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말을 걸다] 김민채 ‘풍경’
상태바
[시가 말을 걸다] 김민채 ‘풍경’
  • 동명 스님
  • 승인 2022.02.22 09: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인이자 출가수행자인 동명 스님의 ‘시가 말을 걸다’를 매주 화요일마다 연재합니다. 원문은 다음카페 ‘생활불교전법회’, 네이버 밴드 ‘생활불교’에서 볼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풍경

처마 밑 황동 금붕어

물 한 모금 못 먹어도

바람 데리고 잘 놀더니

오늘은

꼼짝 않습니다

꽃들도 무슨 일인가

몸 낮추고

바람은 더 아래로 허리 숙이는데

생각 깊어진 퀭한 눈에

달빛이

한 자 반이나 쌓였습니다

(혜화시동인회 제4집, ‘씨앗의 집’, 글나무 2019, 76~77쪽)

[감상]
누가 생각했을까요? 하늘에 새가 아닌 물고기를 달 생각을 했을까요?

절집 추녀 밑에는 대체로 풍경(風磬)을 매달아 놓았습니다. 저는 풍경(風經)이라고 해석한 적도 있습니다. 바람의 경(전)이라는 의미로 본 것이지요.

추녀 밑은 물과는 거리가 먼 하늘이라고 보아야겠지요. 그런데 그 하늘에 새를 매달지 않고 물고기를 매달았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물고기는 불교에서 깨어 있는 '수행 의지'를 상징합니다. 물고기는 눈을 감지 않잖아요. 항상 눈을 뜨고 있는 것이 물고기의 생리입니다. 그래서 부처님을 '눈뜬 이'라고도 부르는 불교 수행자들에게 물고기는 '깨어 있는 수행 정신'을 상징하게 되었지요. 법당 추녀 밑 하늘에 물고기가 비행하게 된 이유입니다.

그러고 보면 물고기는 종교마다 특별한 상징이 되는 것 같습니다. 힌두교에서는 물고기가 비쉬누 신의 첫 번째 화신입니다. 최초의 인간 마누에게 연약한 물고기가 구출되는데, 대홍수가 일어나자 물고기가 마누와 가족들을 구출하여 인류를 보존하게 된다는 이야기지요. 이 비슷한 이야기는 기독교의 바이블에도 있습니다. 이렇게 힌두와 기독교에서는 물고기가 '구원'을 상징합니다.

시인은 복잡한 해석은 하지 않습니다. 그저 바람에 매달려 있는 물고기를 찬찬히 관찰할 뿐입니다. 물 한 모금 먹지 않아도 처마 밑 물고기는 즐겁게 노래 부릅니다. 그런데 바람이 없으니까 물고기는 꼼짝도 하지 않는 겁니다.

물고기가 꼼짝도 하지 않고 노래도 부르지 않으니까, 꽃들도 오늘은 조심해야 하는가 보다 하고 몸을 낮추었습니다. 바람은 아예 땅속으로 허리를 숙여버렸습니다.

저녁이 되었습니다. 생각 깊어진 물고기의 퀭한 눈에 달빛이 한 자 반이나 쌓였습니다. "달빛이 한 자 반이나 쌓였습니다." 이 기막힌 표현 앞에 내 마음속에도 달빛이 한 자 반이나 쌓였습니다.

시인은 왜 풍경(風磬)을 자신의 시에 매달았을까요? 시인에게 사물은 그저 사물이 아닙니다. 그것은 생명 있는 존재입니다. 시인의 눈에는 처마 밑 황동 금붕어도 살아 있는 것이지요. 그 물고기는 늘 바람을 데리고 즐겁게 놀았습니다. 그러던 물고기가 꼼짝도 하지 않고 있으니, 평소와는 다른 셈이지요. 그래 걱정이 되어 찬찬히 들여다본 것입니다. 찬찬히 들여다본 결과가 이 시입니다.

그러고 보니 꽃들도 평소와는 다르고, 바람은 당연히 다르고요. 물고기의 눈도 평소와는 다른 것 같습니다. 달빛까지 다릅니다.

달빛이 한 자 반이나 쌓인 모습, 보신 적 있으십니까? 그것을 보신 분은, 힘들게 시를 쓰지 않아도 이미 시인이십니다.

동명 스님
중앙승가대 비구수행관 관장. 1989년 계간 『문학과사회』를 통해 등단, 1994년 제13회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했다. 시인으로 20여 년 활동하다가 지난 2010년 출가했다. 저서로는 시집 『해가 지지 않는 쟁기질』(제13회 김수영 문학상 수상작), 『미리 이별을 노래하다』, 『나무 물고기』, 『고시원은 괜찮아요』, 『벼랑 위의 사랑』과 산문 『인도신화기행』, 『나는 인도에서 붓다를 만났다』 등이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