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불교의 현실
상태바
소련불교의 현실
  • 관리자
  • 승인 2007.10.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공산국가의 종주국인 소련에도 불교도가 활동하고 있을까? 『칼 막스』의 공산주의 이론에 종교는 아편이다 라고 지적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세계불교도대회』, 『아시아불교평화회의』등 각종 국제불교세미나․회의 등에 소련은 꾸준히 대표단을 파견하고 있다. 대회의 대표단은 지난 20년간 거의 같은 승려와 신도대표를 참석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극히 국가통제 속의 신앙활동과 정책의 하나로 불교가 정치의 도구화 되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할 일이다. 금년 6월 소련 불교회에서는 인도에 망명한 티벳의 불교지도자 『달라이 라마』를 소련에 급히 초청하였다. 또 9월초 미국 프린스톤에서 개최한 『제3차 세계종교지도자평화회의』에 중공불교회 회장인 『조박초』(趙樸初)외 10여명의 불교대표단이 참석한 바, 소련의 『달라이 라마』초청은 중공불교계의 종교국제활동을 예상한 정책의 하나로 생각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소련․중공의 불교계에 종교외교정책의 싸움(?)이 시작된 것이다. 중공불교 대표단의 미국 종교회의 참석은 미국에 있는 다수의 중국인들에게 정신적인 차원에서 환심을 불러일으키려는 부차적인 목적을 겨냥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맞서 소련의 불교회는 중공의 티벳 강제 점유로부터 망명해 온 『달라이라마』를 초빙하여 소련도 종교의 자유가 있다는 미소종교정책으로 환심을 사는 한편 중공의 종교외교 정책에 쐐기를 박을려는 계획으로 풀이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달라이 라마』의 소련방문 후 중공의 대표단이 미국에 입국하자 뒤이어 9월12일부터 49일간 비정치적 목적으로 미국포교의 길에 오르게 하였다. 또 중공당국도 『달라이 라마』의 중공 초청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경제나 무기문명이 발달될수록 국가를 유지하기 위해 국민들의 정신적 단합이 요구된다. 같은 종교로서 굳혀진―신앙심에 의하여―결속된 형체는 어떠한 힘보다 강하다. 세계가 다원화 되면서 교통수단이 발달되고 고도화된 무기문명보다 더욱 무서운 무기는 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소련과 중공은 여기에 눈을 돌리고 있다. 중공보다 훨씬 앞선 소련의 불교외교 정책은 1960년 초반부터 20여년간 상당한 자료수집과 계획하에 진행되어 왔다. 동남아시아의 대부분이 불교 국가라는 점과 지정학적으로 소련에 가장 중요한 티벳을 중공이 먼저 강점하자 더욱 불교외교에 박차를 가하였다. 『달라이 라마』의 소련 초청도 중공에 대한 티벳인들에(인도 10만, 미국 500명, 영국 100명)반감을 불러이르키는데 목적이 있었고 그가 소련방문 기간중 인도의 전 티벳인들이 4일간 반중공데모를 행하였다.

이와 같이 소련의 불교 정책은 국가 책략의 수단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전문가도 알 수 없는 교묘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1970년 초반기에는 몽고 『우란바톨』에서 동남아시아 불교국가 대표(한국․대만은 제외)들을 모아 『아시아불교평화회의』를 창립하였다. 소련․몽고․월맹 등의 공산국가들이 주축이 된 이 회의는 베트남․캄보디아․라오스를 미국의 식민지 정책의 위협으로 부터 불교인들이 단합해서 대항해야 한다고 하며, 불교의 탈을 쓰고 몽고을 대신 내세우고, 월맹에 무기공급을 하면서 한편으로 정신적인 책동을 위하여 불교기구를 만들어 선전을 한 것이다. 1970년까지 비교적 은둔적인 소련불교정책은 인도차이나 전쟁에 미국이 손을 뗀 후 더욱 노골화 되었다. 『제3차 아시아 불교평화회의』의 의제에―베트남 인민공화국 승리에 따른 아시아 불교도들― 등의 의제를 택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책동을 하고 있다.

이것은 공산권의 불교단체는 명칭 뿐이고 국가기관에서 침략의 수단과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즉 민주주의 국가와 같이 종교자유가 보장되지 않고 국가목적의 통제 속에 형식적으로 신앙활동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2)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