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켈란젤로, 자비의 화신 빚어 불멸을 살다
상태바
미켈란젤로, 자비의 화신 빚어 불멸을 살다
  • 보일 스님
  • 승인 2022.06.10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림 속에서 찾은 사성제 이야기
“예술은 아내, 자식은 작품”이라며 예술혼을 불태운 미켈란젤로

 

피에타 

한 여인이 꼬마 아이를 안고 실성한 듯 앉아 있다. 슬픔으로 가득 찬 얼굴은 멍하니 하늘을 응시한다. 그 여인은 그 아이의 엄마인 듯하다. 엄마의 품속에서 꼬마 아이는 고개와 사지를 축 늘어뜨린 채 눈을 감고 있다. 딸아이의 죽음이 믿기지 않은 듯 망연자실한 모습 그대로이다. 사람이 극한의 슬픔에 빠지면 눈물조차도 나오지 않는다고 했던가. 바로 그 순간이 그랬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침공에 항전을 시작하던 초기, 러시아 공군의 폭격에 마리우폴에 살던 여섯 살 꼬마, 소녀는 숨을 거두었다. 이 소녀는 집 근처 슈퍼마켓에 다녀오는 길이었다. 아이의 부모는 의식을 잃은 아이를 안고 근처 병원으로 달려갔고, 의료진은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필사적이었지만 이미 늦은 상태였다. 그렇게 핑크 유니콘 파자마를 입고 있던 소녀는 엄마 품에 안긴 채 짧은 삶을 마감했다. 그 소녀의 엄마는 소리 없는 통곡을 할 뿐이었다. 그 어떤 슬픔도 이보다 더하진 않을 것이다. 

전쟁은 그 자체로서도 끔찍한 폭력이지만, 한 발짝 더 들여다보면 그 참상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동시에 사람들이 겪는 정신적 고통은 또한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우린 지금 증오와 폭력만이 살아갈 이유가 되는 야만의 현장, 한복판을 들여다보고 있다. 

서양 속담에 ‘흔히 참호 속에서 무신론자는 없다’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신이나 구원을 믿지 않는 사람일지라도, 막상 폭탄이 쏟아지는 아비규환 속에서는 무언가 의지할 만한 것을 찾을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말일 것이다. 역설적으로 우리는 고통과 번뇌 속에서 자비와 연민을 배워간다. 그 꼬마 소녀의 죽음은 우크라이나 전쟁 뉴스에서 보게 된 충격적인 장면이었다. 너무도 안타깝고 마음이 아파 한동안 아무 생각도 들지 않았다. 그 순간 묘하게도 <피에타>가 겹쳐지듯 연상됐다. 더 이상의 비통함이 없을 정도로 극한의 슬픔이 몰려올 때, <피에타>의 처절하면서도 자비로운 모습이 자연스레 떠오른 것이었다. 

 

미켈란젤로를 만나다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Michelangelo Buonarroti, 1475~1564). 바로 이 불멸의 예술 작품 <피에타>를 남긴 예술가이다. 무엇이 미켈란젤로에게 이토록 슬프고 아름다운 피에타를 세상에 내놓게 했을까? 내가 미켈란젤로를 처음 만난 것은 9,000km 가까이 날아서 간 바티칸 시티에 있는 성 베드로 성당에서였다. 

5년 전이었다. 해인사 승가대학의 학감 소임을 맡으면서 서서히 몸과 마음이 소진되고 있었다. 무슨 역마살이라도 발동한 것인지 그때는 그저 잠시만이라도 멀리 떠나고 싶은 생각뿐이었다. 망설이는 것도 잠시, 동안거를 해제하자마자 바랑을 꾸려 이탈리아로 향했다. 두루마기 승복 입고 버젓이 이웃 종교의 대문을 드나드는 뻔뻔스러움도 당당함으로 위장했지만, 적잖게 주변 시선을 끌었다. 

며칠을 머물면서 그런 시선에 익숙해져 가던 어느 날, 성 베드로 성당에 갔다가 <피에타>와 마주했다. 그 아름다움에 취해 멍하니 한참을 그 앞에 서 있었다. 그때만 해도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미켈란젤로가 매번 헷갈리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피에타 성상 앞에 선 순간 오직 이 조각상이 주는 에너지 앞에서 매료당하고 말았다. 예수를 무릎에 올려놓은 성모 마리아의 옷자락에 생긴 주름 하나하나가 정교하고 생생했다. 대리석으로 깎아 묘사한 것이라곤 도저히 믿을 수 없을 정도였다. 그리고 힘없이 늘어뜨린 예수의 팔 근육은 섬세하다 못해 모세혈관마저 다 비치는 듯했다. 특히 예수의 등을 오른손으로 받쳐 든 성모 마리아의 손가락에 움푹 눌린 겨드랑이 부위를 묘사한 것은 경이롭기까지 했다. 

놀랍게도 극한의 고통과 함께 따뜻한 자비가 함께 느껴졌다. <피에타>를 보고 있노라면, 미켈란젤로는 세상의 모든 고통을 혼자서 짊어지겠다는 서원이라도 세운 듯한 생각이 들었다. 미켈란젤로는 <피에타>를 위해 셀 수 없이 망치로 내리치고, 톱으로 베고, 끌로 다듬기를 반복했을 것이다. 얼굴과 전신에 흰 먼지를 뒤집어쓴 채 말이다. 나는 흔히 말하는 번아웃 증후군과도 같은 상태에서 헤매다가 그 <피에타>를 통해 미켈란젤로를 만날 수 있었다. <피에타>를 실물로 처음 본 순간, 그것이 미켈란젤로의 작품이라서가 아니라 <피에타>가 미켈란젤로를 소개하는 듯했다. ‘자, 여기 평생 오직 자비의 화신을 세상에 보여주기 위해 살다 간 한 남자가 있습니다’라고 말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