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미산 순례기] 17.우주의 중심, 수미산3
상태바
[수미산 순례기] 17.우주의 중심, 수미산3
  • 김규현
  • 승인 2007.09.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미산 순례기 17

‘수미산설(須彌山說)’의 시작은 ‘아함부’에서 신비에 쌓여 있는 성스러운 산은 오늘도 묵묵부답일 뿐이다. 일단 그 의문- 눈과 얼음으로 덮여 있는 그냥 돌산에 불과한 무생물체를 4대종교는 왜 이구동성으로 성스럽다고 여기게 되었을까에 대하여- 의 대답은 뒤로 미뤄 놓고 우선 경전상에 묘사된 수미산의 모습을 정리해 보기로 한다.

붓다의 입멸 후 그의 말씀은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스승의 육성을 직접 들은 제자들이 하나 둘 세상을 떠나자 기억상실을 우려하여 문자로 기록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그렇게 하여 불교사에 나타난 네 차례의 결집회의 끝에 경전(Sutra)이 만들어져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如是我聞)’라는 형식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이 초기의 원시경전인 ‘아함부(阿含部)’는 뒤에 나타나는 대승경전에 비해 단순하고 순수하여 붓다의 육성녹음에 가깝기에 우리는 이것을 통하여 초기 교단의 모습과 당시 인도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원시경전 아함경에서 우리의 ‘수미산설’은 시작된다. 이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데, ‘수미산설’이 당시 인도사회의 보편적 과학지식이었다는 것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다시 환언하자면, 불교의 시작이 당시 인도사회의 개혁에서 싹튼 것이니만큼 붓다 자신도 당시로서는 신선한 사상을, 식상해 있던 대중들에게 제시하여 지지를 받았지만 당시의 보편적인 우주관만큼은 그대로 수용하여 불교적 ‘수미산설’을 정립하였다고 여겨진다. ‘장아함경 염부제주품’을 비롯한 십여 개 대·소승 경전에 묘사된 내용은 너무 방대하고 난해하고 또 과장적이어서 경전 특유의 상징성·과장성을 감안하여 보지 않고는 이해하기가 힘이 드는 부분이 많다.

‘수미산설’의 내용을 소개하는 방법은 그렇기에 직역과 요점 정리가 둘다 필요하다. 우선 일부분만 직역 인용해 보자.

“수미산의 높이는 물 아래, 위로 8만 유순(由旬: 거리단위이다)인데 사면으로 수직으로 곧게 뻗어 있다. 산 밑은 사천왕(四天王)이 사방으로 지키고 있으며 그 위로 삼계(三界: 욕계, 색계, 무색계)의 33천(天)이 자리잡고 있다. 또한 이 산은 삼단계의 길이 통해져 있어서 그 양편으로 일곱 겹의 울타리·난간·대문·창문이 늘어서 있다. 산의 정상에는 제석천(帝釋天)의 궁전이 있어 불법을 수호하고 있다. 이 산을 중심으로 육도윤회(六道輪廻)의 세계가 펼쳐지고 있다 (中略)… ”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