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한거都心閑居] 말에 속지 맙시다
상태바
[도심한거都心閑居] 말에 속지 맙시다
  • 석두 스님
  • 승인 2022.12.05 09:0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靑山見我無語居(청산견아무어거)  

蒼空視吾無埃生(창공시오무애생)  

貪慾離脫怒抛棄(탐욕이탈노포기)  

水如風居歸天命(수여풍거귀천명)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 하고

창공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 하네

탐욕도 벗어놓고 성냄도 벗어놓고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 하네

빈도(貧道)와 가깝게 지내는 도반 스님이 신명나면 부르던 노래 가사다. 이 가사가 실은 고려 말에 실존한 나옹 혜근선사(懶翁 惠勤禪師, 1320~1376)의 게송임을 안 것은 출가하고 나서다. 일반인들에게는 임충현 선생님이 편시(編詩)하고, 한지영 님이 작곡해 만든 가곡 <청산은 나를 보고>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나옹 스님은 가까운 친구의 죽음을 보고 출가를 결심했으며, 인도의 고승인 지공(誌公) 스님의  제자로서 고려 공민왕의 왕사(王師)였고, 조선의 태조 이성계의 정신적 스승인 무학대사(無學大師)의 스승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보통 절에서는 새벽예불에 칠정례(七頂禮)가 일반적이다. 한데 빈도가 출가해 강원 생활을 시작한 순천 송광사에서는 지공, 나옹, 무학 스님의 명호를 부르며 예불을 보는 팔정례였다. 역대 선지식에 대한 흠모와 존경이다. 그만큼 나옹 스님의 불교사적 영향력은 고려 말에서 조선왕조까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스승도 일찍이 나옹 스님을 알아봤다. 나옹 스님은 세납(歲納)으로 27~37세 때까지 10여 년을 원나라 수도인 옌징(지금의 베이징)에서 지공화상의 지도 아래 공부했는데, 그 시절 중국의 스님들로부터 무시를 당하곤 했다. 하지만 지공화상은 고려 땅에서 온 나옹 스님에게 판수(板首)를 맡겼다. 

당시 중국에서는 과거시험에 첫째로 합격한 사람을 판수라고 불렀다. 그리고 당시 중국 선종사찰(禪宗寺刹)에서 수행하는 스님 중 가장 위의 스님에게 판수라는 소임을 맡겼다. 한국에서는 지금도 총림(叢林)에서 최고 어른인 방장(方丈) 아래 최고 책임자 스님을 수좌(首座)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비록 나이는 어렸으나 깨달음의 안목은 남달랐기에 중요 소임을 이방인 스님에게 맡긴 것이었다. 

하루는 나옹 스님이 게송을 지어 지공화상에게 보여드렸다.

“이 마음이 어두우면 

산은 산, 물은 물인데

이 마음이 밝아지면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차섭 2023-08-16 09:24:23
이번 연재가 마지막 인가요?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