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촘말로 몰랐던 제주불교] 열린·닫힌 공간의 제주
상태바
[촘말로 몰랐던 제주불교] 열린·닫힌 공간의 제주
  • 김새미오
  • 승인 2023.02.28 19: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흔들리는 제주 바다, 흔들리는 마음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도종환의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시 제목은 그 자체로 한 편의 시다. 시인의 말대로 아름답게 피어난 모든 것은 흔들린 경험을 갖는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은 얼핏 보면 멈춰 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있듯 우리가 사는 공간 역시 흔들리고 있다. 우리가 인지하지 못할 뿐, 모든 우주가 흔들리고 있었던 것이다. 

바다는 기본적으로 열린 공간이다. 해변에서 바다를 보면 뻥 뚫린 느낌을 받는다. 정해진 길조차 없다. 바다는 동시에 닫힌 벽이다. 섬은 바다에 가로막힌 공간이다. 바다가 커다란 유리 벽처럼 자리한다. 가까이 보이는 섬은 그래도 완전히 닫혀 있지는 않다. 사는 공간이 눈에 선명히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먼 바다에 덩그러니 떨어져 있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제주는 탐라(耽羅)·탁라(乇羅)·탐모라(耽牟羅) 등으로 불렸다. 탐라에 대한 기록은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이어진다. 조선시대에 ‘탐라’는 제주를 부르는 별칭이었다. 현재 제주도 내에서도 탐라를 끊임없이 언급하고 있다. 

탐라가 어떤 형태의 나라였는지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왕권이 어떻게 계승됐고, 어떤 정치·경제활동을 했는지, 또 어떤 문화를 가지고 있었는지는 문헌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 그렇다고 의미 있는 유적 또는 유물이 대량으로 확인되는 것도 아니다. 신화 연구자들은 삼성신화(三姓神話, 고·양·부 씨족의 시조신화이자 탐라 개국신화)를 근거로 탐라가 고대국가의 형태를 갖췄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 역시 추측일 뿐이다. 그럼에도 분명한 것은 외부와의 교류를 위해서는 반드시 광활한 바다를 건너야 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탐라는 분명 해양 세력이었다. 

고려시대 탐라는 자치권을 가지고 다스렸다. 『고려사』에는 탐라가 고려 조정에 조회한 기록을 특기했다. 당시 탐라는 고려에 완전히 복속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탐라시대 제주 바다는 비교적 자유롭게 열려 있던 공간이었다. 

탐라 시기, 원나라와 고려의 지배를 받았다. 원나라는 탐라총관부를 설치하면서 제주에 목마장을 설치했다. 말은 당시 전투는 물론 생활을 위해서 꼭 필요한 물품이었다. 원나라에서는 제주의 말을 원했다. 탐라의 입장에서는 타율적인 형태이지만, 바다가 완전히 막힌 것은 아니었다. 고려 역시 말이 필요했다. 원나라든 고려든 탐라의 조공을 원했고, 이는 모두 바다를 통해 이뤄졌다. 

원명교체기인 고려 공민왕 23년(1374), 제주에서는 말을 둘러싼 갈등으로 목호(牧胡, 몽골의 목자)들이 ‘목호의 난’을 일으켰고 많은 사람이 희생되기도 했다. 이처럼 여러 세력이 탐라를 중심으로 오가며 제주 바다는 흔들렸다. 

제주의 말은 특산물이었다. 조선 초 역시 바다를 건너 말이 진상됐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