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佛光)’의 역사의식과 창간의 의미
상태바
-‘불광(佛光)’의 역사의식과 창간의 의미
  • 관리자
  • 승인 2007.09.2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월간 「불광」25년, 그흐름을 찾아서/혼돈 속의 한 줄기 녹색 신호등

바라밀 사상의 첫싹

‘불광’지는 반야바라밀 사상의 메신저이다. 바라밀 사상을 이 세상 사람들에게 널리 전파하기 위하여, 1974년 11월 종로3가 대각사 한 골방에서 74쪽짜리 단촐한 몸으로 녹색빛으로 태어났다.

반야바라밀 - 바라밀 사상은 대승의 근본으로 누가 주장하고 누가 천명할 것이 없는 실상 법문이다. 그러나 태양도 구름에 덮이면 잠시라도 빛이 가려지고, 금강(金剛)도 수렁에 빠지면 한 때라도 광명을 볼 수 없는 법 - 그래서 대중은 눈밝은 선지식을 기다리며, 역사의 수레바퀴는 시절인연의 신호등을 만나서야 약동의 수레를 굴리는 것이다. 광덕 스님은 우리 곁에 온 선지식이고 ‘불광’은 바라밀의 수레를 굴리는 녹색의 신호등이 아니겠는가.

따라서 광덕 스님의 바라밀 사상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것은 ‘불광’ 25년, 지령 300호의 흐름을 조명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긴요한 작업의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우선 ‘불광’ 탄생 11년 전, 1963년 ‘조선일보’에 게재된 스님의 단상(斷想) 한편을 소개함으로써 대중들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지금까지 수집된 자료 가운데에서는 이 글이 가장 오래된 공개적 발표라는 점에서, 바라밀의 첫싹〔萌芽〕을 보는 것 같아 매우 소중하게 생각된다.

영원의 빛 순화된 불교

현대에 적응하는 불교의 자세

불교 그것은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각자(覺者)의 교설(敎說)이다. 이 불교는 한낱 경전문학(經典文學) 위에서만 볼 때 그는 구체적 사안에 대응하는 일종의 대병투약식(對病投藥式)의 처방문인 것이므로 그 처방문은 그 병세(病勢) 이외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것이니, 따라서 그것은 그것으로 그 가치가 한정된다.

불교를 이러한 것으로 보는 데서 불교의 시대적 자세가 운위(云謂)된다. 그러나 불교를 이른바 팔만사천법문 처방문을 유출시킨 불교 자신의 안목에서 구할 때 그 의미는 완연히 달라진다.

그것은 위에서 말한 낱낱 교법을 유출(流出)시킨 근원적인 존재, 즉 구체적 사안에 대응하는 밑바닥의 ‘그 무엇’을 가리켜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 이러한 의미의 불교는 영원불멸한 것이며, 결코 시대적 산물이거나 가치의 한정을 용납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이러한 의미의 불교가 ‘영원한 시대’에 적응하는 본연의 불교라 하겠다. 현대 과학기술의 고도적 발달과 제도 및 경제조직은 금일 우리에게 걷잡을 수 없는 위기 불안의식과 함께 허덕이게 한다. 이러한 현상은 실상안(實相眼)에서 볼 때 인간지주(人間支柱)의 상실 인간의 자기상실(自己喪失)을 의식한 선악과(善惡果)의 종말인가 한다. 여기에 당하여 우리는 영원히 푸른 자세로 ‘영원한 시대’에 적응하는 ‘실상불교(實相佛敎)’를 발견한다.

‘실상불교’ 그것은 만유(萬有)를 전일적(全一的)인 실존의 내용으로 파악하는 것이며 이 실상은 인간자성 절대무한자성체(絶對無限自性體)의 활동양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상은 만중생의 것이다. 평등한 권위(權威)는 권위가 아니다. 여기서 보현행(普賢行)이 실상신(實相身)의 생리적(生理的) 원발(願發)임을 알게 된다. 순화된 불교 본래의 불교 이것은 ‘영원한 오늘’에 대응하는 불멸의 힘이며 영원의 힘임을 다시 한번 알게 하는 것이다.

「조선일보」 1963. 5. 21,

『신문으로 본 한국불교근현대사 하』

(1995, 한국불교근현대사연구회) p. 277

순수불교, 순수역사의식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