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타고 三千里
상태바
바람타고 三千里
  • 관리자
  • 승인 2007.10.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老師의 雲水시절

⑴공부에 대한 평가

그날 밤은 내가 발광했던지 눈이 열렸던지 몰현금을 탓던지, 하여튼 어수선한 가운데 지났다.다음날 아침, 방선을 하고 나니 역시 간밤에 있었던 내 일로 해서 많은 말이 오고 갔다. 설봉(雪峰) 스님은 『관수좌가 애썼다』하고 위로해 주었고 한암 조실스님께서는 『그렇게 본 것이 기특하다』하고 대견해 하셨다. 이 자리에 있던 운정(정금오)스님은 사뭇 달랐다. 『그렇게 하면 젊은 사람 버릇 나빠집니다. 그거 아무 것도 아닙니다. 식심이 발동한 것 뿐이고, 공부는 아닌데……』하며 못마땅해 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이것이 나에게 어찌 격려가 아니고 탁마가 아니랴. 다를 고마운 말씀이었다.

그때부터 나는 별 관심없이 있어도 게송이 줄줄 흘러나왔다. 막힘없이 시원스러이 글귀가 흘러나왔다. 나는 옛 조사스님의 말씀에 비추어 내 경계를 짐작할 량으로 보경록(寶鏡錄)을 모았는데 보경록은 조사공안을 송하고 평창한 것이다. 보경록을 보니 환히 내 경계를 거울에 비춰낸 것과 같은 것도 있고 개중에는 그 뜻을 알듯 말듯 한 것도 있어서 퍽 재미가 있었다. 내가 이렇게 조사어록을 읽고 제 경계에 빠져 헤매고 있는 동안 공부는 많이 퇴실하였다. 화두에 맞붙어 『조주는 어찌하여 무라 하였는고?』하는 것으로 목을 매달고 지내던 내가 사뭇 허랑하게 풀린 것 같은 상태가 되었던 것으로 지금 회상된다. 그 당시는 과거에 보았던 것이 거의 한 자 틀리지 않고 생각이 확연히 드러나기도 하고 온갖 생각이 오고 갔던 것이다.

⑵ 중대(中臺) 노전시봉 시절

그해 겨울은 오대산 중대에서 노전스님의 시봉을 하면서 지냈다. 우리 스님도 중대 노전에 와 계셨다. 마지 짓고 나무하고 세탁까지 겸한 공양주를 하면서, 한편 불공의식도 거기서 배웠다. 이것도 우리 스님, 한암조실스님의 분부에 서다. 그 무렵 내가 스님의 말씀에 대하여 무엇인가 말대꾸를 할랴치면 스님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으셨다. 『그런 말 하지 마라. 그것은 알음알이다. 그런 알음알이가 쉬어야 한다. 알았다고 생각하지도 말고 깨칠려고도 생각하지 마라 오직 화두만을 힘써 들어라』하시며 친절하고 또한 단호하게 일러 주셨다. 나는 중대에서 시봉하며 지내면서 금강경, 법화경, 기신론을 틈틈히 배웠다. 스님의 법문을 들을 때는 아는 것 같았는데 한 마디 하려 하면 스님은 허락하지 않으셨다. 돌이켜 생각하면 아름다왔던 시절이고 행복한 시절이고 고마운 우리 스님이었다. 이런 선지식 밑에 있는 행운을 잘 소화하였던가를 돌이켜 볼 때 당시는 했노라 하고 힘썼지만 역시 그렇지 못했다는 것을 지금의 나는 뉘우친다.

⑶ 금강산 白雲道人

겨울을 지내고 나니 정묘년이다. 그때는 내나이 二十二세다. 금강산에는 많은 선객이 있다고 하고 수좌라면 으례 가보는 곳이 금강산이 아니었던가. 나는 얄팍한 알음알이에 그냥 바람(?)이 들어서 위풍 당당 금강산으로 갔다. 금강산 마하연에 이르니 그때 주장은 백운 스님이었다. 백운스님은 철원 보개산 심원사 스님이신데 나이는 한 六十세는 되어 보였다. 당시 백운도인이라는 호를 얻고 있었으며 선객 五인이 함께 지내고 있었다. 나는 백운스님이 수좌라는 말을 일찍이 들었기에 마하연 마당에 들어서면서 『백운아, 백운아』하고 큰 소리로 불렀다. 그랬더니 키는 짝달막하고 사뭇 인자한 모습의 스님이 문을 열고 나오면서 『허허, 오늘 구름이 끼더니 또 산도깨비가 나왔구나』한다. 나는 대짜고짜 물어댔다. 『조사서래의(祖師西來意)를 속도(速道)?』(조사라 서쪽에서 온 뜻을 속히 일러라) 백운스님은 마루에 주저하고 서 있다. 나는 질풍같은 기세로 그의 턱을 손으로 치면서 『이것도 모르며 여기서 뭣 하는 거요?』고 욱박질렀다. 백운스님은 나의 기습에 몸이 휘청거리다가 일어서면서 『허허, 날이 흐리니 과연 산도깨비가 왔구나』한다. 백운스님의 표정은 조금도 변하지 않은 담담한 그리고 다정한 얼굴이다. 내 손을 정답게 잡으면서 『내 평생 오늘에야 좋은 도반을 만났네』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어 하는 말이다. 『어디서 왔어?』『오대산 한암 스님 회상에서 왔읍니다.』오대산이 한암 조실스님이 계시다는 말은 벌써 널리 알려져 있어서 백운스님도 그걸 알고 있었다. 그리고 하는 말이 『과연 용생용자(龍生龍子)요 봉생봉자(鳳生鳳子)로다. (용이 용새끼를 낳고 봉이 봉새끼를 낳는다) 』하였다.

⑷ 석두스님과 미륵선원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