장(百丈)조사나 그 밖에 모든 조사가 한결같이 직절근원(直截根源)한 본분일물(本分一物)을 들이대어 후래를 닥달하였으니 이 모두는 바로 화두법의 활용인 것이다.

 그런데 필자가 알기로 화두라 하는 말, 또는 공안(公案)이라는 말을 오늘날의 개념으로 사용한 것은 중국 당(唐) 황벽(黃蘗?-八五○)선사 이후의 일이다.

 화두는 글자가 의미하듯이 말을 뜻한다. 법의 의미가 담긴 언구(言句)이다. 수행자는 그에게 던져진 법의 언구를 알려고 들어붙는 것이다. 그래서 마침내 그 언구의 의미를 알면서 불도 법도 중생도 일체를 요달하는 것이다. 이것이 왈 견성이며 대해탈이다.

 화두는 가섭존자의 말과 아란존자의 오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법이 담긴 가섭존자의 하나의 언구는 바로 범부 아난을 즉시에 불조위(佛祖位)에 바꿔놓는다. 이러한 언구의 이미인 화두는 부처님과 역대조사를 이어 오늘에 이르고 긴 미래까지 전해질 수 있는 것은 너무나 명맥하다. 법을 깨쳐들어가는 방식이 원래로 그런것이다. 그런데 화두를 공안과 같은 뜻으로 생각하게 된 때부터 위에서 본 바 법의 언구로서의 화두가 사뭇 의미 내용이 정돈되고 격식화된 것으로 보아진다.

 공안은 본래 관청의 공변된 문서라는 의미다. 공정하여 범하지 못할 법도가 거기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공부하는데 있어 불조의 본분도리를 직절(直截) 설하신 조사의 언누가 몸짓이나 그밖에 모든 방법은 그것이 깨치는데 있어 모두가 바른 법령(法令)이 되는 것이므로 이런 것들을 공안이라 하고 불조의 언구를 화두라 하는 것과 같은 말로 쓰인다.

 황벽선사는 설법에서 「진정한 대장부하면 모름지기 공안을 간(看)하되「개에도 불성이 있습니까 없읍니까?」한데 「없다」한 이것을 밤이고 낮이고 가나 오나 서나 누우나 생각생각 끊이지 아니하고 맹렬히 정신을 차려 추구해가라....」 하였으니 이것이 곧 화두이며 공안이란 말의 문건상의 시초가 아닌가 보아진다.

 화두는 불조의 안목이며 참된 생명력의 진수 이다. 화두를 통해서 우리들은 참된 자기생명을 파악하고 삼세제불의 마음에 투입하며 일체만법의 주재적(廚宰的) 자신을 보게 된다. 이 화두는 그 형식상 몇가지를 볼 수 있다. 어떤 것은 본분실지를 온통 들어보인 것, 또는 행자의 병통을 타파하는 것 또는 행자의 방향을 잡아주는 것, 여러 가지로 불수도 있겠으나 실로는 그 모두가 오로지 행자의 본분을 온전히 드러내는 위력을 갖고 있다. 화두를 통해서 불조면목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三세제불이 여기에서 출현하는 것이니 화두는 가위 불조를 만드는 최상의 법장(法杖)이라 할 수 있다.

 

   ④ 화두 몇 가지

   화두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고래로 一七○○공안이라 한다. 이 말은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에 오른 불조 一七○一인에 근거한 듯 하다. 오늘날 전해지는 공안은 공안집이라 할 수 있는 벽암록(碧巖錄)에 一○○칙(則), 종용록(從容錄)에 一○○칙, 무문관(無門關)에 四八칙이 보인다. 그러나 공안을 어찌 수로 헤아리랴! 이하에 몇 가지를 열거하겠다.

 앞서 황벽선사가 인용한 화두를 무자화두(無字話頭)라 하고 아난존자의 오도화두는 도각찰간화(倒却刹竿話)라 하는데 다시 몇가지를 보태본다.

 양무제(梁武帝)가 달마대사를 만나 묻기를 「어떤 것이 첫째가는 성스러운 도리입니까?」하니 달마대사 대답하기를 「성스러울 것이란 없다」하였다. 다시 「짐(朕)과 대한 이는 누구시오?」하니 「모르겠오」하였다.

 혜능조사가 대중에게 말하였다. 「나에게 한 물건이 있으니 머리도 없고 꼬리도 없으며 이름도 없고 앞도 없고 등도 없다. 너희들은 아느냐?」(是甚摩話)

 한 스님이 조주(趙州) 선사에게 물었다. 「어떠한 것이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입니까?」「뜰 앞에 잣나무니라」「화상이여, 경계를 가지고 말씀하시지 마소서」「내가 경계를 갖어 말하지 않았느니라.」또 물었다. 어떤 것이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입니까?」「뜰 앞에 잣나무니라.」(庭前栢樹子話)

 한 스님이 운문선사에게 물었다. 「한 생각도 일어나지 않을 때 허물이 있습니까?」「수미산」하고 대답하였다.(須彌山話)

 조주선사가 말하였다.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니 하나는 어디로 가는가?」(萬法歸一話)

 세존께서 영축산에서 설법하실 때 한번은 대범천 왕이 금색파리화를 공양하였다. 세존은 그중 꽃한 송이를 물어 대중에게 보이시나 아무도 그 뜻을 알지 못하여 어리둥절 하는데 오직 가섭존자 만이 빙그레 웃었다. 이에 세존은 「나의 정법안장(正法眼藏) 열반묘심(涅槃妙心)을 가섭에게 전한다」하셨다. (枯花微笑話)

 

   ⑤ 화두의 삼요(三要)

   화두공부하는 데에는 많은 주의를 말한다. 상세한 것은 별도 기회에 미루고 여기서는 서산(西山)대사의 선가구감(禪家龜鑑)에 보이는 三요만을 들기로 한다.

 선가구감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참선에는 모름지기 三』요를 갖추어야 한다. 첫째는 대신근(大信根)이요, 둘째는 대분지(大憤志)요, 셋째는 대의정(大疑情)이다. 만약그중 하나만 궐하여도 이것은 발이 떨어진 솥과 같다. 마침내 폐기가 되는 것이다.

 경에 이르시기를 「성불은 믿음을 근본으로 삼는다.」하였고, 영가(永嘉)대사는 이르기를 「수도는 먼저 반드시 뜻을 세워야 한다」하였으며, 몽산(夢山)선사는 이르기를 「참선하는 자가 연구를 의심하지 않는 것이 이것이 가장 큰 병통이다.」하였으며 또 이르기를 「큰 의정 밑에 반드시 큰 깨달음이 있다」하였다.』

 여기에서 화두공부의 골격을 말하고 있다. 큰 믿음이란 자신의 본면목이 바로 불성(佛性)이라는 사실을 믿는 것이요, 큰 분심이라 하는 것은 자기 본성을 상실한 데 대한 분발심을 일으켜 대용맹심을 내는 것이고, 큰 의정이란 화두의 뜻을 알려고 의심을 내는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참선의 기초로서의 믿음과 용맹력의 중요성을 다시 알고 참선의 기초작업으로서 먼저 이 두 요건을 충분히 충족시킨 다음 참선공부에 나설 것을 알게하는 것이다.

 

   ⑥ 화두공부하는 방법

   화두공부하는 방법은 큰 서원을 세우고 간절한 마음으로 큰 의정을 발하여 동정(動靜)에 끊임없이 정밀하게 잡두리하는 것이라 하겠으니 이하의 제조사의 법어 중에서 몇구절을 인용하여 요점을 짐작하게 하고저 한다. (좌선법식은 별고 참조)

   단연, 날카로운 칼날을 빼어든 듯 맹리한 정신으로 기어이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을 밝혀내도록 하여야 하니 두 눈을 똑바로 뜨고 반복하여 공안을 간하되 「이 무슨 도리인고?」라고만 하라(鵝湖禪師).

 설사 망념이 오더라도 생각으로 막고, 제하려고 하지 말고 오직 힘써 간절하게 화두만을 들어라. 가나, 오나, 서나, 앉으나, 항상 화두를 들어, 화두로 오고 화두로 가면 아무 재미도 없게 될 것이니 이 때가 참으로 좋은 시절이다. 부디 놓아지내지 말라(大慧禪師).

   이 일은 오직 간절한 생각만이 요긴하니  잠시라도 간절만 하면 곧 진의가 날 것이니 아침에서 밤까지 빈틈없이 지어나가면 스스로 공부가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 흔들어도 동하지 아니하며, 쫓아도 또한 달아나지 아니하여 소소영영하여 분명하게 현전하게 될 것이니 이때가 곧 듣력(得力)하는 시절이라. 정념을 확고히 잡고 부디 다른 생각을 내지 않도록 하라.(高峰妙禪師)

   잠시라도 화두를 잊으면 죽은 사람과 같은 것이니 온갖 경계가 핍박하여 오더라도 다만 화두를 가져 이에 저당하여 시시로 화두를 점검하여 동중이나, 정중에 득력과 부득력을 살펴라. 정중에 있을 때 화두를 잊지 말아야 하니 화두를 잊으면 곧 사정(邪定)이 되느니라.(鐵山禪師)

   혹 二○년 三○년을 공부하여 깨치지 못하더라도 부디 다른 방편을 구하지마라.....

 병중공부에는 용맹정진도 필요 없으며 눈을 부릅뜨고 억지 힘을 쓸 것도 없으니 다못 너의 마음을 목석과 같이하고 뜻을 찬재(寒灰)와 같이하여 이 사대육신을 타방세계 밖으로 던져 버리고 병들어도고만, 살아도 고만, 사람이 와서 돌봐주어도 고만 돌봐줄 사람이 없어도 고만, 죽어서 숙업에 끌려 화탕 노탕 속에 들어가도 고만이라 생각하고 온갖 경계 중에 도무지 동요함이 없이 다만 간절하게 저 아무 맛도 없는 화두를 가지고 병석에 누운 채 묵묵히 궁구하고 놓아지내지 말아야 한다.(中峰本禪師)

   념화두(念話頭)를 하여 의정없이 앉아 있지 말라. 혹 혼침이 오거나 산란심이 들면 생각을 일으켜서 이를 쫓으려 하지 말고 곧 힘차게 화두를 들고 심신을 가다듬어 용맹히 정채를 더하라. 그래도 안되거든 땅으로 내려와 경행하고 혼산(昏散)이 살아지거든 다시 포단에 앉아라. (普巖禪師)

   대개 학자는 모름지기 활구(活句)에 참(參)할지요, 사구(死句)에 참하지 말지니 활구아래서 얻으면 불조와 더불어 스승이 될 수 있거니와 사구아래서 얻으면 자기마저 구하지 못하느니라. (禪家龜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