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미산 순례기] 30.다시 솟은 수미산, ‘삼예 사원’
상태바
[수미산 순례기] 30.다시 솟은 수미산, ‘삼예 사원’
  • 김규현
  • 승인 2007.09.2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미산 순례기

동그란 ‘만다라’형의, ‘삼예 사원(Samy e, 桑耶寺院)’

라사에서의 일상은 다시 되풀이되고 있었다. 오전은 티벳어 수업에 들어 갔다가, 오후에는 다음 인도에서의 전시회 준비 작업에 몰두하다가, 해 질녘이면 죠캉 사원의 광장으로 나가 군중 속에 섞여 코라를 한 바퀴 돌면서 여기 저기 기웃거리다가, 저녁이면 의기투합하는 티벳친구들과 차를 마시면서 잡담이나 하는 것으로 하루가 저물었다. 그러다 토요일만 되면 근교의 유적지로 답사나 나가는 판에 박힌 일상생활의 연속이었다.

오늘은 베이징에서 온 오랜 친구들, 라오펑여우(老朋友)들을 위하여 가이드가 되어 역사의 고향 산남(山南)지방으로 향하였다. 기추하를 따라 내려가다 취수이교(曲水橋)를 건너 콩가 비행장을 지나 한참을 달려 삼예 사원의 나루터에 내렸다. 기원의 오색깃발, 타루초를 펄럭이며 강을 건너는 큰 목선 위의 사람들 속에 쪼그리고 앉아 있으려니 감회가 새로웠다.

이 넓은 강은, 카이라스에서 ‘탐촉감밥’, 즉 ‘말의 입에서 흘러나옴(馬泉河)’으로 발원하여, 설역고원을 서에서 동으로 관통하면서, 야룽쟝포라는 이름으로 흐르다가 히말라야가 끝나는 곳에서 곧장 남으로 내리 꽂히듯 흘러내려 인도 벵갈 평원에서 부라마푸트라로 다시 이름을 바꿔 갠지스의 본류와 만나 벵갈만으로 들어가는 대하이다.

그러니까 이 지점은 히말라야 만년설이 녹아내린, ‘신의 눈물’로 쓰여지는 대하드라마의 중간 대목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그리고 그 후반부는 나와 함께 써야 하기에 더욱 감개무량할 수밖에 없었다. 왜냐하면 이 강을 따라 해동의 나그네도 히말라야를 넘어 바다에 이르러야 하기 때문이니까.

배에서 내려 절에서 마중 나온 트럭을 타고 삼예 사원에 도착한 것은 오후 늦게였다. 경내의 객사에 짐을 풀고 먼저 동쪽편의 헤포리 동산으로 기어 올라갔다. 가람의 전경을 보기 위하여는 당연한 노동이었다. 이 언덕은 이 곳에 터를 잡은 파드마삼바바가 지진제(地鎭祭)를 지냈던 곳이며 또한 그를 후원한 티송데첸 왕의 겨울궁전이 있었던, 흔히 ‘타크마르의 헤포리’라고 부르는, 유서깊은 곳이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