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불교] 현대 중국 불교(마지막회)
상태바
[세계의 불교] 현대 중국 불교(마지막회)
  • 관리자
  • 승인 2007.09.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 중국 선원(禪院)의 수행 형태

가산 불교문화연구원 개원 6주년 기념. 조계종 교육원 3주년 기념으로 공동주최한 「열린 세계에 있어서 세계 승가공동체의 현황과 전망」이란 제하의 학술회의 자료집에서 양해를 얻어 '현대 중국 불교 현황(정엄 스님)'을 발췌 초록, 3회로 나누어 싣는다. 현대 중국의 교학과 수행체계를 조망함으로써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찾고, 미래세계를 열어나가는데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편집자 주-

--------------------------------------------------------------------------------

1. 선원(禪院)의 내부 수칙

중국 선실(禪室)의 중앙에는 불단을 만들어 동서남북의 네 방향을 향하도록 네 분의 아미타 불상을 봉안해 놓았는데, 이는 아미타불을 관하면서 화두인 "염불시수(염불하고 있는 그대는 누구인가)"를 참구하라는 뜻으로서 매우 독특한 중국 선실의 구조이다.

선승의 일상생활은 선실에서 시작하여 목적을 완성할 때까지 선실에서 이루어진다. 선실의 출입문은 안과 밖으로 큰 자물쇠가 달려 있어 정진할 때는 자물쇠를 굳게 잠그고 출입을 금하고 있다. 선실은 선승 이외에 일반인의 출입을 못 하도록 외료(外療)에 주석하는 스님들이 문 앞에서 통제를 하고 있다.

이렇듯 엄격한 선원의 내부 수칙을 살펴보면, 중국 선원의 규칙을 청규라고 하는 데 청규는 전통적으로 전해내려온 백장청규를 근본으로 하고 있다. 현재 상황에 따라 변질된 것도 있지만 선원의 일상생활에도 백장청규가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또 이 규칙은 불학원의 좌선 규칙에도 적용되고 있으므로 간략히 소개한다.

선당에 들어갔을 때 고향(叩香, 목판을 치면서 신호함) 소리가 나면 재빨리 행향(行香, 아미타불 불상을 중심으로 주위를 몇 바퀴 돎)하면서 심신을 가다듬고 일체의 대상으로부터 벗어난다. 처음에는 천천히 돌다가 지도자의 신호에 따라 점점 빠르게 돈다. 행향할 때 대중은 안쪽으로 돌고 지도자(유나라고도 함)는 바깥쪽으로 돈다.

운판소리가 울리면 곧바로 돌기를 멈추고 가까운 좌석 앞에 선다. 이 때 먼 곳으로 달려간다거나 자리를 빼앗으면 안 된다.

입선에 들어가기 전 다각(茶閣, 차 시중드는 소임)이 차를 들여와 대중에게 순번대로 차를 한 잔씩 돌린다.

좌선하는 방법은 결가부좌를 원칙으로 하나 반가부좌도 가능하며, 머리를 곧게 들고 똑바로 앉은 후 호흡을 고르고 심신을 단정히 정리한다. 이 때 손은 법계인을 맺어서 배꼽 아래의 단전에 갖다 놓는다.

좌선에 들어가도록 신호하는 목탁소리가 울리면 어떠한 사람이라도 선실 출입을 금하며, 밖과 안에서 동시에 문을 걸어잠근다.

기침을 할 때에는 옷의 소매끝으로 가리면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며 일부러 손을 씻거나 소리를 내어 옆사람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