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정치] 불교의 경우에 대한 시론
상태바
[종교와 정치] 불교의 경우에 대한 시론
  • 김영두
  • 승인 2007.10.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교와 정치

  이상 우리는 법화경이 말세중생상을 화염에 쌓인 묵은 집의 도궤상과 거기서 살길을 경쟁하는 온갖 중생들의 투쟁상에 비유하여 상징적으로 그런것을 가장 고귀한 문화활동상에 비론해 본 것이다. 결코 그런 것이 아니라고 바라고 싶지만 만일에 혹 그런 경우도 있다할 것 같으면 종교가 거기에 대하여 유일의 구제의 손길로 남는 것이 아닐 수 없고, 불교가 다른 종교와는 구별되는 특징이 어떠한 것인가가 문제인 것이다. 이때까지 엉성하게 더듬어온 바에서 거기에 답하는 가장 핵심적인 지적을 한다면 부처님이 몸소 행하신 탁발걸식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탁발걸식의 정치사상

  기독교에서도 후세사 수도원 생활에서는 그런 자취가 있지만 신과 예수가 그러한 행장이었던가는 필자로서는 알지 못하는 것이 불교의 탁발걸식인 것으로 물론 유교와 도교에서는 그러한 예가 없었던 것 같다. 종교성질상으로 불교만이 그럴 수 있는 부처님의 행장이신 것으로 생불불이(生佛不二)와 진속불이(眞俗不二)의 철저한 평등자비에서 중생을 교화하고 복되게 구제하는 실천이 그러한 적극성으로 나타난 것이다. 즉 온갖 그릇된 생각과 행위의 전도가 거기에서 바르게 서게 된다. 부처님께 희사함으로 그와 같이 감화되는 중생 스스로의 구제가 되는 때문이다. 아집과 법집이 없어지고 스스로도 평등 자비가 되는 보시 자유와 수희(隨喜)가 이룩됨으로서이다. 부처님은 그와 같이 공덕케하는 가장 직접적이고 중생 자유를 행위 공덕으로 인도하는 최고급의 승리이게 하는 법력의 길을 택하여 탁발걸식 하신것이다. 그것이 사회적으로 물의가 될만한 행위가 아니냐 하겠지만 종교적 행위는 그러한 속된 차원과는 달리 도리어 그 반대적인 의의를 충족하고도 남음이 있는 비할 바 없는 승의(勝義)가 된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사실 우리가 말하는 사회적 도덕적 관념인 선악이란 환경조건 따라 때묻은 그 나름의 것임을 면치 못하는 바, 기독교에서도 원죄를 지은 후에 선악을 알았다는 추방대상이 된 기록인 것이다. 이를테면 상대적인 선악이전의 절대순수선이 표준이 되는 것으로, 주의할 일은 불교의 것은 그것이 신의 절대의사주의라든지 권위주의 형식에서가 아닌 생불불이와 진속불이이기도 하는 중도의 것이라는 점이다. 부처님이 중생의 가장 불쌍한 사람모양의 표현이 되어 아만심과 법집이 없는 가장 전형적인 수법으로 나선 것이다. 그 법력에 감화되는 어떠한 것이 될 것인가는 위에서 비쳤거니와, 부처님은 그것을 부유하고 빈한하고 간의 구별 없이 고루 평등하게 베푸시는 구제의 길로 나아가셨다. 물질이 문제가 아니라 중생의 아집 . 법집과 거기서 일어나는 온갖 잘못된 자유를 순수선의 것으로 바꾸는 실천행이 되신 것이다. 그것이 중생으로서는 참아 할 수 없는 것을 행하는 인욕이 되어 부처님은 중생을 두고서는 인욕이 가장 중대한 공덕임을 역설하시었지만 그 실상은 인욕이 아닌 바라밀임을 다짐하신 금강경의 설법이시었다. 이것을 행하신 부처님의 탁발걸식이고 그 법력 교화의 그 이상일 수 없으리만,  한 중생의 사실에 따른 철저한 개과천선의 방법이 된 것이다. 중생 나름의 해석이거나 사회통념상의 판단이 문제가 아닌 종교로서의 권위가 그러한데 있는 바 우리는 그것이 중생에 대한 어떠한 효능이 될 것인가를 좀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부처님 같은 분도 그러할 진데 하물며 중생인 인간에서랴. 법력에서 묵은 아만심인 아집과 법집이 눈 녹듯이 사라져 생불불이를 실천하는 평등자유의 자비희사가 자율 되는 수희감화가 이룩될 것이다. 해탈자유의 그것이기도한 바 이 정치 사상적인 의의는 형언을 다할 수 없을만한 것이다.

  민주주의가 인민의 사회, 경제, 문화적 생활이익과 그 심성, 태도, 행위자유의 실천에서 성립하는 정치적 반영임은 두말할 것 없다. 이상으로서나 실제상으로나 그러한 맥락이고 더구나 이론상으로는 부동의 표준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위에서 말한 바 같은데서 순수 정의의 온갖 선의 자유와 평등 번영이 될 얼마나 철저한 것이 될 것인가는 더 말할 나위도 없는 일이다. 구체적 풀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정치와 사상이 문제인 한 보다 치자층이 관심되는 바 부처님의 탁발걸식이 의미하는 그 함축이야말로 더구나 이로 말할 수 없을만한 것이다. 여기서는 원래의 구상에 비추어 불교자체의 뜻에서 어쩌면 윤곽적으로나마 그 실상을 엿보게 하는 풀이를 해보기로 하여 부처님의 탁발걸식이 의미하는 소식을 교리교의(敎理敎義) 상으로 더듬기로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