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아미타불] 현대 상장의례의 변용
상태바
[나무아미타불] 현대 상장의례의 변용
  • 이범수
  • 승인 2022.10.24 2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장의례와 박탈된 애도

현대의 부실한 상장의례

2021년 말 코로나19 사망자는 방역 매뉴얼에 따라 24시간 안에 화장(火葬)을 마쳐야 했다. 일반적으로는 사망 후 24시간이 지나야 화장할 수 있었지만 유족들은 바뀐 방침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유족이 밀접 접촉자거나 확진자인 경우 빈소를 열지 못하고 장례의식을 생략한 채 장례식장 복도에서 발인해야 해서 평생 한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2022년 3월에도 우리 사회에는 코로나19 사망자가 급격히 늘어나는 바람에 장례식장의 냉장실이 모자라 제때 상장(喪葬)의례를 모실 수 없어 큰 소동이 벌어졌다. 결국 3일장이라는 관례가 무색하게 5일장 심지어 8일장으로 장례를 마무리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산업 발전으로 사회문화의 격심한 변화를 맞았다. 이와 더불어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상황은 가장 보수적으로 유지될 것 같았던 전통 방식의 상장의례를 새로운 형태로 변화시켰다. 장례의식 집전 장소는 각 가정에서 병원 장례식장이나 전문 장례식장으로 바뀌었다. 평균 기대수명이 83세를 넘어서고 고인의 나이가 90세가 넘어가면서 조문객이 감소하자 빈소를 열지 않거나 소규모의 가족장 형태로 전환되고 있다. 장례 기간도 3일장에서 2일장으로 단축되고 있다. 

장법(葬法) 또한 유교적 전통 매장 방식에서 2021년 화장률이 90%가 넘어서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한동안 화장 후 봉안시설에 안치하는 방식이 주를 이뤘으나, 요즘 들어서는 자연장, 산골장, 수목장(수림장), 해양장이 늘고 있다. 상례 기간도 과거 유교적 전통 방식에서는 초상, 대상, 탈상까지 27~28개월을 거쳐 3년째 탈상(脫喪)이 기본이라고 여겨졌으나 근래에는 1년, 100일, 50일, 49일 탈상이 보편화됐다. 심지어는 화장 후 안치 당일 탈상도 심심치 않게 이뤄지고 있다.  

한국 사회는 자본주의의 효율성, 편리성, 단축성의 기치하에 비약적 경제발전을 이루며 선진국에 진입했다. 그 과정은 자본주의의 폐해인 물질만능주의, 치열한 경쟁사회, 개인주의라는 부작용으로 점철돼 생사 문화에도 부작용을 야기했다. 혈연 및 지역사회 주도로 시행되던 전통적인 상장의례가 제공하던 돌봄과 지원이 없어지면서, 유족들은 애도할 기회를 박탈당하게 됐다.

이는 죽음의 방식이나 종류, 장소, 동기 혹은 고인과의 관계, 사망 시 상황 등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자살, 에이즈, 코로나로 인한 죽음의 경우 아직도 사회적으로 적절히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있다. 비통한 반응과 애도의 방식은 사회가 그것들이 익숙하지 않거나,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들 경우 거부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