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논단] 의학에서 본 깨달음
상태바
[해외논단] 의학에서 본 깨달음
  • 우에무라 마사히사(植村正久)
  • 승인 2007.12.1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학은 병자를 고통에서 해방하는 자연과학의 이론 기술을 응용하는 분야다. 깨달음은 만인이 가지는 고뇌와 불안에서 해방하는 것으로서 고도의 종교적 정조를 토대로 한 행과 체험에서 얻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의학과 깨달음은 서로 달라서 자칫 무관한 것으로도 보인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신의학과 정신 신체 의학의 진보로 인하여 육체의 병도 고뇌나 불안에서 일어나는 것을 알게 됐다. 이것은 깨달음이 심신의 병의 예방, 나아가 치료에 유효한 것을 뜻한다. 인간의 행복을 위해서는 당연히 의학과 종교의 통합도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는 깨달음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토대로 하여 의학의 대상으로서 중요한 건강, 상해, 죽음 등에 대하여 깨달음이 갖는 의미를 말해 보고자 한다.

[1]깨달음이 가져오는 마음의 상태

깨달음은 미혹에서 벗어나 인생의 진리를 체득하는 것, 또는 본능에 근거한 정신적 동요를 없애어 바른 지혜가 진리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어느 것이나 미혹과 동요가 없이 진리를 체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거되는 것은 미혹과 동요다. 구체적으로는 망집. 아집. 등 집착 경향과 잡념 경향과 망념. 사심. 고뇌를 없애는 것인데 이런 마음 상태를 번뇌라고 말해 두자.

욕구와 번뇌 욕구는 행동의 원천이고 인간의 정신적 에너지이다. 번뇌는 모든 욕구에 관계되어 발생한다. 인간의 욕구는 생리적[1차] 욕구와 사회적[2차]욕구로 구분된다. 생리적 욕구는 음식이라든가 또는 성 등 동물에게도 공동적인 육체욕이고, 자신과 종족을 유지하는 본능이다. 이런 생리적 욕구는 생존의 한도 내에서는 허락되지만, 이것을 넘어서 무한으로 뻗어 나가는 것은 번뇌다. 다음에 사회적 욕구는 인간 고유의 것으로서, 물질욕과 명예 등 정신력이다. 이 가운데서도 바른 것, 타인을 위한 것은 허용이 된다. 예컨대 깨달음이나 포교에 대한 욕구, 약자를 구제하는 욕구 등은 번뇌라 하지 않는다. 그러나 범부는 생리적 욕구나 사회적 욕구를 한도 이상으로 확대시키고자 한다. 이를 세속적 욕구라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