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아, 돌아오다-렘브란트
상태바
탕아, 돌아오다-렘브란트
  • 보일 스님
  • 승인 2022.07.08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림 속에서 찾은 사성제 이야기]
렘브란트가 자신의 그림 속 그 탕아로부터 자기 모습을 본 <돌아온 탕아>(1668)

한 사내가 무릎을 꿇은 채로 늙은 아버지에게 용서를 구하는 듯한 자세로 있다. 무릎 꿇은 아들의 뒷모습에서 다 낡아 헤진 그의 신발이 눈에 띈다. 그의 오른쪽 신발 뒤꿈치는 아예 닳아서 온데간데없고, 왼쪽 신발은 벗겨진 채였다. 비참하고 초라한 모습 그대로였다. 큰 체구의 아버지는 초라하고 힘들어 보이는 아들을 자비롭게 안아 준다. 아버지는 “아들아, 이제야 돌아왔구나’ 하는 듯하고, 아들은 가만히 아버지의 품에 기댈 뿐이다. 이 아들은 가출하기 전에 아버지께 자신 몫의 유산을 요구했었다. 아버지는 아들의 불효에도 불구하고 관대하게 아들들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게 된다. 아버지의 재산을 미리 상속받은 아들은 세상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닌다. 술과 도박, 여자에 빠져서 온갖 향락을 즐기다 만신창이가 된 아들은 비로소 원래 자리로 돌아온 것이다. 

부자의 상봉을 지켜보는 가운데, 잔뜩 못마땅한 형의 표정이 아버지와 탕아의 표정과는 대조를 이룬다. 평생 아버지를 곁에서 모셨건만, 자신은 받아보지 못한 환대와 사랑에 질투심이 묻어난다. 아버지는 아들이 용서를 구하기도 전에 이미 용서한 눈빛이다. 탕아의 얼굴은 이제 밝고 평화롭다. 욕망에 휘둘렸던 과거의 번뇌가 더는 없다. 이제 고향에 다다른 것이다. 그 고향은 신(神)일 수도 있고 실제 가출했던 집일 수도 있다. 혹은 본래 마음자리이기도 하다. 

이미 노쇠한 아버지는 단순히 아들을 붙들고 있는 것이 아니라, 노쇠한 그의 팔을 뻗어 아들의 등을 꼭 누르고 있다. 다시는 떠나지 말라고 애원하는 듯하다. 마치 새가 보금자리에서 알을 품고 있는 것과 흡사하다. 

이 장면은 보는 이로 하여금 성스러움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치유의 느낌을 받는다. 욕망에서 평정으로, 증오에서 화해로, 어둠에서 빛으로 변하기를 염원하는 인간의 마음이 그 속에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이야기는 흥미롭게도 기독교의 「누가복음」(15:11~32) 과 불교의 『법화경』 「신해품」에 공통으로 등장하는 내용이다. 기원을 달리하는 두 종교가 어떻게 해서 유사한 이 에피소드에 주목하게 됐는지 그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이 이야기는 렘브란트에 의해, <돌아온 탕아>(1668)라는 작품으로 다시 재현된다. 인생 말년에 렘브란트는 그의 삶 전체를 이 작품에 투사한다. 어쩌면 렘브란트는 자신의 그림 속 그 탕아로부터 자기 모습을 본 듯하다.

 

렘브란트의 생애

렘브란트 하르먼손 반 레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1606~1669)은 1606년 당시 네덜란드 제2의 도시 레이던에서 태어났다. 방앗간 집, 아홉 명의 형제자매 중 둘째였다. 아버지는 개신교도였지만 어머니는 가톨릭 신자였다. 아마 렘브란트의 성서에 관한 해박하고 수준 높은 이해는 부모의 영향이었을 것이다. 

당시 네덜란드는 스페인과의 독립전쟁에서 승리하면서 문화적으로나 경제적으로도 가장 번영을 구가했다. 17세기 이른바 ‘네덜란드의 황금시대’가 렘브란트에 의해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많은 화가가 암스테르담으로 몰려들었고 훌륭한 예술작품들이 많이 탄생했다. 그중에서도 단연 렘브란트는 천재적인 재능으로 주목받는데, <튈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1632)로 젊은 나이에 이미 엄청난 명성을 얻는다. 그로 인해 렘브란트는 오만하리만치 자신감이 넘쳤다. 사치스러웠고, 수집광이었으며, 낭비벽도 심했다. 렘브란트는 전성기를 맞이했을 무렵, 귀족인 사스키아와 결혼한다. 그는 사스키아를 진정으로 사랑했고, 그래서인지 그의 초상화에는 사스키아가 자주 등장한다. 

첫 번째 부인인 사스키아가 서른 살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한 후, 렘브란트는 어린 아들 티투스의 보육을 위해 들인 보모 핸드리케와 사랑에 빠진다. 사스키아는 렘브란트가 재혼하지 않는다는 것을 조건으로 유산을 남겼기 때문에 둘은 합법적인 결혼을 할 수 없었지만, 핸드리케는 평생 렘브란트 곁을 지킨다. 그러나 당시 개신교회의 금욕적 분위기는 둘의 관계를 용납하지 않았고, 렘브란트는 교회로부터 공식적 비난까지 받게 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