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걸, 불교에 빠지다] 나혜석과 불교
상태바
[모던걸, 불교에 빠지다] 나혜석과 불교
  • 한동민
  • 승인 2022.02.28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술혼’과 ‘보리심’
나혜석(羅蕙錫, 1896~1948)은 당대 선망의 대상으로, 혹은 또 다른 경멸의 언사로 쓰였던 ‘신여성’의 대표주자였다. 수원박물관 소장

‘나혜석’이라는 이름

나혜석(羅蕙錫, 1896~1948)은 당대 선망의 대상으로, 혹은 또 다른 경멸의 언사로 쓰였던 ‘신여성’의 대표주자였다. 그래서 나혜석이라는 이름은 여전히 매혹적이면서도 논쟁적이다. 식민지라는 시대적 아픔과 나혜석이라는 인물이 갖는 독특한 마력 때문일 것이다. 이는 동시에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유랑과 추방과 방랑’의 시대에 ‘자유로운 인간이고자 한 여성’ 나혜석의 분투가 아직도 끝나지 않은 현실에 기인하기도 한다. 

나혜석은 일본 유학을 한 신여성이자 한국 최초의 여성 유화가다. 3·1운동으로 구속된 이력과 만주의 안동현 부영사의 부인이자 세계여행을 하는 등 당대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는 압도적 경험과 함께 다양한 인물들과 교유했다. 그럼에도 파리에서 최린과의 스캔들과 이에 따른 이혼, <이혼고백서>를 통한 가부장적 가족제도와 남성 중심적 성 담론에 대한 문제 제기는 조선사회를 흔들었고, 그 충격의 자장 속에서 나혜석도 끝내 길 위의 죽음을 맞이한 인물로 그려졌다.     

신여성이자 화가로서, 문학가로서, 혹은 독립운동가로서, 페미니스트로서 나혜석이 갖는 다양한 존재적 중층성에 더해 그녀가 던진 인간과 여성에 대한 근본적 질문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그래서 나혜석은 여전히 의미 있는 이름으로 호명되고 있는 것이리라.   

 

불교와의 인연

나혜석은 수원 종로교회에서 운영한 사립 삼일여학교를 졸업했고, 일본 유학 중인 1917년 12월 동경 조선교회의 조선인 목사에게 세례를 받았다. 당시 유학생들은 기독교에 우호적이었고, 나혜석을 둘러싼 벗들 대부분이 기독교인들이었다.    

나혜석이 불교계와 맺은 유의미한 인연의 시작은 1929년 수원포교당(포교사 손계조)에서 개최한 개인 전람회에서였다. 20개월의 세계여행을 마치고 셋째 아들 김건을 동래 시댁에서 낳은 뒤 백일이 지나자 1929년 9월 23~24일 이틀에 걸쳐 용주사포교당, 즉 지금의 수원사(水原寺)에서 ‘나혜석 여사 구미 사생화 전람회’를 개최한 것이다. 이는 나혜석 개인도 그렇거니와 수원 최초의 미술전람회였다. 이듬해 전국 최초로 수원에서 프롤레타리아미술전람회(제1회 프로미전)가 개최될 수 있었던 것도 나혜석 미술전람회가 개최된 선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