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세계문학] 불교와 영문학

불교와 세계문학[1]

2007-12-29     김구산

  [1]

  서구문명이 최초로 인도문명과 접촉한 것은 BC 320년 알렉산더 대왕{大王}이 페르시아를 정복한 후 B C 327년 인도의 서북부에 침공하여 약 2년 간 판쟈브지방을 정복하고 퇴각한 데서 비롯된다. 그러나 희랍과 인도문화가 융화된 것은  BC 2세기에 인도의 서북부에 박트러아{Bactia}국을 건설하여 희랍의 왕조{王朝]가 등장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왕은 밀린다{Milinda}왕이며 그가 불승{佛僧} 나가세나{Magasena}에게 불법{佛法}을 물었던 것은 [밀린다 왕문경{王問經}]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BC I세기경 간다라{Gandhara}를 중심으로 등장한 불화{佛畵} 및 불상 조각에서 희랍조각의 영향을 발견하는 것도 이러한 문화적 융화의 증거가 된다.

  그러나 같은 시대에, 불교를 포함하여 인도 사상이 희랍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 것 같다. 왜냐하면 그 당시 희랍에는 고도한 철학의 학파{學派}가 성립되어 소크라테스 이후로 플라톤이며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사상이 확립되어 있었고, 문학에 있어서도 소포클레스, 아이스큘러스, 유리피데스 그리고 아리스토파네스 등이 성숙한 문학의 전통을 이룩해 놓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콘스탄티누스 대제{大帝} 이후 로마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 문명의 팽창은 강력하게 유럽을 석권했으며, 기독교는 그 성질상 배타적일 뿐만 아니라 AD 395년 데오도리우스 대제에 의하여 국교{國敎}로 지정된 이후로는 일체의 사상적 이단성을 용납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타의 사상에는 정신적 여유를 주지 않았다. 그러므로 중세{中世}를 역사상 암흑시대라고 부르게 되었고, 기독교만이 사상적 획일성을 보여 주었던 것이다.

  서구{西歐) 사람들은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하여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을 품고 모험에 정열을 쏟게 되었다. 그들에게 인도는 단연 신비의 보고{寶庫}였다. 콜롬부스가 우연히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했지만 그가 목적지로 정한 곳은 인도였고 그가 도착한 곳 역시 인도라고 믿고 있었기 때문에 미국 동남부 제도 {諸島}를 서{西}인도제도라 부르고, 아메리카 원주민을 인디언{印度人}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인도가 눈앞의 현실로 드러난 것은 서구{西歐} 제국이 식민지 팽창정책을 추구하는 가운데 1600년 영국이 인도에 동인도회사{東印度會社}을 설립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인도의 문물이 구체적으로 유럽에 소개되었다.

  [2]

  19세기 초 영국의 낭만주의{Romanticism}는 인도의 신비주의{神秘主義}사상에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위즈위드{William Wordsworth}, 카라일{Thomas Carlyle}을 중심으로 셀리{Percy ByssheShelley}, 키츠{John Keats} 등에서 범아일여 {梵我一如}의 윤회사상{輪回思想} 등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이는 엄밀히 말해서 불교사상이라고 지적하여 말하기는 어렵고, 오히려 기독교에 대한 힌두교의 범신론{汎神論}적 사고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왜냐하면 그들 서구인들에게는 존재의 근거로서 무{無}에 대한 인식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이 부르고 있는 대자연{大自然}은 기독교적으로 타락되어 있는 자연이 아니라 브라마니즘 브라만이나 스피노자{Brauch Spinoza}의 신{神}과 같은 실체의 전개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빅토리아조{朝} 이후 인도에 대한 이해가 성숙되면서 인도학{Indiology}이 연구되었고 인도의 종교 및 문학이 번역, 소개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1880년대에는 묘법연화경을 위시하여 불교의 경전들이 영역되어 소개되었고, 에드원, 아놀드경{Sir  Edwin Arnold,1832`1904}은 불타의 생애를 그린 장시{長詩}[아시아의 빛{The Light of Asia}]을 1879년에 발표하여 주목을 끌었다.

  우리에게 [장글 북]의 저자로 알려진키플링{Kudyard Kipling, 1865~1936}은 인도의 봄베이에서 태어난 영국의 작가이다. 그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킴{Kim}이라는 소설에서, 킴이라는 애란의 고아가 인도인의 손으로 양육되었는데, 소년이 된 후 티벳불교의 라마승{僧]을 따라 전설적인 [화살의 강]을 찾아 순례의 길을 따라간다. 그는 결국 영국인으로 되돌아 가지만 우리는 키플링의 생애와 관련해서 그의 경험 가운데 불교의 영향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현대문학에서는 T ,S 엘리어트에게서 깊은 인도사상의 영향을 발견할 수 있다. 그는 하바드대학에서 인도학의 권위자인 찰스, 레먼과 제임스, 우드 교수 밑에서 각각에게 산스크리트어{語}와 인도 철학을 공부했는데, 인도철학에 심취하여 일종의 [각성된 신비경{神秘境}]을 체험했다고 한다. 엘리어트는 인도철학이 그렇게 심오한 것을 알면서도 그 길로 계속 정진하지 못했던 것은 그가 유럽인으로서의 사고방식과 감수성을 버려야 하는데 그것이 사실상 용이한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술회한 일이 있다. 그의 작품 <황무지> 가운데 제3부의 소제를 불{佛}의 설교라 했는데, 이것은 부처님께서 인간의 오욕{五欲}을 겁화{劫火}에 비유하여 설법하신 말씀에서 인용했음을 주기{註記}에서 밝히고 있다.

그의 후기 각품인 [네 개의 사중주[四重奏}]에서는 불교의 무상{無常}. 고{苦}, 해탈{解脫}의 사상이 표현되어 있다. 즉 인간이 번뇌의 고해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욕망과 집착을 떠남으로써 해탈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그는 인간의 모든 고뇌가 자기 집착과 인간에 대한 사랑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영원한 평화와 불생불멸의 열반을 성취하는 길은 대방기{大放棄}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곧 무아의 사상임을 알 수 있다.

  사상적 신천지{新天地}로서 미국에서는 인도사상의 흡수가 빨랐던 것을 알 수 있다. 초기 미국의 국민들은 전통적 유럽의 기독교를 비판하고 기독교의 새로운 신앙체계{信仰體系}를 확립하여 유렵의 전통으로부터 정신적 독립을 성취하려고 하였다. 미국인이 지닌 개척정신은 새로운 사상을 흡수하고 실험하는 데에도 잘 나타났다. 1840년대에 뉴잉글랜드의 지성을 대표했던 에머슨 {Ralph Waldo Emetson.1803~1882}은 그 자신 인도의 [브라마]라는 시를 번역했을 뿐만 아니라 범아일여{梵我一如}의 사상을 그의 전작품에 일관해서 표현해 놓았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인 [자연론{自然論}]에서 인간의 마음은 신의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안구[眼球}]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그 신은 진노하고 질투하며 혹은 사탕하고 선별하는 인격신{人格神}이 아니라, 생명의 원천이며 지혜 광명{智 慧光明}의 근원인 것이다.

  헨리 데이빗 쏘로우{Henry David Thoreau, 1817~1862}는 에머슨의 제자이면서 에머슨의 사상을 몸소 실천한 사람이다. 그는 대표작인 [월튼호{浩}]에서 지신의 생활과 사상을  자세히 기록해 놓았는데 그는 인간의 모든 허욕과 집착을 버리고 마지막에는 채식을 하면서 참선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그가 쓴 [시민 불복종의 권리]라는 논문은 후에 오히려 인도 간디옹{翁}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던 겻으로 간디옹 자신이 술회하고 있을 정도였다. 쏘로우 작품에는 평등과 조화, 그리고 비폭력{非暴力}에 대한 강력한 암시가 깃들여 있는 것이다.

  [3]

  이밖에도 E,M,포스터{1879~]의 [인도로 가는 길}이라던가, 브롬필드{1896~1956}의 [우기{雨期}가 왔다.]등이 인도를 소재로 하고 있으나 꼭 인도사상이나 불교사상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그러나 중국에서 태어나고 그곳을 풍토로 하여 자란 미국의 여류작가 펄벅여사를 빠뜨릴 수 없는데, 그는 특히 중국은 대승불교{大乘佛敎}에 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현대의 소설가인 잭 케루악, 노먼 메일러와 샐린저 또한 현대 시인인 알린 긴스버그, 로버트 슈나이더 등이 불교 특히 선불교{禪佛敎}의 영향을 깊이 받고, 세계의 반핵{反核} 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불교가 영미문학에 미친 영향을 고려해 불 때 그것은 영미문학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쳤다고는 할 수 없고, 극히 개별적으로 소수의 작가가 사상의 영감을 얻었다고밖에 말할 수 없다. 더우기 서구인에게 있어서 불교는 인도사상의 한 부분으로 이해되었기 때문에 특히 불교의 영향이라는 개념으로 한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서구문명의 몰락을 예견한 서구인들이 새로운 정신문명의 원천을 찾고 있는 만큼 앞으로 세계문학에 대한 불교의 사상적 영향은 지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