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미생전(父母未生前) 본래면목(本來面目)
상태바
부모미생전(父母未生前) 본래면목(本來面目)
  • 현안 스님
  • 승인 2022.05.1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쿡의 선과 정토 이야기(43)] 여러분이 태어나기 전 본래 어떤 얼굴이었나요?
카노 모토노부(狩野元信), ‘향엄격죽도(香嚴擊竹圖)’ 부분,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옛날에 중국에 백장 선사라는 아주 유명한 선승이 있었습니다. 백장 선사는 선 도량을 위한 규율을 세운 분으로 유명합니다. 그가 나타나서 제정한 『백장청규(百丈淸規)』 덕분에 자급자족할 수 있는 선 수행을 위한 도량이 유지될 수 있었습니다. 그런 그의 도량엔 많은 제자가 모여들었는데, 그중에서도 황벽 회운과 위산 영우가 가장 유명합니다. 뒷날 이들의 계통에서 바로 임제종(臨濟宗)과 위앙종(潙仰宗)이 시작된 것입니다.

위산 영우 선사는 후대에 위산 선사로 더 잘 알려졌습니다. 그는 사실 백장 스님의 계승자로 선택받았습니다. 그리고 훌륭한 선사답게 아주 겸손했습니다. 그래서 백장 스님의 도량에서 이미 수행하고 있던 사람들에게 그의 아래에서 계속해서 훈련을 이어 가고 싶어 하는지 물어볼 수 있도록 해줬습니다. 그 중엔 나이가 꽤 어린 승려가 한 명 있었습니다. 그 나이 어린 스님은 백장 스님 아래에서 약 2년간 공부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젊은 스님도 영우 선사를 만났습니다.

영우 선사는 그를 보고 말했습니다.

“자네는 참으로 젊고 총명한 학생이구려. 많은 불교 경전에 대해서 아주 해박하다고 들었다.”

사실 이 젊은 승려는 모르는 경전이라곤 없었습니다. 그리고 새 주지 스님에게도 자신의 명성이 알려져서 매우 기뻤습니다. 이 젊은 승려는 백장 선사와 단 2년만 지냈지만, 도량 내에서 자신이 잘 알려졌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그의 이름은 ‘향엄 지한’입니다. 사실 이 일화는 중국, 일본 등 여러 불교 국가에서 매우 유명합니다. 여러분도 이 글을 읽다 보면 ‘아! 이 이야기 들어봤다’고 할 겁니다.

*향엄 지한(香嚴智閑, ?~898) 선사는 위산 영우(潙山靈祐) 선사의 제자로서 어렸을 때 백장 회해(百丈懷海) 선사에게 출가했다. 키가 7척이나 되고 아는 것이 많아서 학문에 있어서는 당할 자가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위산 영우 선사를 만난 후 교학 공부의 한계를 깨닫고 선에 전념했다고 전해진다.

영우 스님이 말했습니다.

“그래 자네에 대한 이야기는 이미 들었는데, 아주 박식하다고 하더군. 하지만 난 자네가 이런 혹독한 선 훈련을 계속하고 싶어 할지는 확실치 않더군. 자네는 불경을 읽고 싶어 하지만, 우린 선 수행을 하고 싶어 하거든. 그래서 난 이런 환경이 자네에게 적절한지 그게 확실치 않아.”

그러자 젊은 향엄 선사는 “아니에요, 아닙니다! 저는 당신의 가르침을 받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알고 싶어요. 몇 년은 더 머물고 싶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위산 영우 선사는 젊은 향엄 선사에게 말했습니다.

“그래? 그렇다면 내가 질문하나를 주겠다. 네가 그렇게 많은 경전을 안다고 하니, 이걸 한번 물어봐야겠다. 네 부모가 너를 낳기 전에 네 본래 얼굴이 무엇이냐[부모미생전(父母未生前) 본래면목(本來面目)]?”

여러분이 화두(話頭)를 해봤거나 화두에 대한 책을 읽어보셨다면, 이 유명한 화두를 들어 봤을 겁니다. 이렇게 위앙종에서도 화두를 합니다. 위앙종의 창시자인 위산 스님은 향엄 선사를 가르치기 위해서 화두법을 쓴 것입니다.

이 젊은 승려는 지금까지 외운 모든 경전을 떠올려보았지만, 그 질문에 대한 답은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는 셀 수 없이 많은 경전을 외웠지만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너무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는 위산 스님에게 “아! 모르겠습니다. 제발 며칠만 주십시오. 제가 돌아가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겠습니다. 서책을 더 확인해봐야겠습니다. 3일만 주십시오”라고 말했습니다.

향엄 스님은 방으로 돌아갔습니다. 자는 것도 먹는 것도 다 잊어버렸습니다. 그리고 책이란 책은 다 찾아보았습니다. 하지만 3일 후에도 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향엄 선사의 방은 수많은 불경과 책들로 가득했고, 그는 그 내용을 다 읽고 파악하고 있었지만, 답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는 새 주지인 영우 선사에게 돌아가서 “선사님, 죄송합니다. 답을 모르겠습니다. 답은 무엇입니까? 부디 그 답이 무엇인지 가르쳐주십시오”라고 말했습니다.

여러분은 위산 스님이 어떻게 했을 것 같나요? 영우 선사는 “물론 내가 답을 안다. 하지만 난 말해주지 않을 것이다. 네가 혼자서 그 답을 찾아내길 바란다”라고 말했습니다. 한번 상상해보십시오. 이 젊은 스님은 3일 동안 잠도 못자고, 먹지도 못하고, 신경이 아주 팽팽한 상태에서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주지 스님은 자길 웃음거리로 만들고, ‘난 답을 알지만 너한테는 말해주지 않겠다’라고 말한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 젊은 스님이 어떤 반응을 했을 거로 생각합니까? ‘당신 왜 나한테 말 안 해줘!’ 그는 새로운 주지 스님의 멱살을 잡고, ‘당신 나에게 답을 주지 않으면 가만두지 않겠어! 빨리 불어!’라고 말하고 싶었을지도 모릅니다.

향엄 스님은 ‘내 삶이 이렇게 무의미할 줄이야. 내 공부는 아무것도 아니였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이런 간단한 질문조차 답할 수 없었던 겁니다. 그는 아마도 지난 세월 동안 했던 공부가 무의미하다고 느꼈을 것입니다. 그래서 가지고 있던 책을 모두 불살라버리고 떠났습니다. 그리고 자기 스스로를 벌했습니다. 떠돌아다니는 승려가 됐습니다. 배고픔을 겪고, 목마름도 겪어야 했습니다. 사람들의 비웃음도 견뎌내야 했습니다. 그는 떠돌아다니면서 추위와 더위도 참아냈습니다. 그는 그렇게 수년을 떠돌아다녔습니다.

이런 향엄 스님의 여정은 그를 혜충 국사의 무덤으로 데려다줬습니다. 그런데 혜충 국사의 무덤이 너무 황폐하고 흉한 모습이었습니다. 그래서 향엄 스님은 결심했습니다. ‘내 삶의 남겨진 마지막 일로 삼고, 여기 남아서 국사님의 무덤을 돌봐야겠다.’ 그는 그때부터 무덤과 주변을 치우고 정리해서, 보기 좋게 만들었습니다. 그러는 동안에도 그의 마음속엔 오직 한 가지만 있었습니다. “부모님이 낳아주기 전 내 본래 얼굴은 어땠을까?” 그는 오직 딱 한 가지 주제만 심사숙고하고 있었습니다.

이 젊은 승려가 얼마나 비참해야 했는지 한번 생각해보십시오. ‘본래면목이 무엇인가?’ 그는 오직 그 한 가지만 숙고했습니다. 그 외의 것은 전혀 신경 쓰지 않았습니다. 그것이 바로 그의 인생의 의미였습니다. 우리는 보통 앉아서 명상할 때도 ‘집에 가서 돈을 더 벌어야지’라고 말합니다. 향엄 스님은 달랐습니다. 오직 본래면목에 대한 답만 생각했습니다. 그것이 그의 우선순위였습니다. 하루는 빗자루로 마당을 쓸다가 돌 하나가 대나무에 날아가 부딪쳐서 “탁” 소리를 냈습니다. 그는 즉시 깨달았습니다. 그때 그는 깨달은 순간에 대해서 시를 지었습니다. 그게 당시 깨달은 스승들의 전통이었습니다. 그는 전통에 따라서 바로 그 순간의 광경을 표현하기 위한 시를 지었습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은 허운 화상에게도 일어났습니다. 완전히 전념해서 열심히 하면 놀랍게도 무언가 깨지는 소리, 새가 날아가는 소리, 무언가 부딪히는 소리로 꿰뚫고 나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입니다.

이것이 향엄 선사의 깨달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는 아주 아주 중대한 개인적 대가로써 깨닫기 위해 이런 일을 겪어야만 했습니다. 그는 수행할 법의 문도 없었습니다. 그가 온종일 한 것은 ‘내겐 질문이 있어. 이 문제가 있어서 해결해야 해!’가 전부였습니다. 이것이 선(禪)입니다.

그리고 그는 깨달은 후 오두막에 돌아가서 목욕했습니다. 그리고 장삼을 입고, 밖에 가서 위산을 향해서 스승께 고마움의 절을 올렸습니다. 그리곤 가서 사람들을 가르치기 시작했습니다. 여러분이 이 이야기에서 봤듯 그의 스승은 그를 수년간 고문했습니다. 하지만 끝에 그는 스승님께 감사했습니다.

 

<향엄 지한의 오도송>

一擊忘所知(일격망소지) / 한번 던지매 알던 것 잊으니
更不自修持(갱불자수지) / 다시 더 닦을 것 없구나.
動容楊古路(동용양고로) / 속내를 움직여 옛길을 드러내고
不墮悄然機(불타초연기) / 근심의 갈림길로 떨어지지 않도다.
處處無蹤迹(처처무종적) / 이르는 곳마다 자취가 없으니
聲色外威儀(성색외위의) / 성색 밖의 위의로다.
諸方達道者(제방달도자) / 제방의 도를 아는 이라면
咸言上上機(함언상상기) /모두가 나를 일러 상상기라 부르겠지.

참고법문: 영화 스님 ‘본래면목이 무엇이냐?(What is your original face)’ 2013년 5월 29일.

 

현안(賢安, XianAn) 스님
출가 전 2012년부터 영화(永化, YongHua) 스님을 스승으로 선과 대승법을 수행했으며, 매년 선칠에 참여했다. 2015년부터 명상 모임을 이끌며 명상을 지도했으며, 2019년 미국 위산사에서 출가했다. 스승의 지침에 따라서 2020년부터 한국 내 위앙종 도량 불사를 도우며 정진 중이다. 현재 분당 보라선원(寶螺禪院)에서 상주하며, 문화일보, 불광미디어, 미주현대불교 등에서 활발히 집필 중이다. 국내 저서로 『보물산에 갔다 빈손으로 오다』(어의운하, 2021)가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