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께 가는 또 하나의 길
상태바
부처님께 가는 또 하나의 길
  • 관리자
  • 승인 2007.09.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처님 그늘에 살며 생각하며 / 범패 공부하는 가수 김태곤

"우리의 범패는 우리의 산세와 닮았습니다. 장인굴곡(長引屈曲)하여 웅혼, 우장, 심오하며, 음악적인 완성도도 높아요. 심산유곡에서 들려오는 범종소리 같기도 하고, 그 선율이나 장단, 가락에 있어 기존의 음악에서는 맛볼 수 없었던 심묘한 기운을 얻게 됩니다. 마치 우리 몸 속에 조상의 피가 면면이 흐르듯 알든 모르든간에 범패 국악의 선율이 우리의 심성에는 흐르고 있어요."

틈틈이 익혀왔던 범패를 좀더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봉원사에 있는 중요무형문화재 제 50호 영산재보존회 부설 범음대학(4기)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과정(5기)에서 범패를 공부하고 있는 가수 김태곤(49세)씨, 그는 유발제자로는 유일하게 박송암(84세, 인간문화재 50호) 스님께 범패를 이수 받고, 동국대학교 홍윤식 교수님과 법현 스님께 범패이론을 공부하고 있다.

송학사, 망부석, 아야 울지 마라 등 그동안 불러온 노래들이 자신의 음악인생에 있어 제 1기라고 한다면 범패로 인해 제 2의 음악인생을 시작하고 있는 요즈음 그는 나이도 잊은 채 범패에 흠뻑 젖어 하루해가 어떻게 뜨고 지는지 모를 지경이다.

범패는 불교의 의식음악으로 주로 재(齋)를 올릴 때 부르는 소리로 가곡 판소리와 더불어 우리 나라 3대 성악곡 중의 하나로서 신라 진감 국사가 당나라에 유학 후(830년, 흥덕왕 5년) 하동의 쌍계사에서 수많은 제자들에게 범패를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다.

대략 7·8세기에 발생한 이후로 범패는 우리의 정악, 아악, 민속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대개 49재의 소상(小祥)과 대상(大祥)때 영가를 위하여 행해지는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와 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로 저승에 있는 10대왕에게 자비를 비는 의식, 죽어서 극락왕생을 위해 생전에 미리 지내는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 수중고혼을 위해 지내주는 수륙재(水陸齋), 그리고 가장 규모가 큰 재로 국가의 안녕과 군인의 무운장구와 영가를 위해 지내는 영산재(靈山齋)가 있다.

영산재를 지내는 데는 보통 하루가 거리고 길게는 삼사 일이 걸리기도 한다. 1968년 5월 13일에서 16일까지 올려졌던 영산재는 3박 4일 동안 142곡이 불리워졌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