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화재에 생명을 불어넣자
상태바
불교문화재에 생명을 불어넣자
  • 관리자
  • 승인 2007.09.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풍경소리

금연 정축년은 불교가 공식적으로 우리 나라에 전래된 지 1천 6백 25년째가 되는 해이다.

그 사이 불교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및 고려시대를 거치는 근 천 년 동안 국교의 자리 를 지키면서 우리 민족의 정신적 지주가 되어 왔고 조선왕조 5백년 동안에 비록 박해를 받 았었다 해도 신앙의 구심점에서 벗어난 적은 없었다.

그래서 천육백여 년이라는 장구한 세월 동안 신심있는 불제자들의 발원에 의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절들이 세워지고 그 절들을 중심으로 예배 대상인 불보살상과 나한상, 신중상 등 여러 성상(聖像)들이 조각 이나 그림으로 조성 봉안되어 왔다.

뿐만아니라 교조 석가세존의 영골사리(靈骨舍利)를 모셔다가 절마다 탑을 세우고 국사나 왕 사로 일국의 존경을 한 몸에 모으던 고승대덕들의 사리를 나누어 인연 있는 곳마다 부도(浮屠)를 해 세우며 그 행적을 밝히는 탑비(塔碑)를 새겨 놓기도 하였었다. 어디 그뿐이랴! 절을 세울 수 없는 곳이라 할지라도 성상을 새겨 예배 공양할 만한 신령스 런 곳이라면 문득 깊은 산 바위 벽에도 불보살상을 새겨 내고, 오가는 길손들의 안녕을 지 키기 위해서는 큰길이나 후미진 길가에 불보살상을 만들어 세우기도 하였으며, 땅기운의 부 족을 메우기 위해서는 동구 밖이나 마을 가운데에도 탑을 세워 예배 공양하였었다.

그러니 우리 국토 어디를 가나 성보가 없는 곳이 없었고 그런 성보들은 그 고장 사람들의 예배 공양 대상이 되어 각 고장의 자랑거리로 지켜져 왔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우리는 세계정세의 변화에 따라 대륙과 바다로 부터 가끔씩 몰아닥치는 거대한 외적의 침입을 받아야만 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때마다 성보의 힘을 빌려 이를 퇴치하려는 간절한 신앙심이 한데 뭉쳐 이를 물리쳐 내곤 하였었는데 오히려 이런 사실이 외적들에게 알려짐으로써 전 세계를 석권하던 몽고족의 침입에서 부터는 성보의 파괴가 저 들의 일차 목표가 되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황룡사 구층탑과 부인사 팔만대장경판이 불살라 지는 것을 시작으로 전국의 성보들이 수난을 겪게 되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