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산사 가는 길
상태바
[김홍도 불교를 그리다] 산사 가는 길
  • 김남희
  • 승인 2022.05.26 19: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승처럼 불법에 깃들다
<신광사 가는 길>, 지본수묵, 32.7×28cm, 김홍도미술관 소장

지팡이를 짚은 노승이 가파른 산길을 오른다. 멈춰 서서 숨 고르기를 몇 번이나 했을까. 다시 걸음을 옮긴다. 절경은 저절로 얻어지지 않는다. 힘겨운 걸음 끝에야 부처를 만날 수 있다. 수문장처럼 우뚝 솟은 바위 사이로 드러난 사찰의 위풍이 당당하다. 이제 노승의 발걸음도 가볍다. 여기가 바로 극락세계, 신광사(神光寺)다. 

만년에 ‘신광사 가는 길’을 밟다

신광사는 황해도 해주 북숭산(北嵩山)에 있는 사찰이다. 지금은 폐사가 되었지만 단원(檀園) 김홍도가 남긴 작품에서 당시 사찰의 위세를 실감한다. <신광사 가는 길>은 김홍도의 무르익은 필치가 농축된 만년작이다. 신광사의 창건연대는 정확하지 않다. 다만 『삼국유사』에 923년(태조 6) 윤질(尹質)이 중국에서 오백나한상을 가져와 절에 모셨다는 기록이 있어 신광사의 창건연대는 그 이전으로 봐야 할 것이다. 신광사가 다시 조명을 받게 된 것은 지정(至正, 1341~1370) 2년(1342)에 원나라 순제(順帝)의 원찰(願刹)이 되면서다. 순제가 세자 시절, 서해의 대청도(大靑島)에서 귀양살이하던 중 해주를 둘러보다가 북숭산에 이상한 기운이 치솟아 그곳으로 가보니, 수풀 속에 있는 부처를 발견했다. 상서로운 기운에 이끌린 그는 황제가 되면 부처의 가피에 보답할 것을 다짐한다. 그 후, 황제가 되어 신광사를 화려하게 중창했다. 법당에는 금 글씨의 편액을 달았고 찬란한 단청은 번쩍였다. 많은 대중이 수행하며 정진하는 대가람의 모습을 갖췄다.

그러나 신광사는 1677년 큰 화재로 전각과 불상이 전소된다. 이듬해에 복원했다는 기록과 함께 18세기 후반 김홍도의 작품에서 사찰의 장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현재는 신광사오층석탑과 신광사무자비(神光寺無字碑)만 남아 있다.

<신광사 가는 길>은 험준한 바위에 둘러싸인 대가람을 묘사한 작품이다. 규모가 크고 건물의 위세가 화려해 궁궐 같은 면모를 보여준다. 절벽을 사이에 두고 누각을 이어 종을 배치했다. 종루를 지나면 사찰로 이어진다. 잣나무, 소나무가 울창해 아름다운 풍모를 과시한다. 

왼쪽 화면에는 짙은 먹으로 거대한 바위를 그렸고, 단풍이 든 나뭇잎은 바람 불면 훅 떨어질 것만 같다. 계곡을 따라 오르는 스님의 모습이 단아하다. 오른쪽 바위는 농묵으로 대담하게 점을 찍어 거칠게 표현했다. 바위를 등지고 사찰이 비스듬히 높게 배치돼있다. 화면 중앙에는 농묵과 담묵으로 원근감을 주어 넓은 공간을 조성하고, 물기가 적은 갈필로 가을의 정취를 살렸다. 울창한 숲은 사찰의 크기를 추측하게 한다. 중앙에 있는 제발(題跋, 발문)은 글씨가 탈락돼 잘 알 수 없지만 김홍도의 낙관이 있어 그의 진품임을 증명한다.

학자들의 노력으로 탈락된 제발의 글씨를 복원해보니, 1631년 편집한 석주(石洲) 권필(權韠, 1569~1612)의 저서 『석주집(石洲集)』에 수록된 <신광사>에 관한 시였다. 김홍도는 권필의 시 3, 4번째의 구절 ‘가을바람에 붉은 단풍잎은 찬 시냇물에 떨어지고(秋風赤葉寒溪水)/지는 달빛에 성근 종소리는 옛 산사에서 들린다(落月疎鐘古寺樓)’라고 적어놓았다. 시를 보니, 신광사의 풍광이 한눈에 들어온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