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완성의 길
상태바
인간완성의 길
  • 관리자
  • 승인 2007.09.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광 초대석|/만년 선재 동자 이남덕 교수

김남선 학문을 통해, 그리고 지금은 일체 세속의 인연을 접으신 수행자로서 여든이 넘은 연세에도 만년 선재동자로 구도자의 삶을 활짝 열어가시는 모습에 경의를 드립니다. 일제와 동족상잔이라고 하는 민족수난기에도 의연하게 학문의 길을 걸으시고 또 교단에서 평생을 우리말 어원에 대한 연구는 두고두고 우리 민족 역사에 남을 것입니다.

저는 역사를 전공하고 교단에 선 일선교사로서 제도권 교육의 한계를 느끼면서 여러 가지 대안들을 찾고 있는 중입니다. 최근 우리말에 관심을 갖고 보니 위기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특히 인터넷 공간에서 청소년들이 쓰는 언어를 보면 빠른 속도로 우리말이 변질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우리의 정신성을 담고 있는 우리 나라 말이 없어질지도 모른다는 생각마저 듭니다. 비록 역사 교사이지만 한글에 대해서 다시 공부하게 되더군요. 우리 글이 이렇게 소중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몰랐습니다. 대안학교를 시작하면 학생들과 같이 한글에 대한 공부를 제대로 해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남덕 그래요. 소리에도 감정이 섞여 있어요. 우리의 음성이라는 것이 단순히 소리만 표시하는 것이 아니지요. 소리에도 에너지와 색깔이 있어요. 그런데 요즈음 가만히 사람들이 하는 소리를 듣고 있다보면 된소리와 센소리화 되어가고 있는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쁘·뜨·끄’와 ‘프·트·크’, 그리고 ‘브·드·그’의 발음은 그 감정이 다르지요. 국문과도 국문과 하지 않고 국문꽈 하거든요. 근자에 와서 된소리가 강해지는 것도 알고 보면 탐진치 삼독과 관련이 있어요.

김남선 요즈음 아이들은 선생님도 선생님 하지 않고 ‘샌님, 샌님!’ 하다가 이제는 ‘쎈님, 쎈님!’ 하거든요. 된소리에 줄임말까지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고 보면 언어의 변질에 따라 정신성도 변질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각자가 자신의 주인인 주인공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질 때 개인이 바로 설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땅은 이 민족의 주인인 얼을 제대로 담아 그 얼을 아름답게 꽃피워나갈 때 우리 민족다움의 아름다움을 드러낼 수 있으리라는 신념으로 우리 민족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이 같은 맥락에서 자연히 우리말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오늘 선생님을 뵙게 된 것 같습니다.

이남덕 줄임말이 성해지는 것 또한 조급해지는 우리의 현실과 멀지 않아요. 말에는 힘과 정신이 깃들기 마련입니다. 성내는 마음, 어리석은 마음이 그대로 언어에 섞여 나오기 마련이지요. 말하는 사람들을 보면 그 나라 국민의 품성을 읽을 수 있어요. 된소리와 기식음으로 깔딱깔딱 숨이 넘어갈 지경이에요.

말은 마음의 반영이기에 마음다스리는 일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하고 의도적으로나마 자신의 언어습관을 살피며 부드러운 말을 쓸 줄 알아야지요. 일상적인 말부터 제대로 쓰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김남선 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아날로그 방식으로는 디지털 사고를 가진 청소년들과의 만남이 수월치 않습니다. 지금의 청소년들은 정보화시대라는 혁명의 시대를 살고 있기 때문에 기성세대와는 사고 방식과 삶의 방식이 사뭇 다릅니다. 기존의 교육방식으로는 더 이상 아이들에게 영향력을 미치기 힘들다는 고민이 늘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을 가지고 어떻게 아이들과 만나야 하는지 심각한 질문이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