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수(刻手)가 밝히는 팔만대장경
상태바
각수(刻手)가 밝히는 팔만대장경
  • 관리자
  • 승인 2007.09.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처님 그늘에 살며 생각하며 / 서각가(書刻家) 안준영

경남 합천군 가야면 야천리. 해인사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이곳에서 서각(書刻)을 하며 팔만대장경을 연구하고 있는 안준영(호 以山, 41세) 씨. 그가 이곳 해인사 밑으로 이사를 온 지는 6년째가 된다. 그전에는 경남 함양 연각사가 있는 덕유산에서 역시 삶의 방편으로 나무로 할 수 있는 일들을 하며 살았다.

그러다가 서각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팔만대장경을 연구하게 된 것은 대장경연구소 종림 스님을 만나고부터이다. 그리고 그 인연으로 이곳 해인사 산 밑에 와 전통찻집과 공방을 열고, 가족과 함께 살면서 이 일을 하게 되었다.

흔히 해인사 팔만대장경은 몽고군의 침입을 격퇴하려는 민족적인 염원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알려져 왔다. 국가 차원에서 대장도감을 설치해 16년만에 완성된 것으로 강화도성 밖 대장경 판당에 수장되었다가 1318년 선원사(禪源寺)로 옮겨졌고, 1938년 합천 해인사로 이운된 것이다.

해인사 팔만대장경이라 불리우는 이 대장경은 개태사(開泰寺)의 승통(僧統)인 수기(守其) 스님이 내용교정을 맡아 북송관판과 거란본 및 1232년 몽고침입 때 불탄 초조대장경을 널리 대교하여 오류를 정정하여 만든 대장경으로서 중국과 일본에서도 표준으로 삼고 있다. 현대의 대표적인 대장경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의 신수대장경도 이 해인사대장경을 정본(定本)으로 삼았을 정도다.

정확히 팔만천삼백사십 장의 판에 책으로 묶어도 육천팔백열다섯 권이 되는 이 경전들은 양각으로 새겨진 수천만 개의 글자가 구양순체로 하나같이 고르고 정밀할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글자가 그대로 살아있는 뛰어난 서각예술품이다.

팔만대장경이 만들어진 배경에 대한 설명은 이규보가 지은 `대장각판군신기고문(大藏刻板君臣祈告文)'에 잘 나타나 있지만 누가 언제 무슨 나무로 어떻게 조성했는지에 대해서는 어느 기록에도 남아 있지 않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