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Ⅱ] 일본불교의 略史
상태바
[특집Ⅱ] 일본불교의 略史
  • 관리자
  • 승인 2007.10.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Ⅱ: 일본불교의 어제와 오늘

일본열도에 불교가 전래되기 전에는 귀문(龜文)문화시대, 미생(彌生)문화시대, 고분(古墳)시대 등이 있었다. 내세신앙이 싹트기 시작한 것은 고분시대이다. 이 시대에 샤마니즘〔무속신앙: 巫俗信仰〕에 의한 신에 대한 관념이 생기면서 씨족신의 신앙이 전개된다. 5․6세기 경의 이 씨족신앙은 씨족의 단결과 독립을 하도록 만들었지만, 차차 새로운 신앙를 필요로 하는 씨족이 나타나게되었다.

그리하여 6세기 전반에 백제로부터 불교가 전래되면서 두 개의 씨족의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두 씨족이란 대신 소아(蘇我)씨와 물부(物部)씨 였으며 물부씨는 국신을 존중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에 반하여 소아씨는 이미 불교숭상은 국제적인 경향인 것을 왕에게 진언하였다. 이때 소아씨는 한반조에 귀화해간 많은 사람들을 배경으로 대화국(大和國)에 사찰을 건립하고 승니를 배출하였으나, 불교의 교리를 이해하였다기보다는 일본의 국신보다 불교가 더 효과적인 의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하여 비조(飛鳥)문화를 창조하게 된다.

6세기 말엽, 스이꼬(推古)천황의 섭정이었던 성덕(聖德)태자는 고구려의 혜자(惠慈)스님, 백제의 혜총(惠摠), 관륵(觀勒)스님들에게서 불교를 배웠다. 태자는 스이꼬여왕에게 승만경, 법화경을 강의하였으며 헌법17조를 제정하고 삼경의소(三經義疏)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하여 역대천황은 불법을 흥륭시키기 위한 소명(詔命)을 내리고, 황실과 호족은 불상을 조성하고 사찰을 다투어 건립하니 불교는 일본의 국가통일의 일익을 담당하기까지 융성하게 된다.

7세기 말경 중앙집권국가의 율령체제가 확립되면서 나라(奈良)의 불교는 이 체제 하에 편성되니 승니통제․사원감독 등의 법령과 제도가 만들어졌다. 모든 승니는 국가의 통제아래 득도할 수 있었고 그 기능은 국가 불교의 주술적 기능을 다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민간에 나가 포교하는 일은 금지되었고 불교교리의 인과설마저 설법할 기회가 없었다. 예외로 행기(行基)보살은 민중에게 불교를 설법하다가 수행자가 많아지니 그 탄압이 극심하였다. 말하자면 국가의 불교정책은 진호국가의 불교를 수립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8세기 경에 이르러 정치적․사회적 불안이 속출하게 되니 천황은 국가사회의 안정을 기원하기 위하여 국분사(國分寺)를 건립할 것을 명령하였으며 이에 대한 모든 경비와 재산을 기부하고 승니를 배치하였다. 그러나 동대사(東大寺)의 대불(大佛)인 노사나불(盧舍那佛)을 조성하면서 이 동대사를 중심으로 많은 국분사는 지방의 거점이 되어 불교의 관립사원체제가 완성된 것이다.

한편 승려의 정계진출도 일시적이나마 나타나서 도경(道鏡)은 법왕의 위치에 앉아서 실권을 잡고, 불교보호정책을 추진시켰다. 이러한 정책 아래서 나라(奈良)의 사찰을 중심으로 교학연구가 성행하게 되니 이른바 삼론종․성실종․구사종․화엄종․법상종․율종의 남도육종(南道六宗)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