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촘말로 몰랐던 제주불교] 기억해 4·3!
상태바
[촘말로 몰랐던 제주불교] 기억해 4·3!
  • 한금실
  • 승인 2023.02.28 19: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3과 제주 불교
4·3의 상징인 동백꽃. 붉은 동백꽃은 땅으로 스러져간 영혼을 의미한다. 

피로 물든 외꼴절

아름다운 해안가 마을 함덕은 제주에서도 유명한, ‘인싸’들의 핫플레이스다. 드넓은 모래사장을 배경으로 다양한 맛집과 자유로운 영혼들의 버스킹과 패러글라이딩 등 다채로운 관광상품들이 타지의 여행객을 끊임없이 끌어모으는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조금만 과거로 돌아가 우리 부모님들의 유년 시절쯤 되던 시기로 가보면, 멸치잡이와 같은 어업에 종사하는 것 외에는 먹고살기가 썩 좋은 곳이 아니었다. 이유는 가늘고 하얗게 흩어지는 모래의 분포가 해안에서부터 마을 위 언덕 너머까지 넓게 펼쳐져 있었기 때문이다. 기름진 토양이 아니었기 때문에 마을의 농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것이었다.

1930년경, 함덕 외꼴절에서 주지를 맡고 있던 신홍연 스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파, 시금치, 무, 호배추 등과 같은 다양한 품종의 씨앗을 들여와 마을에 보급했다. 스님은 직접 새로운 농사법을 교육시키며 마을 사람들과 함께 밭을 일구고 농작물을 수확해 마을의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스님은 주민들에게 존경과 신망의 대상이 됐고, 외꼴절 역시 초등학교 소풍 장소로 이용되는 등 방문객들이 끊이지 않는 명소가 됐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