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한거] 삶과 죽음 그것이 문제로다
상태바
[도심한거] 삶과 죽음 그것이 문제로다
  • 석두 스님
  • 승인 2022.03.1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심한거都心閑居]

생사(生死)! 

불교는 이 속에서 잉태되고 태어났다. 고타마는 이 문제를 해결하여 ‘깨달은 자’ 곧 ‘붓다’가 됐다. 하지만 태어난 자는 탄생의 순간을 기억하지 못한다. 기억은 ‘느낌’이다. 느낄 수 없다는 것은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죽음의 순간은 경험되어지고, 느낌이 있으며, 표현될 수 있다. 

‘깨달은 자’의 죽음은 보통 범인(凡人)의 죽음과는 그 느낌이 사뭇 다르다. 범인은 유언장(遺言狀)을 남기고, 각자(覺者)는 열반송(涅槃頌)을 남긴다. 한 존재의 완전한 소멸이라는 절체절명의 순간조차도 각자는 우리에게 ‘깨달은 세계’를 노래한다. 죽음을 목전에 둔 사람에게서는 위선을 찾을 수 없다. 그래서 그의 마지막 말은 귀하고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의 온 생애가 그 말 속에 보석처럼 박혀있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부처님의 마지막 모습은 너무도 인간적이며 소탈하다. 신의 경지까지 올라간 자의 마지막 모습 속에서 우리는 경배의 대상으로서의 신성함보다는 인간적인 연민을 더 느끼게 된다.

“아난다여, 이제 나는 늙어서 노후하고 긴 세월을 보냈고 노쇠하여 내 나이가 여든이 되었다. 마치 낡은 수레가 가죽끈에 묶여서 겨우 움직이는 것처럼, 나의 몸도 가죽끈에 묶여서 겨우 살아간다고 여겨진다. 그만하여라, 아난다여. 슬퍼하지 말라, 탄식하지 말라. 아난다여, 사랑스럽고 마음에 드는 모든 것과는 헤어지기 마련이고, 없어지기 마련이고, 달라지기 마련이라고, 그처럼 말하지 않았던가. 아난다여, 태어나고 존재했고 형성된 것은 모두 부서지기 마련인 법이거늘.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런 것을 두고 ‘절대로 부서지지 마라’고 한다면 그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아난다여, 그런데 아마 그대들은 이렇게 생각할지도 모른다. 이제 스승은 계시지 않는다. 스승의 가르침은 이제 끝나 버렸다. 아난다여, 내가 가고 난 후에는 내가 그대들을 가르치고 천명한 법(法)과 율(律)이 그대들의 스승이 될 것이다. 아난다여, 그대들은 자신을 섬으로 삼고, 자신을 의지하여 머물고, 남을 의지하여 머물지 말라. 진리를 섬으로 삼고, 진리에 의지하여 머물고, 다른 것에 의지하여 머물지 말라.”

『열반경』에서 묘사하는 부처님의 마지막 모습이다. 죽음 앞에서조차도 자신의 깨달음에 충실하고, 제자들을 아끼는 인간적인 체취가 느껴진다. 그래서 더욱더 그분의 마지막 유훈이 간결하게 마음속에 새겨진다. 

초기경전에서 보이는 부처님의 임종게(臨終偈)와 선(禪)에서 볼 수 있는 선사(禪師)들의 임종게는 사뭇 그 분위기가 다르다. 선시는 문학적 수사가 아니다. 선에서 표현하는 세계는 문학에서 표현하는 시적 영감의 세계와는 그 결이 다르다. 탈속(脫俗)의 세계, 직관적 사유의 세계인 것이다.

“삶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은 한 조각 구름이 스러짐이라.

뜬구름은 본래 실체가 없으니

죽고 살고 오고 감이 또한 그와 같도다.”

서산 대사의 해탈 열반송(涅槃頌)이다. ‘열반송’이란 고승들이 입적하기 전 남기는 ‘마지막 말이나 글’을 말한다. ‘임종게’ 혹은 ‘열반게’라고도 한다. 깨달음의 세계는 눈으로는 볼 수 없는 형이상학의 세계이다. 즉 ‘진제(眞諦)의 세계’이자, 유학에서 말하는 ‘이(理)의 세계’인 것이다. 진제인 진리의 세계는 ‘속제(俗諦)의 세계’에서 찰나적으로 포착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